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 channel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33초

고압 축소형 재생냉각형 연소기 개발 (Development of High Pressure Sub-scale Regeneratively Cooled Combustion Chambers)

  • 김종규;이광진;서성현;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16
    • /
    • 2009
  • 고압 축소형 연소기의 개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헤드부와 챔버부가 분리형인 연소기와 일체형 재생냉각 방식의 연소기 등 총 4기의 연소기가 개발되었다. 축소형 연소기의 연소 압력은 70 bar이고, 추진제 유량은 5.1~9.1 kg/s이다. 연소성능의 향상을 위해 추진제 유량, 분사기의 recess 수 등을 변화시켰고, 이를 연소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실물형 연소기에 적용할 재생냉각 채널과 막냉각의 설계 및 제작 기술을 본 축소형 연소기에 적용, 검증하였다.

2021년 서울과 광주 지역 PM1.0과 PM2.5의 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 연구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source apportionmentof PM1.0 and PM2.5 in Seoul and Gwangju in 2021)

  • 김주영;오승미;신혜정;장유운;이용환;권수진;최성득;이상진;이지이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9-144
    • /
    • 2023
  • The PM1.0 and PM2.5 samples were collected synchronously using a single channel particulate sampler equipped with PM1.0 and PM2.5 cyclones, respectively, and seasonal mass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M1.0 and PM2.5 were quantified in Seoul and Gwangju in 2021-2022. The mass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were 17±11 and 22±14 ㎍/m3 in Seoul, and 16±9 and 19±12 ㎍/m3 in Gwangju, respectively. The average ratios of PM1.0/PM2.5 were 83±16% in Seoul and 83±7% in Gwangju.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M1.0 and PM2.5 were similar at both sites with OC component being the most dominant, and NO3- increasing from summer to winter, while, the difference of chemical distribution at the two sites was most distinct in the autumn. Gwangju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OC and a lower proportion of NO3- compared to Seoul during the autumn. Both sites appear to reflect their urban characteristics, with Gwangju also reflecting the impact of biomass combustion as a part of rural activities.

기존의 MHEMT와 InP 합성 채널 MHEMT의 소자의 항복 특성 분석 및 비교 연구 (Study of Composite channel Structure of Metamorphic HEMT for the Improved Device Characteristics)

  • 최석규;백용현;한민;방석호;윤진섭;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12호
    • /
    • pp.1-6
    • /
    • 2007
  • 본 논문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metamorphic high electron transistor (MHEMT)의 채널에 InP를 추가하여 제작 하였다. InP는 In0.53Ga0.47As와 비교하여 낮은 충돌 이온화 계수를 가지고 있다. 그런 특성을 MHEMT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낮은 항복전압의 개선에 이용하였다. 우리는 기존의 MHEMT와 InP 합성 채널 MHEMT의 항복 특성과 주파수 특성을 비교 하였다. 본 논문에서 InP 합성 채널 MHEMT의 on-state와 off-state 항복전압이 각각 2.4와 5.7 V가 측정 되었고 또한 cut-off 주파수와 maximum oscillation 주파수는 각각 160 GHz와 230 GHz가 측정 되었다. 위의 결과는 InP 합성 채널 MHEMT가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용 소자에 이용되는데 큰 장점을 갖는 소자임을 알 수 있다.

Intracellular calcium-dependent regulation of the sperm-specific calcium-activated potassium channel, hSlo3, by the BKCa activator LDD175

