•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s

검색결과 2,58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과 일본 5학년 과학 교과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5th grade Science Textbooks in Japan and Korea)

  • 김효남;이영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2-458
    • /
    • 1995
  • Science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order to know elementary science learning in Japan and Korea. In this research the 5th grade science textbooks in Japan and Korea are analyzed by an analyzing category. The analyzing category is consisted of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Knowledge is divided by fact, concept, and rule. Scientific inquiry is divided by problem cognition, variable control, experiment planning, observing, measuring, categorizing, inferring, data transformation, predicting, correlation, cause and effect, result, communication, which are 13 subcategories. Analyzing methods are counting the frequency of each subcategory and tabulating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frequency of scientific inquiry appeared in Korean 5th grade science textbooks is three times more than that in Japanese textbooks. 2. In scientific inquiry category, Japanese science textbooks emphasized observing, predicting, measuring and problem cognition; Korean science textbooks emphasized experiment planning, observing and problem cognition. 3. In knowledge category, fact subcategory is mostly emphasized in both countries.

  • PDF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용 도서 편찬 (Writing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 Seventh Curriculum)

  • 배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권2호
    • /
    • pp.85-102
    • /
    • 1998
  • Sinc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 seventh curriculum are 'Class I' textbooks, which are used as one and only one textbooks throughout the country, the following aspects have been considered: In the legal aspect, the contents including the curriculum for mathematics asked of the Writing Committe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reflected; in the aspect of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textbooks are written in a way appropriate to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in the aspect of application of reality, the textbooks are written to help improving mathematics education in classrooms. Therefore, the main frame of writing the textbooks is to make students feel proud enough to say "I have done mathematics", through helping students rationally solve problems surrounding them by themselves with their experiences and activities. In the above viewpoint the following sentence is reflected upon: "Hundred explanations are not equal to one manipulation activity."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 적정성 분석 - 단원 구성 및 어휘 사용을 중심으로 - (A study to analyze the 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Based o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281-297
    • /
    • 2016
  • There has being develop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urrently based o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Vocabularies used in mathematics textbooks are mainly determined by the authors to develop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hich is currently in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there were found some problems i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교과서의 수학교사 체감난이도 분석 (The analysis of sensed difficulty on the selective tracks textbooks based on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이봉주;김창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1호
    • /
    • pp.1-17
    • /
    • 2013
  • The goal of the textbooks of 2009 revised curriculum is to make customized lectures possible considering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 research result on sensed difficulty of the mathematics textbook, which is able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diverse level textbooks. This research suggested criteria in analysing sensed difficulties of field teachers on the textbooks, and analysed sensory difficulty on the selective tracks textbooks based on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using the criter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59 mathematics selective tracks textbooks show that all have average sensed difficulty. The criteria and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future mathematics textbook development.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he Emo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Using Digital Textbooks

  • LEE, Sunghye;SUNG, Eunm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1권1호
    • /
    • pp.97-1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otions of students toward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emo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mputer usage, students' emotions, and the perceived learning effects. For this study, 2,950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measur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mputer usage behavior, emotions toward using digital textbooks, and perceived learning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emotions toward using digital textbooks were higher than negative emotions. The students' positive emotions were most affected by intrinsic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student's use of computers for learning and entertainment. Similarly, perceived learning effec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but the students' positive emotions towards using digital textbook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Digital textbook 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at affected the students' negative emotions, while computer addiction was associated with negative emotions.

초, 중, 고교 교과서의 식품위생 내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Food Sanitation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남철현;변부형;노병의;남원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5-104
    • /
    • 1994
  • A study on food sanitation in school textbooks was performed for 7 months from October 1, 1992 through may 31, 1993. A total of 243 textbooks (77 from elementary school level, 52 from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14 from senior high school level)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better method for teaching the subjet of food sanitation to students eff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number of pages of textbook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were 48 pages (0.53%) in elementary level textbooks, 38.05 pages (0.31%) in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05.05 pages (0.34%) in senior high school level. 2) 104.05 pages were allocated for the subject of food storage, 33 pages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32 pages for food poisoning, 15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7 pages for kitchen hygiene. 3) Of the four categories of textbooks, the numb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were 145 in home economics, 31 in physical education, 12 in social studies and 3.0 in science. 4) Home economics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llocated many pages in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88 pages for food storage, 26.05 pages for food poisoning, 7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2 pages for kitchen hygien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had 15 pages about food storage, 4 pages for food poisoning, 5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1 page for kitchen hygiene. 5) Social studies textbooks had 5 pages for food storage, 4 pages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3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6)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elementary school level textbooks were 20 in physical education, 13 in home economics, 12 in social studies, 3 in science respectively. 7)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junior high school level textbooks were 31.05 in home economics, and 7.00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31.50 pages were about food storage, 6 pages about food poisoning, 13 pages about insect and rodent control, and 1 page about kitchen hygiene. 8)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senior high school level textbooks were 101.05 in home economics and 4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64 pages were about food storage, 21.05 about food poisoning, 13 about insect and rodent control, 4 about kitchen hygiene, and 3 about food contamination. 9) Pictures, drawings and tables were used in explaining food sanitation in the textbooks, 32 drawings of a total of 38 cuts in elementary school level textbooks, 8 pictures of 10 cuts in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3 tables of 14 cuts in senior high school level were used. 10) 5th grad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did not have a subject on food poisoning. Other grad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level did not contain a subject on food contamination and insect and rodent control. It's recommended that these subjects be contained in the textbooks. 11) It is necessary to teach a subject on health or health and environment independently and contain food sanitation in the subject. It is recommended that a textbook on health or health and environment be published and taught to students. 12)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specialized in health education be assigened to schools to teach health related subjects. 13) It is recommended that book publishers use the latest information in the textbooks and technical terms be unified.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Focused on 5~6 Grades)

