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lody Program Through Handbells in the Mixed-age Edu-care

혼합연령 종일반에서 핸드벨을 통한 음률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Park, Boo S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ong Eui Women's College) ;
  • Choi, Soon Ja (International Child Develppment and Education Institure) ;
  • Back, Ji S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박부숙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최순자 (국제아동발달교육연구원) ;
  • 백지숙 (동국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7.29
  • Accepted : 2018.09.05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composed a melody program through handbells, and applied it to the mixed-age edu-care children. Methods: This study implemented a handbell melody program suitable for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Nuri Curriculum, to 15 mixed-aged edu-care children aged 3 to 4 at C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for 12 weeks (once a week) from October 2015. Results: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origin of handbell, promises to keep in playing the handbell, partial literary introduction, and musical note activities using teaching aids or games in an integrated way with other areas. Through the program, dynamic class could be carried out with mutual leading participation of a teacher and children. Consequently, children aged 3 to 4 could easily encounter playing the handbell, being interested in playing, and showed cooperative spirit and society-friendly behaviors. The mixed age edu-care teacher felt pleasure and achievement of challenge by performing the class herself, which had depended up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nclusion/Implications: A further study as action research for edu-care teachers, focused on change of edu-care teachers themselves, is proposed.

본 연구는 핸드벨을 통한 음률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치원 종일반 유아들에게 적용하였다. 2015년 10월부터 주1회, 12주간 서울시에 위치한 C유치원의 3~4세 종일반 유아 15명에게 누리과정을 토대로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특성에 맞는 핸드벨 음률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핸드벨의 유래, 연주 시 지켜야할 약속, 부분적 문학적 도입, 교구나 게임을 이용한 음표활동 등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구성하였고, 교사와 유아의 상호 주도적인 진행으로 역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결과 3~4세 유아들이 핸드벨 연주에 흥미를 갖고 쉽게 접할 수 있었고, 핸드벨 연주 과정에서 협동심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였다. 종일반 교사는 특별활동에 의존했던 수업을 자신이 직접 해냄으로써 도전과 기쁨을 느꼈다. 후속연구로 종일반 교사 자신의 변화에 초점을 둔 종일반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3. 김경철, 장연주(2010). 병설 유치원 교사의 방학 중 종일반 운영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4(4), 209-235.
  4. 김경화, 서영숙(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혼합연령집단 구성에 대한 재인식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6(2), 179-192.
  5. 김민정(2012).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성균(2013). 김성균 어린이 음악교실 지도서 악기를 통한 유아교육(선율합주 지도). 서울: 김성균 음악 연구소.
  7. 김지혜(2008). 어린이집의 특별활동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무경, 이기숙, 이순례, 장영희, 최윤정, 송신영(2009). 유치원 종일반 운영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9. 문미옥, 조부경, 이연승, 신은수, 김영실, 안진경, 김지영(2008). 종일반 프로그램의 편성.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53-78.
  10. 문연심, 김정희(2017).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체제의 협력적 운영. 한국보육학회지, 17(4), 163-185.
  11. 박미용(2003). 유아교사의 음악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유아 음악 교육 활동.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부숙, 임명희, 박윤조(2017).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4), 233-258.
  13. 박인숙(2015). 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45-66.
  14. 백은혜(2011). 어린이집 오후 재편성 종일반 운영 실태와 교사의 어려움, 개선점.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보건복지부(2015).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6. 손수민, 김진아(2018). 만5세 또래 인기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2), 33-48.
  17. 송강숙(2013).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 실태 및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소임(2010). 공립유치원 학부모가 본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아시아경제(2018). "유치원.어린이집 영어 수업, 사교육 풍선효과 막는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20222295233441에서 2018년 3월 1일 인출
  20. 안혜진(2012).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 강사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양승희, 임명희(2011).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1(1), 19-39.
  22.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홍용희(2002).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3(4), 137-152.
  23. 이영애(2010). 4-5세 유아의 음악 장르별 선호도. 유아교육학논집, 14(5), 79-98.
  24. 정영희, 김덕희(2012). 유치원 종일반 특별활동 실태 및 인식 조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1), 361-393.
  25. 최양미, 박미경, 이홍재(2017). 계층분석방법(AHP)을 활용한 보육교사 교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7(2), 25-44.
  26. 최은아(2012). 핸드벨.핸드챠임.붐웨커를 활용한 기악지도 방안: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6(1), 325-346.
  27. 宇津野裕子(2012). 音楽活動による高齢者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変化 : ハンドベルによる合奏の及ぼす効果. 日本行動分析学会年次大会プログラム発表論文集 (30), 46.
  28. 尾形篤信(2001). ハンドベル・アンサンブル (1). 關東短期大學紀要. 45, 71-82.
  29. 佐藤敦子(1999). 保育者養成機関におけるハンドペルの導入-その意義, 役割, 教育的効果について-福島女子短期大学おける授業実践(1989-1998)をとおして-. 日本保育学会大会 研究論文集 (52), 350-351.
  30. 中尾陽子(2004). 学習意欲の低い集団における体験学習一ハンドベル演奏課題を用いた人間関係トレーニング実践の報告一. 日本教育心理学会総会発表論文集. (46), 456.
  31. 磯部澄葉(2014). 保育者養成課程におけるピアノ初心者への レッスン支援 : コードネーム・オリズムピックを用いた指導 法の提案. 金城学院大学論集 人文科学編 10(2), 19-31.
  32. Bamford, A. (2006). The wow factor: Global research compendium on the impact of the arts in education. Munster, Germany: Waxmann Munster
  33. Catteral J. S. (2009). Dowing well and doing good by doing art: The effects of education in the visual and performing arts on the achieevements and values of young adults. LA, CA: Imagination Group/I-Group Book.
  34. Clark, P., & Kirk, E. (2002). All-day kindergarten. Childhood Education, 76(4), 228. https://doi.org/10.1080/00094056.2000.10521169
  35. Cryan, J. R., Sheehan, R., Wiechel, J., & Bandy-Hedden, I. G. (1992). Success outcomes of full-day kindergarten: more positive behavior and increased achievement in the years aft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2), 187-203.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04-I
  36. Elicker, J., & Mathur, S.(1997). What do they do all day?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 full-day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459-480.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22-3
  37. Gullo, D. (2000). The long term educational effects of half-day vs full-day Kindergart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60(1), 17-24. https://doi.org/10.1080/0030443001600102
  38. Hough, D. & Bryde, S. (1996). The effects of full-day kindergarten on student achievement and affec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5-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