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textbooks' physics contents for Korean secondary schools with those of Singapore in order to provide a reference for further improvement of inquiry activitie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We analyzed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framework of Millar et al.(1998) and Chinn & Malhotra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Singaporean inquiry activities in the area of 'learning objectives',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and 'degree of openness'. In the area of 'learning objectives', the Korean textbooks have more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of science content than those in Singaporean, whereas the Singaporean textbooks have more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es of scientific inquiry than in Korean textbooks. In the area of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the Singaporean textbooks have activities like 'test a prediction', which Korean textbooks lack. The 'degree of openness' is higher in Singaporean textbooks than in Korean textbooks. And some differences in the area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between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were also found. While the Korean textbooks do not have any activities associated with 'generating research questions', the Singaporean ones feature such activities. In the area of 'designing studies', the Singaporean textbooks have activities corresponding to 'selecting variables' and 'controlling variables', while the Korean ones never have such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balance inquiry activities in the area of 'learning objectives',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and 'degree of openness', and to present activities close to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n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실린 물리 영역의 탐구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차기 과학과 교과서 탐구 활동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두 나라의 교과서 탐구 활동을 탐구 활동의 일반적인 특징과 참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의 반영 정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 각각 Millar et al.(1998)의 탐구 활동 분석틀과 Chinn & Malhotra(2002)의 분석틀을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 나라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탐구 활동의 목적 영역에서 한국은 내용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고, 싱가포르는 과정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다.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영역에서 싱가포르에는 한국에는 드문 '예상한 것 검증하기' 등의 사고 관련 활동이 있었으며, 탐구의 개방성 정도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높았다. 두 나라의 탐구 활동에서 참 과학 탐구를 반영하고 있는 정도에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국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연구 문제를 착안하는 활동이 전혀 없었으나 싱가포르에는 이러한 활동이 있었으며, 연구 설계 항목에서 한국의 탐구 활동에는 없는 변인 설정, 변인 통제 활동이 싱가포르에는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과서 탐구 활동을 구성할 때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 등의 요소가 고르게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참 과학 탐구 요소를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