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 Metropolitan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 Received : 2020.06.23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percep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For the study, the survey results of 1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city were us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ing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3.48 points and the self-assessmen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perception was 3.75, indicating that the self-assessment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perception.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working in schools under 20 classes had higher national-level curriculum recognition than teachers working in schools over 31 classes. The group with research school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research school experience, and the group with both research and innovation schoo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research or innovation school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school size variables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13.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wareness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can be improved when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access curriculum development are provided.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12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 평균점수는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20학급 미만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31학급 이상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이 높고, 연구학교 경력이 있는 집단이 연구학교 경력이 없는 집단보다 높고, 연구 및 혁신학교 경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집단이 연구 또는 혁신학교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가수준 교유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규모 변수가 13.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숙(2012). 국가 교육과정의 대강화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 체제의 개정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4(1), 221-251.
  2. 박서연, 홍후조(2015). 초.중등교육법 제23조 1항, 2항의 개정에 관한 논의.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21(1), 297-324.
  3. 소경희, 허경철, 박찬구, 김찬종, 양정모, 김진완(2006). 국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장기 연구설계. 서울대학교-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서 No. RRC 2006-19).
  4. 이경진, 김경자(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 연구, 23(3), 57-80.
  5. 이림(2018).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한 쟁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57-178.
  6. 홍후조(1999).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의 전환(1)-전면 개정형에서 점진 개선형으로. 교육과정연구, 17(2), 209-234.
  7. 권낙원, 추광재, 박승렬(2006).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87-106.
  8. 김두정, 김소영(2017). 교육과정의 실행 기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 실행 요인 및 기준, 교육과정 실행의 실태 및 개혁의 과제. 교육문화연구, 23(2), 37-59.
  9. 최미영(2016).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과학과 수업관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5), 171-184.
  10. 정영근, 이근호(2011).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교육과정연구, 29(3), 93-119.
  11. 김민환(1999). 교사의 교육과정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7(1), 219-247.
  12. 이미숙, 변희현(2009).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전문가의 문제 인식과 변화 요구. 교육과정연구, 27(3), 37-61.
  13. 박윤경, 정종성, 김병수(2015).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초등교육연구, 28(4), 117-143.
  14. 홍후조(2013). 알기 쉬운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5. 한혜정, 조덕주(2012).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6. 서의훈(2005). SPSS 통계분석. 서울: 자유아카데미.
  17. 이일현(2014).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18. Cohen, J.(1992). Statistical power analysi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3), 98-101. https://doi.org/10.1111/1467-8721.ep10768783
  19. 박현정(2014). 교육과정 다양화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장봉석(2019). 교사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구조적 관계 비교. 교육문화연구, 25(2), 227-245.
  21. Huang, F.(2004). Curriculum reform in contemporary China: Seven goals and six strategie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6(1), 101-115. https://doi.org/10.1080/002202703200004742000174126
  22. 최미정(2019). 창의융합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엔터테인먼트의 미래와 전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1(1), 9-18.
  23. Schwab, J. J.(1969). The practical: A language for curriculum. The school review, 78(1), 1-23. https://doi.org/10.1086/442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