  • 장혜원;강태석;임미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1-141
    • /
    • 2016
  • 국가 차원의 교육과정과 교사들의 교과서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특성으로 하는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은 교육의 질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현장 적용이 전 학년에 걸쳐 완료되는 시점에서 5~6학년군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학년군, 3~4학년군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 이어 5, 6학년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며, 분석내용 역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상세화 및 세분화한 재구성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분석, 교과서의 차시별 학습목표에 따른 재구성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용어와 기호 관련 교과서 분석, 수학적 과정 관련 교과서 분석의 네 가지로 동일하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A Comparison of Structural Organization of English Textbooks between Pre and Post North Korean 2013 Curriculum Revision)

  • 유희연;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12-422
    • /
    • 2018
  • 본 연구는 북한 2013 개정 영어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최신의 교과서 중, 북한 자료 센터에 입수된 개정 전 대응 학년 교과서가 확보된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과 개정 후 영어 교과서의 구성 체계를 비교하였다. 일반중학교 초급중3, 고급중2, 고급중3, 제1중학교 고급중1, 고급중 3 이렇게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 교과서와 비교한 결과, 개정 후 교과서는 첫째, 외형과 삽입 그림에서 이전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전의 흑백의 소박한 교과서 구성을 벗어나 칼라로 인쇄되었다. 둘째, 머리말에 이전까지는 없었던 김정은에 대한 충성맹세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개정 전에는 읽기, 쓰기 기능에만 치중한 반면 개정 후에는 듣기, 말하기 기능을 포함한 영어의 4기능을 고루 강조하고 있다. 넷째, 개정 전 교과서는 학교급별로 통일성 없이 학년별로 서로 다른 활동 제목을 사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개정 후 교과서는 학교급별로 구성체계를 통일성 있게 따르고 있어 개정 전 보다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교과서가 되었다. 일반중학교 고급중 교과서는 단원별로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Grammar, Vocabulary, Pronunciation의 7가지 기능에 따라 활동이 제시되어 있고 제1중학교 고급중 교과서는 단원별로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English in Use 5가지 기능을 제시하고 활동을 제공한다. 다섯째, 체제 유지를 위한 사상적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내용을 담았고 영어를 통한 과학, 지리, 컴퓨터 등 다른 교과와의 내용 통합을 지향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 후 교과서에 참고도서의 명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변화이며 개정 전 보다 확연히 달라진 구성 체계는 참고 도서에 명시된 서양 교재와 매우 비슷하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34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미국, 호주, 일본의 중학교 ($7{\sim}9$학년) 과학 교과서를 한 종류씩 선택하여, 포함하고 있는 지식, 과정기능, 활동, 상황, 과학의 본성, 그리고 사용된 통합주제의 양과 형태를 국가별, 학년별, 내용별로 각각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분량은 미국의 경우가 가장 많아 한국의 두배 정도나 되었고, 한국을 제외한 세 나라의 교과서에는 색채인쇄가 많았고, 편집은 2단으로 되어 있었다. 내용별로는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네 영역이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었고, 미국의 교과서에는 생물과 지학이, 호주에서는 환경과 STS를 강조하고 있었다. 모든 나라의 교과서에서 '개념'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법칙'을 점차 강조하고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는 다른 나라의 교과서에 비해 '법칙'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과정기능이 사용되었다. 나라별로는 한국의 교과서에는 비례와 변인통제가, 일본의 교과서에는 상관/인과와 비례가, 미국과 호주의 교과서에는 변인통제와 자료변환이 많이 사용되었다. 미국과 한국의 교과서가 호주나 일본의 교과서보다 훨씬 많은 수의 활동들을 다루고 있었다. 한국, 일본,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실험과 관찰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미국의 교과서에는 관찰, 실험, 조사, 실습, 측정 활동들이 고루 다루어지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순수과학 상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미국의 교과서에는자연환경 상황이 가장 많았으나, 미국과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나머지 상황들이 골고루 사용되고 있었다. 과학의 본성을 상당한 정도로 다루고 있는 호주와 미국에 비해,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이에 관한 부분이 극히 적거나 전혀 없었다. 과학과 기술 간의 통합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과학내 소재는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적게 사용하고 있었다.

  • PDF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영역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s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Singapore)

  • 이재봉;신광문;박종찬;김동훈;이성묵;김태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47-558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실린 물리 영역의 탐구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차기 과학과 교과서 탐구 활동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두 나라의 교과서 탐구 활동을 탐구 활동의 일반적인 특징과 참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의 반영 정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 각각 Millar et al.(1998)의 탐구 활동 분석틀과 Chinn & Malhotra(2002)의 분석틀을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 나라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탐구 활동의 목적 영역에서 한국은 내용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고, 싱가포르는 과정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다.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영역에서 싱가포르에는 한국에는 드문 '예상한 것 검증하기' 등의 사고 관련 활동이 있었으며, 탐구의 개방성 정도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높았다. 두 나라의 탐구 활동에서 참 과학 탐구를 반영하고 있는 정도에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국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연구 문제를 착안하는 활동이 전혀 없었으나 싱가포르에는 이러한 활동이 있었으며, 연구 설계 항목에서 한국의 탐구 활동에는 없는 변인 설정, 변인 통제 활동이 싱가포르에는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과서 탐구 활동을 구성할 때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 등의 요소가 고르게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참 과학 탐구 요소를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