  • Wijerathne, Tharaka Darshana;Kim, Jihyun;Yang, Dongki;Lee, Kyu P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2호
    • /
    • pp.241-249
    • /
    • 2017
  • Plasma membrane hyperpolarization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Ca^{2+}$-activated $K^+$ channe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erm capacitation during fertilization. Although Slo3 (slowpoke homologue 3), together with the auxiliary ${\gamma}^2$-subunit, LRRC52 (leucine-rich-repeat-containing 52), is known to mediate the pH-sensitive, sperm-specific $K^+$ current KSper in mice, the molecular identity of this channel in human sperm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tested the classical $BK_{Ca}$ activators, NS1619 and LDD175, on human Slo3, heterologously expressed in HEK293 cells together with its functional interacting ${\gamma}^2$ subunit, hLRRC52. As previously reported, Slo3 $K^+$ current was unaffected by iberiotoxin or 4-aminopyridine, but was inhibited by ~50% by 20 mM TEA. Extracellular alkalinization potentiated hSlo3 $K^+$ current, and internal alkalinization and $Ca^{2+}$ elevation induced a leftward shift its activation voltage. NS1619, which acts intracellularly to modulate hSlo1 gating, attenuated hSlo3 $K^+$ currents, whereas LDD175 increased this current and induced membrane potential hyperpolarization. LDD175-induced potenti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a change in the half-activation voltage at different intracellular pHs (pH 7.3 and pH 8.0) in the absence of intracellular $Ca^{2+}$. In contrast,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2+}$ dramatically enhanced the LDD175-induced leftward shift in the half-activation potential of hSlo3. Therefore, the mechanism of action does not involve pH-dependent modulation of hSlo3 gating; instead, LDD175 may modulate $Ca^{2+}$-dependent activation of hSlo3. Thus, LDD175 potentially activates native KSper and may induce membrane hyperpolarization-associated hyperactivation in human sperm.

Effects of Ulmi Pumilae Cortex on AGS Gastric Cancer Cells

  • Lim, Bora;Lee, Hee Jung;Kim, Min Chul;Kim, Byung Joo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5-61
    • /
    • 2013
  • Objective: Ulmi Pumilae Cortex (UPC) is a deciduous tree with uneven pinnate leaves and is classified as a subfamily of Ulmuceae and contains many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PC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AGS cells, the most commo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s. Methods: The AGS cells were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UPC. Analyses of the sub G1, caspase-3 activity, an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GS cell death occured by apoptosis. Furthermore, to identify the role of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TRPM) 7 channels in AGS cell growth and survival, we used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 cells overexpressed with TRPM7 channels. Results: The addition of UPC to a culture medium inhibited AGS cell growth and survival.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ub G1, caspase-3 activity, an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were increased. Furthermore, TRPM7 channel overexpression in HEK 293 cells exacerbated UPC-induced cell death.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PC inhibits the growth and survival of gastric cancer cells due to a blockade of the TRPM7 channel activity. Therefore, UPC is a potential drug for treatment of gastric cancer, and TRPM7 channe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urvival in cases of gastric cancer.

컨볼루션 코딩 OFDM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volution Coding OFDM Systems)

  • 최승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94-301
    • /
    • 2013
  • OFDM 전송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송신 비선형 전력증폭기와 반송파 주파수편차에 의한 부반송파 간 간섭으로 인하여 수신기에서 비트 오류율이 증가된다. 무선 다중경로 페이딩 전송채널에서는 여러 개의 OFDM 부반송파 주파수 구간동안 연속적으로 전송이득이 작은 구간이 존재하므로, 전송 시 연집에러가 발생되어, 데이터 재생 시 비트 오류율이 증가 된다. 이러한 연집에러에 의한 비트 오류율의 감소에는 인터리버와 컨볼루션 에러제어코딩이 효과적이다. 한편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전송채널을 추정하는 현 시스템에서는 전송채널 추정에러로 인하여 역시 비트 오류율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전력증폭기, 반송파 주파수편차 및 채널추정에러의 영향을 고려하여, 송신 신호가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때, 인터리버와 컨볼루션 코딩을 이용하는 OFDM 시스템의 데이터 비트 오류율 성능을 분석한다.

광통신용 다채널 CMOS 차동 전치증폭기 어레이 (Multichannel Transimpedance Amplifier Away in a $0.35\mu m$ CMOS Technology for Optical Communication Applications)

  • 허태관;조상복;박성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2권8호
    • /
    • pp.53-60
    • /
    • 2005
  • 최근 낮은 기가비트급 광통신 집적회로의 구현에 sub-micron CMOS 공정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 0.35m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4채널 3.125Gb/s 차동 전치증폭기 어레이를 구현하였다. 설계한 각 채널의 전치증폭기는 차동구조로 regulated cascode (RGC) 설계 기법을 이용하였고, 액티브 인덕터를 이용한 인덕티브 피킹 기술을 이용하여 대역폭 확장을 하였다 Post-layout 시뮬레이션 결과, 각 채널 당 59.3dBW의 트랜스임피던스 이득, 0.5pF 기생 포토다이오드 캐패시턴스에 대해 2.450Hz의 -3dB 대역폭, 그리고 18.4pA/sqrt(Hz)의 평균 노이즈 전류 스펙트럼 밀도를 보였다. 전치증폭기 어레이의 공급전원은 단일전압 3.3V 이고, 전력소모는 92mw이다. 이는 4채널 RGC 전치증폭기 어레이가 저전력, 초고속 광인터컨넥트 분야에 적합함을 보여준다.

