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nucleotide variation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재래닭의 고변이 Lysozyme 유전자의 SNP 확인 (Identification of SNPs in Highly Variable Lysozyme Gene in Korean Native Chicken Populations)

  • 라세둘;강보석;임희경;최강덕;이준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99-404
    • /
    • 2010
  • 닭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변이가 많다고 알려진 LYZ 유전자의 엑손과 인트론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2개의 한국 재래실용계에서 총 24개체의 DNA 샘플이 본 연구에서 이용되었으며 단일염기 다형의 확인을 위하여 3개체의 샘플을 혼합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적색야계와의 비교를 통하여 두 한국 재래실용계는 18개의 염기서열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 재래실용계 간에는 15개의 염기서열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총 33개의 변이 중 두 개의 삽입변이(21 bp와 4 bp)가 확인되었다. 한편, 2번째 엑손의 1426 bp 위치에 존재하는 단일염기 다형(p.Ala49Val)은 아미노산의 변이를 나타내는 미스센스 돌연변이로 확인되었다. 이 돌연변이는 이 lysozyme 효소의 촉매작용을 하는 위치에 놓여 있어 효소의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LYZ 유전자의 변이는 이 유전자의 기능뿐 아니라 한국 재래실용계 집단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IL28B rs12979860 Gene Polymorphism in Egyptia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fected with HCV

  • Zekri, Abdel-Rahman N.;Salama, Hosny;Medhat, Eman;Bahnassy, Abeer A.;Morsy, Heba M.;Lotfy, Mai M.;Ahmed, Rasha;Darwish, Tarneem;Marei, Mohamad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213-7218
    • /
    • 2014
  • Background: Egypt has one of the highest prevalences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worldwide. Although the IL28B gene polymorphism has been shown to modify the course of chronic HCV infection, this has not been properly assessed in the Egypti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IL28B rs1297986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as therefore examined in 256 HCV-infected Egyptian patients (group II) at different stages of disease progression and in 48 healthy volunteers (group I). Group II was subdivided into GII-A (chronic hepatitis patients, n=119), GII-B (post hepatitis cirrhosis, n=66) and GII-C (HCC on top of cirrhosis, n=71). Results: The C/T genotype was the commonest in all groups. It was more frequent in GI (52%) than in GII (4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T and C/C or T/T genotypes between groups and subgroups (p=0.82). Within the subgroups; the C/C genotype was more common in GII-B while C/T and T/T genotypes were more common in GII-C, though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9 and p=0.80).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L28B rs12979860 SNP and viral load, ALT, AFP level, METAVIR scores for necro-inflammation and fibrosis, and Child-Pugh classification. Conclusions: 1) IL28Brs12979860 C/T genotype is the commonest genotype in HCV-associated CH and HCC in Egypt. 2) IL28Brs12979860 polymorphisms are not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or aggression (histological staging, severity of fibrosis in CH or the incidence of post-HCV HCC). 3) Differences in IL28Brs12979860 genotypes could be a consequence of environmental or ethnic variation.

Whole Genome Association Study to Detec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for Body Conformation Traits in a Hanwoo Population

