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Comparison of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국제 비교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for grade $7{\sim}9$) of the USA, Australia, Japan, and Korea. Specifically, the amount and pattern of knowledge, process skills, activities, contexts, nature of science, and integration topics were compared in terms of country, grade, and conten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were equally distributed in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In Korean textbooks, "law" was more emphasized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extbooks. 2) The most popular process skills were proportion and controlling variables in Korea's textbooks. Correlation, cause/effect, and proportion in Japan's textbooks. Controlling variables and data transformation in textbooks of USA and Australia. 3) Experiment and observation were the most popular activities in textbooks of Korea, Japan, and Australia. In textbooks of the USA, observation, experiment, survey, practice, and measurement activities were used evenly. 4) In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pure science and natural environment contexts were the most popular. 5) There was no chapter dealing with nature of science in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6) Integration topics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the most popular.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on Korean science textboo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미국, 호주, 일본의 중학교 ($7{\sim}9$학년) 과학 교과서를 한 종류씩 선택하여, 포함하고 있는 지식, 과정기능, 활동, 상황, 과학의 본성, 그리고 사용된 통합주제의 양과 형태를 국가별, 학년별, 내용별로 각각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분량은 미국의 경우가 가장 많아 한국의 두배 정도나 되었고, 한국을 제외한 세 나라의 교과서에는 색채인쇄가 많았고, 편집은 2단으로 되어 있었다. 내용별로는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네 영역이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었고, 미국의 교과서에는 생물과 지학이, 호주에서는 환경과 STS를 강조하고 있었다. 모든 나라의 교과서에서 '개념'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법칙'을 점차 강조하고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는 다른 나라의 교과서에 비해 '법칙'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과정기능이 사용되었다. 나라별로는 한국의 교과서에는 비례와 변인통제가, 일본의 교과서에는 상관/인과와 비례가, 미국과 호주의 교과서에는 변인통제와 자료변환이 많이 사용되었다. 미국과 한국의 교과서가 호주나 일본의 교과서보다 훨씬 많은 수의 활동들을 다루고 있었다. 한국, 일본,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실험과 관찰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미국의 교과서에는 관찰, 실험, 조사, 실습, 측정 활동들이 고루 다루어지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순수과학 상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미국의 교과서에는자연환경 상황이 가장 많았으나, 미국과 호주의 교과서에서는 나머지 상황들이 골고루 사용되고 있었다. 과학의 본성을 상당한 정도로 다루고 있는 호주와 미국에 비해,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이에 관한 부분이 극히 적거나 전혀 없었다. 과학과 기술 간의 통합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과학내 소재는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적게 사용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