Hot-Carrier 현상을 줄인 새로운 구조의 자기-정렬된 ESD MOSFET의 분석 (Analysis of a Novel Self-Aligned ESD MOSFET having Reduced Hot-Carrier Effects)

  • 김경환;장민우;최우영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5호
    • /
    • pp.21-28
    • /
    • 1999
  • Deep Submicron 영역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소자로서 자기-정렬된 ESD(Elevated Source/Drain)구조의 MOSFET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ESD 구조는 일반적인 LDD(Lightly-Doped Drain)구조와는 달리 한번의 소오스/드레인 이온주입 과정이 필요하며, 건식 식각 방법을 적용하여 채널의 함몰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거가 가능한 질화막 측벽을 최종 질화막 측벽의 형성 이전에 선택적인 채널 이온주입을 위한 마스크로 활용하여 hot-carrier 현상을 감소시켰으며, 반전된 질화막 측벽을 사용하여 기존이 ESD 구조에서 문제시될 수 있는 자기-정렬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채널의 함몰 깊이 및 측벽의 넓이를 조정함으로써 충격이온화율(ⅠSUB/ID) 및 DIBL(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유효채널 길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두 번의 질화막 측벽을 사용함으로써 hot-carrier 현상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Honokiol Potentiates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hrough GABAA Receptor Cl- Channel Activation

  • Ma, Yuan;Ma, Hong;Jo, Young-Jun;Kim, Dong-Seon;Woo, Sung-Sick;Li, Rihua;Hong, Jin-Tae;Moon, Dong-Cheul;Oh, Ki-Wan;Eun, Jae-S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4호
    • /
    • pp.328-335
    • /
    • 2008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honokiol could enhance the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hroug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receptor $Cl^-$ channel activation. Thirty minutes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honokiol, mice were received sodium pentobarbital (42 mg/kg, i.p.). The time elapsed from pentobarbital injection to the loss of the righting reflex was taken as sleeping latency. The time elapsed between the loss and voluntary recovery of the righting reflex was considered as the total sleeping time. Western blot technique and $Cl^-$ sensitive fluorescence probe were us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GABA_A$ receptor subunits and $Cl^-$ influx in the primary cultured cerebellar granule cells. Honokiol (0.1 and 0.2 mg/kg) prolonged the sleeping time induced by pentobarbital (42 mg/kg) in a dosage-dependent manner. Honokiol (20 and 50 ${\mu}M$) increased $Cl^-$ influx in primary cultured cerebellar granule cells, and selectively increased the $GABA_A$ receptor $\alpha$-subunit expression, but had no effect on the abundance of $\beta$ or $\gamma$-subunits. Chronic treatment with 20 ${\mu}M$ honokiol in primary cultured cerebellar neurons did not affect the abundance of GAD65/67. The results suggested that honokiol could potentiate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through $GABA_A$ receptor $Cl^-$ channel activation.

10 nm 이하 DGMOSFET의 도핑농도에 따른 항복전압 (Breakdown Voltage for Doping Concentration of Sub-10 nm Double Gate MOSFET)

  • 정학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8-690
    • /
    • 2017
  • 항복전압의 감소는 채널길이 감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심각한 단채널 효과이다. 트랜지스터 동작 중에 발생하는 단채널 효과는 트랜지스터의 동작범위를 감소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10 nm 이하 채널길이를 갖는 이중게이트 MOSFET에서 채널크기의 변화를 파라미터로 하여 채널도핑에 따른 항복전압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석학적 전위분포에 의한 열방사 전류와 터널링 전류를 구하고 두 성분의 합으로 구성된 드레인 전류가 $10{\mu}A$가 될 때, 드레인 전압을 항복전압으로 정의하였다. 결과적으로 채널 도핑농도가 증가할수록 항복전압은 크게 증가하였다. 채널길이가 감소하면서 항복전압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두께 및 산화막 두께를 매우 작게 유지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터널링 전류의 구성비가 증가할수록 항복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