  • Alama, M.;Lee, Y.M.;Park, B.L.;Kim, J.H.;Lee, S.S.;Shin, H.D.;Kim, K.S.;Kim, N.S.;Kim, J.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322-329
    • /
    • 2011
  • A whole genome association (WGA)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body conformation traits in Hanwoo cattle. The phenotypes of 497 steers were recorded from the Hanwoo Improvemen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eosan, Korea, and analyzed using the Illumina Bovine 50 k SNP chip. A set of 35,987 SNPs that were available in the Hanwoo population was selected from the chip. After adjustments for the effects of year-season of birth, region and sire, phenotypes were regressed on each SNP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Three hundred nineteen SNPs were detected for the ten conformation traits (p<0.003). For the significant SNPs, stepwise regression procedures were applied to determine best sets of markers. A total of 72 SNPs were selected (p<0.001), for which the sets of 5, 9, 10, 9, 8, 11, 4, 6, 3 and 7 SNPs were determined for height at withers, rump height, body length, chest depth, chest width, rump length, hip width, thurl width, pinbone width and heart girth, respectively. About 7-26%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was explained by the set of SNPs for each trait. QTL for the conformation traits were harbored on most bovine chromosomes (BTAs). Four SNPs with pleiotropic effects on height at withers and rump height were detected on BTAs 3, 4, 6 and 16. A SNP with pleiotropic effects on chest width and rump length was also detected on BTA10. Two QTL regions, i.e. between 87 and 97 Mb in BTA3 and between 41 and 44 Mb in BTA7, were found, in which SNPs were detected for the five and three conformation traits, respectively. The detected SNPs need to be validated in other Hanwoo populations for commercial application to the genetic improvement of conformation characteristics in Hanwoo via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Association of the thyroid hormone responsive spot 14 alpha gene with growth-related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 Cahyadi, Muhammad;Park, Hee-Bok;Seo, Dong Won;Jin, Shil;Choi, Nuri;Heo, Kang Nyeong;Kang, Bo Seok;Jo, Cheorun;Lee, Jun He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1호
    • /
    • pp.1755-1762
    • /
    • 2020
  • Objective: Thyroid hormone responsive spot 14 alpha (THRSP)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gulation of de novo lipogenesis because the variation of THRSP mRNA content in the tissue affects directly the ability of that tissue to synthetize lipids. Also, this gene responds to thyroid hormone stimulation and high level of carbohydrate feeding or insulin-inje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ariations within THRSP and their effects on body and carcass weights in Korean native chicken (KNC). Methods: A total of 585 chickens which represent the five lines of KNC (Black, Gray-Brown, Red-Brown, White, and Yellow-Brown) were reared and body weight data were recorded every two weeks from hatch until 20 weeks of ag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DNA chips for Agilent 2100 Bioanalyzer, and Fluidigm Genotyping Technology, were applied to genotype selected markers. A linear mixed-effect model was used to access association between thes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and growth-related traits. Results: A total of 30 polymorphisms were investigated in THRSP. Of these, nine SNPs for loci were selected to perform association analyses.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detected between g.-49G>T SNP with body weight at 20 weeks of age (BW20), g.451T>C SNP with growth at 10 to 12 weeks of age (GR10-12), and g.1432A>C SNP with growth at 14 to 16 weeks trait (GR14-16) and body weight at 18 weeks of age (BW18). Moreover, diplotype of the THRSP gene significantly affected body weight at 12 weeks of age (BW12) and GR10-12 traits. Diplotype of ht1/ht2 was favorable for BW12 and GR10-12 trai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RSP can be regarded as a candidate gene for growth traits in KNC.

Association of Interleukin 10 Haplotype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Park, Byung-Lae;Han, In-Kwon;Lee, Ho-Sa;Kim, Lyoung-Hyo;Kim, Sa-Jin;Shin, Joon-Shik;Kim, Shin-Yoon;Shin, Hyoung-Doo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691-699
    • /
    • 2004
  • Osteoporos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exaggerated loss of bone mass, with as much as 50 to 85% of the variation in bone mineral density (BMD) commonly accepted as being genetically determined. Although intensive studies have attempted to elucidate the genetic effects of polymorphisms on BMD and/or osteoporosis in several genes, the genes involved are still largely unknown. The possible associations of genetic variants in five-candidate genes (IL10, CCR3, MCP1, MCP2 and GC) with spinal BMD were investigate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n = 370). Fourteen SNPs in five candidate genes were genotyped, and the haplotypes of each gene constructed. The associations of adjusted spinal BMD by age, year since menopause (YSM) and body mass index (BMI), with genetic polymorphism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Genetic association analysis of Korean postmenopausal women revealed that IL10 -592A > C and/or IL10 ht2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bone mass, whereas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with all polymorphisms in other genes. The levels of spinal BMD in individuals bearing the IL10 -592CC genotype were lower ($0.78{\pm}0.16$) than those in others ($0.85{\pm}0.17$) (P = 0.02), and the BMD of IL10 ht2 bearing individuals were also lower ($0.82{\pm}0.15$) than those in others ($0.85{\pm}0.17$) (P = 0.04). Our results suggest that variants of IL10 might play a role in the decreased BMD, although additional study might need to be followed-up in a more powerful cohort.

