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competence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7초

보육시설의 보육실 환경 특성 및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Group Room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 Care Centers)

  • 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7-27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necessary for planning an adequate environment for various child-care activities and programs by recogniz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group room, where children's activities take place. A survey was conducted of 257 childcare centers and 544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only those of which that have opened after year 2000 with more than 20 children capacities. The survey period was from January 18th to 28th of 201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5 software, calculating the data's frequency, percentage, $x^2$, multiple response analysis, F-test,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le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We would like to propose a group room space design varying by the room size, so that interesting and diverse activities can take place after taking account of the child's development and childcare centers program. 2) Group room space and facilities should be made of proper finishing materials, various materials with differing textures, and lighting for the kinds of childcare activities that gives various sensational experiences and comfortable feelings to the children. 3) Teachers with higher age and education tend to believe that child's competence and a homelike atmosphere are important factors in a group room environment.

임상 시나리오 중심 핵심 간호기술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Empowerment on Clinical Nursing Skills Core Program)

  • 김혜숙;박해령;박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89-599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핵심 간호기술의 향상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임상 시나리오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간호학과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년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상 시나리오중심 핵심실기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비판적 사고(t=4.102, p<.001), 문제해결능력(t=5.082,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의 차이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핵심 간호기술 강화를 위한 임상 시나리오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은 간호학과 학생들의 핵심 간호기술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 이연준;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9-37
    • /
    • 2015
  • 이 논문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정서노동의 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정서표현규칙의 교육, 몰입, 공정성, 명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표면행동, 내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몰입이 내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지원하고 교사의 정서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ICT 활용 교육 활성화에 따른 정보교과 교육과정 고찰 - 영국의 ICT 교육과정 분석을 기초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Subject Curriculum Considering ICT Using Educatio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gland's ICT Curriculum)

  • 홍지영;한병래;김홍래;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45-154
    • /
    • 2001
  • 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수업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10% 이상 활용하도록 하는 등 ICT 활용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응용 프로그램 자체의 내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은 계열성과 중복성의 문제, 타 교과에서의 ICT 활용과의 연계성 결여 문제, 급속히 변화하는 세계에 학생들을 제대로 적응시키지 못하는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ICT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구체적인 능력 중심의 목표 설정, 타 교과와의 체계적인 연결, 활동 중심의 수업 진행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제 정보교과는 도구의 기능 습득 차원에서 벗어나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학습자의 구체적인 능력 계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in Mathematics Classroom with Immigrant Students)

  • 송륜진;노선숙;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37-6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수학수업의 실태를 파악을 위해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의 수학수업을 관찰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삶과 맥락화', '수학적 대화' 범주에서 양적 질적 분석결과 다문화수학교육의 준거에 부합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범주에서는 양적 분석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반면 질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불평등한 신념과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모든 범주에서 다문화수학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결과는 수학교사가 다문화수학수업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구체적 조작.실험을 통한 탐구활동이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 및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quiring Activities through Manipulative Materials-Experiment on Geometrical Propertie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 임근광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01-722
    • /
    • 2010
  • 기하를 학습하기 위해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해서 조사하고, 실험하고, 탐구해 보아야 한다. 구체적 조작활동은 수학적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이나 절차를 이해하게 하고 이것을 기호로 나타내 주는 것을 도와주고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활동은 추상적인 학습내용을 시각화하여 직관적, 탐구적 활동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체물과 탐구형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체적 조작 실험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여 평면도형의 성질을 탐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 조작 실험의 수업은 중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상위수준 및 하위수준의 학생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조작 실험 활동을 할 때 활동에 필요한 자료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활동을 선택하게 할 때 교사의 치밀한 계획과 관찰이 요구된다. 또한 조작활동 후 수학적 의미를 연결짓기 위한 토론 활동이 요구된다.

  • PDF

창의성 향상을 위한 창의적디자인도출 교수학습법 적용사례 (Application of Creative Design-inducing,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 서미라;김애경;이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48-457
    • /
    • 2015
  • 이 연구는 학습자에게 창의적인 사고 경험을 활성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디자인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창의적디자인도출 교수학습법을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교육과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로 게임공학과의 게임캐릭터디자인, 뷰티케어학과의 조형예술, 시각디자인학과의 디지털그래픽스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교과목 특성에 맞도록 교수자는 수업주제, 교수학습내용, 창의적 발상 도구를 정의하고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인 디자인 도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수업의 참여도와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창의적 발상 도구를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역량에 따라 창의적 학습결과물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수원지역 학교도서관 사서연구회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Operation Situation of School Library Librarians' Study Circle in Suwo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56
    • /
    • 201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 현황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동아리의 필요성 및 효과 그리고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의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 중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수원지역 사서연구회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은 학교도서관 운영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사서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며, 학교도서관 업무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gital Tools for Optimizing the Educational Process of a Modern University under Quarantine Restrictions

  • Nadiia A. Bachynska;Oksana Z. Klymenko;Tetiana V. Novalska;Halyna V. Salata;Vladyslav V. Kasian;Maryna M. Tsil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133-139
    • /
    • 2024
  • The educational situ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announced self-isolation regime, intensified the forced decisions on the organiza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al process. The study is topical because of the provision of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Kyiv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e and Ar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Systemic, socio-communicative, competence approaches, sociological method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hosen as methodological tool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a survey of teachers and entrants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topic "Using social networks and digital platforms for online classes under the conditions of quarantine restrictions" allowed to scientifically substantiate the need for deeper knowledge of such tools as Google Meet (79%), Zoom (13.78%) and Google Classroom (11.62%), which are preferred by entrants. Almost a third of entrants (34.26%) noted the lack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support for learning the subjects. The study showed high efficiency of messengers in distance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communication in the student-teacher system,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priority of Telegram on the basis of which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chatbot for convenient and effective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al proces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elegram. The effectiveness of using chatbots should also be considered. Chatbots can be used to automate routine components of the learning proces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 Hyejin Kim;Bong Seok Jang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343-349
    • /
    • 2024
  • Recently, the intercultural approach, which aim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hrough cultural encounters and dialogu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tercultural education aims to foster smooth relationships and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cultural groups.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has revealed the need for research on intercultural civic education programs targeted at adult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its effects. For the study, previous research on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developed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was categorized into five major themes: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racism and hate speech, overcoming conflict and discrimination, breaking away from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the future of our country. Subsequentl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64 total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3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at an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in M City, South Jeolla Provinc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an intercultural competency scale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adult students was effective in conflict management, respect,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competencies, all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inally, the authors compared the study results with previous research and discussed the findings. Findings indicated the necessity of enhanc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awareness among adults and expanding teacher training in intercultural education. The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adult student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ailored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Future research should ensure a balanced gender ratio among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