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erception

검색결과 1,112건 처리시간 0.038초

학교관리자의 지원에 대한 영양(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 (Perception on School Administrator's Supports and Job Satisfaction by Nutrition Teachers (Dietitian))

  • 문미연;김명희;장기효;이제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30-44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s perceived by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data concerning efficient job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s, to determine effects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on job satisfaction in nutrition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improve school meals. Major supporters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were chief administrators (55.3%), principals (27.2%), assistant principals (15.0%), and managers in charge (2.4%).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cored 3.38 for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3.66 for emotional support, 3.27 for informational support, 3.22 for instrumental support, and 3.11 for evaluation support. Support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by school managers included emotional support (3.66)>informational support (3.27)>instrumental support (3.22)>evaluative support (3.11).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cored 3.37 for job satisfaction, as follows: work performance (4.19)>interpersonal relationships (3.39)>job satisfaction in general (3.37)>job itself (3.29)>job environment (3.07)>performance rating and benefits system (2.70).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r= .771, p< .01). Therefore, school administrators are necessary to provide evaluative supports to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performance assessment, employee benefit packages, and improvement of school meal plans and quality.

초등교사의 지각된 교사효능감, 학교장 지도성, 동료교사 태도 인식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 (The Relations of Teacher-Efficacy and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Peer Collaboration acros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82-4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자료 교사대상 설문지의 1.03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은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중간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의 세 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개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교직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의 개별특성을 확인하기 보다는 교사 개인의 프로파일을 이해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한 맞춤형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Multi-Media Application Ability, Perception on the Use of Multi-Media for Story Telling, and Application in Class)

  • 장보영;최나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23
    • /
    • 2014
  • 이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다중매체 활용능력과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실제 활용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의 유아반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사 변인과 기관 변인에 따라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사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실제 활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에 모두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중매체 활용의 중요성 인식, 학력,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학급 규모, 다중매체 관련 수강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수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이 갖는 의미와 실무능력의 중요성,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교육 및 기관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G Metropolitan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 진상우;최미정;최성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71-179
    • /
    • 2020
  •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12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 평균점수는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20학급 미만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31학급 이상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이 높고, 연구학교 경력이 있는 집단이 연구학교 경력이 없는 집단보다 높고, 연구 및 혁신학교 경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집단이 연구 또는 혁신학교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가수준 교유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규모 변수가 13.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비유아교사의 따돌림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Bullying)

  • 배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17-42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따돌림에 대한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3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돌림 인식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 현장관찰수업유무,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따돌림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는 등 폭력을 가하는 일이 빈번함', '공동으로 쓰는 물건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음', '다른 친구 앞에서 창피를 주거나 모함을 하는 일이 잦음'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따돌림 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공격적인 행동과 말을 많이 함'이 가장 높았고 따돌림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수줍음이 많고 말이 별로 없음'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가해 이유에 대한 인식으로 '특별한 이유없이 그냥 재미로'가 가장 높았고 따돌림 현상 원인에 대한 인식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나 가정환경의 문제'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따돌림 예방 및 대처의 주요 수행기관은 교사, 부모와 가정, 지역사회 및 국가, 유아교육기관, 교육청 순이었다. 교사의 역할로는 '학급에서 고립되는 유아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가 가장 높았고, 부모의 역할로는 '자녀에게 관심을 갖고 대화를 많이 하기'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역할로는 '교육과정 중에서 따돌림 방지교육 시간을 마련하여 운영하기'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첨단 과학 실험장비 활용 및 연수에 대한 과학고 과학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In-service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Practical Use of Advanced Science Laboratory Equipment)

  • 강순민;이효녕;김영신;김경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80-88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의 측면에서, 첨단 과학 장비와 실험을 활용하는 전문성 계발 연수에 대한 실태 분석과 과학고 교사와 예비교사의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는 첨단과학 실험 장비를 활용할 기회가 있는 과학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과학교사(N=43)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N=189)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고 교사와 예비 교사 모두 첨단 실험장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관련된 연수 경험 또한 많지 않음을 보였다. 첨단 실험장비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학고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주로 방학 기간을 이용해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연수의 형태에 있어서는 실험장비 사용 실습을 모두 선호하여 두 집단 모두 첨단 과학 실험장비 사용법에 있어 기능적인 부분의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현직 교사들의 경우, 첨단 실험장비 활용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예비 교사들의 경우 첨단 실험장비 사용법을 선호하고 있어 연수 프로그램 내용 선정과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과학영재교육에서 비유 만들기 활동의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nalogy Generation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 노태희;양찬호;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22-37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nalogy generation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and the self-perception as teacher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ere also investigat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teach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d a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the advantages/disadvantages of analogy generation in cognitive, affective, and learning environmental aspects. Their perceptions on the usability of analogy gener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of it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was also positive. They highly perceived on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ffective uses of it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Their self-perception as teacher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as comparatively low,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ceptions on the advantages of it, the usability, the practical methods to use, and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ffective uses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Teacher Written Feedback: Learner Preferences, Perceptions, and Teacher Reflections

  • Kim, Ji-Hy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1호
    • /
    • pp.19-40
    • /
    • 2009
  • Teacher written feedback on student compositions has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 in second language (L2) writing research.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feedback process, much of the feedback research has only looked into one-side of the story - adopting either the teacher's or the student's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look into both sides of the story by examining the types of written feedback that students prefer,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preferences and teachers' actual feedback practice overlap, and the extent to which student perceptions of teacher feedback coordinate teacher self-reflections on their feedback practice. Three English composition classes (3 teachers and 46 student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 analyzed student and teacher data from questionnaires and teacher written feedback on student compos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eference for feedback on global and local issues varied across the three composition classes. This is partly a consequence of how students perceived the type of feedback that their teachers practiced. Teacher self-reflection on and student perception of teacher written-feedback generally coordinated.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light of how contextual factors affect learner perception of teacher written feedback and underscore the need for examining students' reactions to feedback and teacher self-reflection.

  • PDF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 김혜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4호
    • /
    • pp.522-532
    • /
    • 202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o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survey was based on responses from 100 teachers who have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for COVID-19.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parts: general informations of participants, the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ways to improv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elementary teachers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on the main use of content utilization type. And they had a difficulty in conducting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because of lack of contents, absence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eaching methods, learner management and heavy workload. Therefore, to improv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have to develop and provide high-quality conten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subjects, introduce a rent-an-experiment equipment system, and build a science class platform providing frequent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The Educational Percep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17-324
    • /
    • 2018
  •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이해와 교육적 영향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30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초등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AI의 인식이 적었고 교육의 필요성도 낮았다. 선도학교 운영 여부에 따라 AI교육이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인식하였다.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SW교육 연수 경험과 교육 지도 경험이 많을수록 AI의 이해가 좋았으며 교육적 필요성이 높았다. 본 연구 자료가 향후 SW 교육이 현장에 안착하기 위한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