한우 14번 염색체 QTL 영역내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유전자의 다형성과 도체 및 육질 형질과의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f the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FABP5) Gene within the BTA 14 QTL Region and Carcass/Meat Quality Traits in Hanwoo)

  • 허강녕;김남국;이승환;김남영;전진태;박응우;오성종;김태헌;성환후;윤두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11-317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에서 소 염색체 14번(BTA14)에서 근내지방도 및 도체중과 관련성이 보고된 QTL영역(48-58cM) 내의 FABP5 유전자를 대상으로 SNP를 발굴하고 도체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PCR 및 염기서열결정법을 통해 FABP5 유전자내 4개의 SNP (-1141A>G, 949A>G, 969A>G, 1085C>G)를 발굴하였고, 이중 promoter 영역에 위치하는 SNP의 경우 미 보고된 신규 SNP로 확인되었다. 발굴된 4개의 SNP를 대상으로 표현형 기록치를 보유한 후대검정후 583두에 대하여 유전자형 분석 및 관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SNP중 SNP1(-1141A>G)은 근내지방도에 있어서 G유전자형이 A유전자형에 비해서 근내지방도가 2.2 정도 높았고, SNP2 (949A>G)는 배최장근 단면적에 있어서 G유전자형이 A유전자형보다 배장근단면적에 있어서 3 $cm^2$ 만큼 높은 효과를 보였다. 본 결과에 대해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지며, FABP5의 SNPs은 한우의 도체 및 육질 관련 형질을 위한 유전자 마커로서 활용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잎들깨에서 발생한 잠두위조바이러스2의 특성 구명 (Characterization of broad bean wilt virus 2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ens in Korea)

  • 김현선;변희성;최유지;최현용;서장균;최홍수;이봉춘;김미경;곽해련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1-13
    • /
    • 2023
  • 잠두위조바이러스2 (BBWV2)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원예, 관상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 중의 하나다. BBWV2의 넓은 기주 범위, 매개충 방제의 어려움 등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병을 예방하거나 저항성 품종의 개발 등을 위해서는 BBWV2의 새로운 분리주들의 특성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금산지역의 잎들깨 재배농가에서 분리된 BBWV2 분리주(BBWV2-GS-PF)의 유전학적·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기존에 보고된 분리주들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순수 분리된 BBWV2-GS-PF는 기존 분리주와 달리 들깨에서 심한 모자이크 증상과 고추에서 원형 반점 증상을 보였다. BBWV2-GS-PF의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 기존에 알려진 2개의 그룹과 약 76~80%의 비교적 낮은 유전자 상동성을 보이며 계통이 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징어류 종 판별을 위한 다중 유전자 검사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rmine Squid Species Based on 16s rRNA Gene)

  • 김현수;서용배;최성석;김진희;신지영;양지영;김군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류에 해당하는 대왕오징어, 오징어, 문어, 한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에 대해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한 시험법을 검토하였다. 시료 중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오징어류 4종에 대해 최적의 종 특이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으며, 시료로부터 직접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PCR 수행과정에서 반응을 저해하는 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를 이용하여 3~4회 세척 후 PCR을 실시한 결과, Single PCR의 경우 대왕오징어(552 bp), 오징어(463 bp), 문어(247 bp), 한치(354 bp)에 해당하는 종 특이적인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Multiplex PCR 의 경우 서로 다른 종 사이의 교차반응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4종에 대해 PCR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모두 약 $0.1ng/{\mu}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multiplex PCR의 경우 약 $0.25ng/{\mu}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오징어류가 함유된 수산물 가공식품 8건에 대해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유효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오징어류 4종에 대한 종 특이적 프라이머는 생물 상태뿐만 아니라 수산물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이를 판별할 수 있어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종 '우리맛닭' 부계 및 실용계에서 MC1R 유전자 변이 및 모색과의 연관성 분석 (Genetic Variations of Chicken MC1R Gene and Associations with Feather Color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Woorimatdag')

