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for young children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34초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통일교육 내용분석 (Contents Analysis o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Teachers'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 최윤경;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5-13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South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reviewing Nuri curriculum develop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thod: Literature review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s'manuals under the areas and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Results: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designed to accelerate unification, to promote the values and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to prepare for the post-unification period. This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specific areas: democratic community, democratic citizenship, peacekeeping and multiculturalism. These areas account for 24.24% of the total contents in the Teachers'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The percentage of the contents helpful to underst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however, is merely 0.25% of the total contents, and the elements are not fairly balanced. Such content coverage of the teacher's manuals for kindergartens is 2.83% higher than that for preschools. Conclusion/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include that the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more balanced approach with more integrated and broader coverage. The elements also need to be revised so that both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can get access to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same quality.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ing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 고영윤;신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38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와 S시 지역의 보육교사 39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었고, 심리적 소진은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관계, 심리적 소진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도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와 하위변인인 하루일과 존중, 아동 최선의 이익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을 위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혼합연령 종일반에서 핸드벨을 통한 음률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lody Program Through Handbells in the Mixed-age Edu-care)

  • 박부숙;최순자;백지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9
    • /
    • 2018
  • 본 연구는 핸드벨을 통한 음률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치원 종일반 유아들에게 적용하였다. 2015년 10월부터 주1회, 12주간 서울시에 위치한 C유치원의 3~4세 종일반 유아 15명에게 누리과정을 토대로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특성에 맞는 핸드벨 음률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핸드벨의 유래, 연주 시 지켜야할 약속, 부분적 문학적 도입, 교구나 게임을 이용한 음표활동 등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구성하였고, 교사와 유아의 상호 주도적인 진행으로 역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결과 3~4세 유아들이 핸드벨 연주에 흥미를 갖고 쉽게 접할 수 있었고, 핸드벨 연주 과정에서 협동심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였다. 종일반 교사는 특별활동에 의존했던 수업을 자신이 직접 해냄으로써 도전과 기쁨을 느꼈다. 후속연구로 종일반 교사 자신의 변화에 초점을 둔 종일반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일개 농촌지역 초등학교 교사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성평등의식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6th Graders at a rural area in Korea)

  • 강혜영;허광희;김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6th graders at 3 rural area in Korea. Methods: There were 78 teachers and 323 6th graders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Y area in Jeon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with 3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June to July 2003. Th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to tes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composed of 20-items (Cronbach's ${\alpha}$ = .87 in teachr group; Cronbach's ${\alpha}$ = .83 in children group) with four subcategories: family life, school life, business life, and social life. The data was analyzed by a one-way ANOVA and t-test using SPSS/PC+. Results: 1.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more affirmative in females (t = 5.313, p = .001) and in the younger teacher group (F = 24.710, p = .0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differences in all four subcategories were also significantly affirmative in the female and younger teacher group. 2.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6th graders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eachers'. School girls (t = 8.988, p = .001) and children from double income families (t = 3.171, p = .042) were more affirmativ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four sub-categories, school girls were also significantly more affirmative in all four subcategori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amily income source, the children from double income families also tended to be more affirmative only in the subcategory of family life (t = 3.196, p = .042) Conclusion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remarkab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oth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school children. Age was a key variable in teachers fo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urther research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arents, school principals and urban school population would be useful. In order to promo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a mass education campaign should be developed.

어린이집 재원시간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중재효과 (The Effect of Hour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 김정화;이재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57-3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10개소와 그곳에 재원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유아 380명을 대상으로 질적 수준 평가 및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적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하루 재원시간이 7시간 이하인 유아보다 하루 9시간 이상인 유아의 경우가 더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에 따라서는 공간 및 설비, 일상적 양육, 언어추론, 상호작용, 활동, 프로그램 구성, 부모 및 교직원의 7가지 변인 중,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중 하루 9시간 이상 장시간 재원하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변인은 언어추론, 상호작용, 부모와 교직원 변인이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어추론 활동이 활발하고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며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았을 때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중재효과가 있었다.

ADHD 위험군 아동의 쓰기 수행 수준과 오류유형 : ADHD와 쓰기학습장애의 공존성 탐색 (Writing Performance and Error Type in At-risk Children with ADHD : Comorbidity of ADHD and Learning Disabilities in Written Expression)

  • 김은향;김동일;고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level of learning disabilities reflected in the written expression and writing performance of at-risk children with ADHD, (2)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ifferences in writing learning disabilities and writing performance depending on ADHD subtypes, and (3) to explore the error types and contents in the written expression of at-risk children with ADH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6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y were firstly screened by teacher nomination, and only participants with a K-ARS score of over 17 were then selected to be among the 46 children involved in this study. Two further tests were then carried out : K-LDES as an index of learning disabilities in written expression and BASA-writing as an index of writing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risk children with ADHD possibly had comorbid writing learning disabilities.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total syllables, errors and correct syllables that they produced, in comparison to normal childre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as regards the level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erms of written expression and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ADHD subtypes. As regard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future research, we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identification of comorbid writing learning disabilities in ADHD assessment.

보육교사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지식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을 중심으로 (A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nd Management of Allergic disease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 ; atopic dermatitis, asthma, allergic rhinitis)

  • 이선영;문인오;이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7-48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지식과 알레르기 질환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J도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의 지식에서는 연령(p=.013), 교육경험(p=.049),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의 관리에서는 교육경험(p=.045), 교육필요성(p=.03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토피피부염의 지식과 관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과 알레르기비염 지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알레르기 질환 관리, 연령으로 36.2%를 설명하였다.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알레르기 질환 지식, 교육경험, 교육필요성으로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관리의 43.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를 위한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계층분석방법(AHP)을 활용한 보육교사 교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실무 및 학계 전문가 비교 (Priority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Comparing the Practical and the Academic Experts Using the AHP)

  • 최양미;박미경;이홍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보육교사의 교권 영역 및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이들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교권 영역은 전문성, 공공성, 근로성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 영역별 하위 요인을 선정하였다. 교권 영역 및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검토하기 위해 실무 전문가와 학계 전문가 집단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권 확립을 위해 전문성이 공공성 및 근로성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문성' 영역에서는 영유아 지도권 강화와 교육 방법 결정권 개선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영유아 평가권 강화, 교육내용 결정권 개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성' 영역에서는 신분보유권 및 보수청구권 강화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근로성' 영역의 경우, 교원단체 결성권, 교원단체 교섭권 등의 순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보육교사의 교권 확립을 위한 영역별 하위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전문가 집단 간에 상당 부분 인식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권확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권리는 무엇인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Need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 안정은;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8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Methods: Two hundred fifty-four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B area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ssess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arious competenc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demand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needs by category, the competency to implement ESD was identified a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understanding the value of ESD and the economic aspects of ESD content. Second, 17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for educational needs in each detailed item, and 6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next priority. Conclusion/Implications: By directly analyzing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for ESD,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enhance ESD for young children. Additionally, it provided a basis for discussing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ESD.

대전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 류봉선;심재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3-141
    • /
    • 2006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영재교육을 실제로 운영하는 지도교사들의 교사들의 전문성 및 교육환경과 영재의 선발과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대전시 영재교육시스템에 대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고, 영재교육 운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등학교 영재학급 담당교사 및 영재교육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내용은 기초자료 10문항, 전문성 8문항,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내용 25문항이며 만족도 및 기타에 대한 내용 7문항 등 50문항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기회 확대와 고정된 영재학급 운영장소가 요구되며, 담당 영재학급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