  • 박미나;김태헌;이현정;최진애;허강녕;김종대;추효준;한재용;이태헌;이준헌;이경태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9-145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맛닭 실용계의 외모 균일화 및 판별 마커개발을 위하여 수탉으로 이용되는 토종닭 순계 H계통 암탉 207수, 수탉 40수와 '우리맛닭' 실용계 60수의 혈액을 채취하고 DNA를 분리하였다. 모색 관련 후보 유전자 MC1R primer를 제작하여 PCR을 수행한 후, direct sequencing을 실시하였다. 개체별 모색 표현형을 조사한 결과, H계통 순계 암탉 207수 중 157수는 흑색 모색, 50수는 흑색+갈색 모색으로 조사되었다. 수탉의 경우, 40수 중 흑색 모색만 있는 개체는 없고, 흑색+갈색의 모색이 다양한 부위에 섞여 있었다. '우리맛닭' 실용계의 경우 흑색 모색 30수와 갈색 모색 30수를 암수 관계없이 샘플링하여 조사하였다. 모색 표현형과 유전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색 관련 후보유전자 MC1R의 sequencing 결과를 분석하여 유전자 변이를 살펴보았지만, 모색 표현형과 유전형과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토종닭 순계 H계통의 경우, 검정색의 같은 품종 내에서 갈색 이모색을 가진 개체와의 유전적 변이를 탐색한 결과, 그 차이가 분명하게 구별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우리맛닭' 실용계에서 haplotype 및 유전자빈도 분석을 통하여 이모색과의 연관성을 보다 명확하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부계와 모계의 모색 표현형과 유전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맛닭'의 모색 균일도 향상을 위한 모색 표현형과 관련 유전자의 연관성분석 및 유전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이를 이용하여 '우리맛닭'의 불법 유통을 막고 고품질 브랜드화를 위한 분자마커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 Lipoprotein Lipase 유전자 Intron 5번의 Polymorphism과 경제 형질과의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n Intron 5 of the Lipoprotein Lipase Gene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Korean cattle))

  • 이한주;이승환;조용민;윤호백;전봉균;오성종;권무식;윤두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47-956
    • /
    • 2004
  • 생물체의 체내 지방대사에 아주 중요하게 작용하는 LPL의 유전자 구조변이가 한우의 경제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사람 등 포유류에서 주요한 변이부위로 인식되어 온 LPL유전자의 exon 5${\sim}$exon 6 영역에서 구조변이를 탐색하였다. 부모가 각기 다른 한우 24두를 이용하여 PCR 증폭산물 1674 bp (exon 5${\sim}$exon 6)에서 총 8 좌위의 SNP 검출하였는데, 이는 SNP 검출율이 약 1SNP/210bp로 기존 SNP 검출율 보다 비교적 높은 비율이며, 검출된 SNP들 간에 95% 이상의 높은 연관(linkage) 관계를 보여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영역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검출된 SNP를 PCR-RFLP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형질 기록치를 확보한 한우 33차 후대검정축 129두의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intron 5번의 제한효소 Hae III로 처리한 823A\longrightarrowG 변이부위가 측정된 모든 도체형질에서 유전자형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근내지방도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사람 및 생쥐에서 LPL의 촉매활성부위를 암호화하는 exon 5번 및 6번에서의 변이는 LPL의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혈액내의 중성지방농도 및 지방대사에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들 변이구조와 95% 이상 강한 연관을 보이는 intron 5번의 구조변이는 근내지방도와 유의적으로 관찰되었다. 앞으로, intron 5번의 823A\longrightarrowG 변이가 어떤 근거로 근내지방도와 유의적으로 나타났는지 그 근거를 증명할 수 있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