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ory efficac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격 5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효능감을 매개로 (The Effects of 5 Personality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ory efficacy)

  • 김민경;김민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5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5 personality factors,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5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114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5 personality factors,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by par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5 personality factors-neuroticism and extroversion-had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5 personality factors-extrovers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elf-regulatory efficacy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ory efficacy in subjective well-being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간호대학생의 자아상과 간호사 이미지 지각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Perception of the Nurse's Image of Nursing Students)

  • 하윤주;민순;김은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5-41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elf-image of nursing students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nurs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efficacy on perception of the nurse and self imag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768 nursing students of 10 Universities from all parts of the country from June 18, 2012 to July 13, 2012.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frequency, ANOVA,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gra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the nurse's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s was measured. Results: The result of male students shows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nurs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ir self-imag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Colleges of nursing are in need of providing chances to students to attend a class related to understanding how to encourage a positive self image. In addition, a positive self image can effect a nurse's identity. A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efficacy is proved to be effective, nursing students should request a way to achieve recognition with professionalism during nurse's training.

시스템 사고가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s Thinking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 이현동;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85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시스템 사고가 과학 자기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인 자기 조절 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시스템 사고를 설정하고, 시스템 사고가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광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중 이공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20문항과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중에서 자기 조절 효능감을 알아보는 11문항과 자신감을 알아보는 8문항, 총 39문항을 투입하였으며 성실하지 못한 응답지 22부를 제외한 188부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는 20문항이 모두 의도한 요인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으며, 자기 조절 효능감은 8문항이, 자신감은 4문항이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모델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시스템 사고 5개 요인 중 학생 개인의 사고과정을 살펴보는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정신모델 3개 요인이 자기 조절 효능감 및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주었다(${\chi}^2$=344.498, df=242, TLI= .921, RMSEA= .044). 또한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정신모델 중 시스템 분석과 정신모델이 직 간접적으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신모델의 경우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사고가 과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과학 학습에 대하여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mpact of School Career Assistance on Improving Self-efficacy: Moderating Effects of Grit and Regulatory Focus

  • SangWoo Hah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1호
    • /
    • pp.191-202
    • /
    • 2024
  • Self-efficacy is a major factor related to performance and needs to be improved in business and education field. This study explains the effectiveness of school career assistance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Furthermore, it demonstr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grit and regulatory focus (promote and prevention). School career assistance is based on group support, and moderating variables in this paper a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se group and individual dimensions, if the effectiveness of school career assistance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s will be able to establish self-efficacy improvement strategies more appropriate for individual students. School would underst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rit and regulatory focus, then could make individual strategy for enhancing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of school and student will improve through the self-efficacy improvemen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여고생의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박명희;공수자;김창숙;김란;김영재;박인순;정순아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4호
    • /
    • pp.90-1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07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2 schools located at Province J.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 to 24 in 2009, by self 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3.0 program.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iffered by economic state and school record.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ly correlated to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Self-regulatory efficacy, peer support and self-confidence accounted for 34.7% of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how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peer support and self-confid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practic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ncrease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the Self-Efficacy of Youth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 홍성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71-8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the self-efficacy of youth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697 university students 314 males and 383 females. All respondents submitted their answers on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Young ma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perception compared to young females. Regard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b)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lf-efficacy of youth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c) Self-satisfaction, self-confidence regarding one's career, satisfaction with one's friends, satisfaction with one's parental relationship, quantity of reading, and the amount of study-time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elf-efficacy of youth, whereas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d) Self-efficacy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youth subjective quality of life. Self-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youth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ereas the quantity of reading, the amount of study-time, self-confidence with one's career,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one's parental relationship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However, self-confidence with one's career, satisfaction with one's parental relationship,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quantity of reading all had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young males and females.

치과기공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of dental technician)

  • 정효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7-90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survey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for 500 dental technician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500 dental technician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buk. This study was done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17.0 for Windows. As for the analysis methods, the study used the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mean, t-test,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Self-efficacy of dental technician shows self confidence(M= 3.56), self regulatory efficacy(M=3.48), task difficulty preference(M=3.46). Job satisfaction of dental technician shows affairs satisfaction(M=3.58), colleague satisfaction(M=3.57), promotion satisfaction(M=3.48), salary satisfaction(M=3.56). Self-efficacy which affect on job satisfation was self confidence and self regulatory efficacy. Conclusion : A sense of self-efficacy and degree of job satisfaction are high when the sense of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could be high only through a high sense of self-efficacy. In order to promote dental technician and dental hygienis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ducation and career and monthly salary is required high.

대학생의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 박재환;최민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9-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성된 조절초점이론에 따르면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과 동기는 개인별로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상초점 지향적인 대학생들과 예방초점 지향적인 대학생들에 따라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6개의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수강한 49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총 309명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창업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 관계에서 조절초점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상초점 지향적인 대학생들은 예방초점 지향적인 대학생들보다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론과 예방초점 지향적인 대학생들을 위한 특화된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융·복합 시대의 자기효능감이 목표설정이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조절자원의 고갈과 비고갈 집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to Goal Setting in the ag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Self-regulatory depletion and non-depletion group)

  • 송찬섭;이선규;김연규;강은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1-164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이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개인이 자아를 통제하는 힘인 자아조절자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효능감과 목표설정이론 간의 관계를 자아조절자원을 조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조절자원의 고갈 및 비고갈 집단을 조작하여, 자기효능감과 목표설정에 따른 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성과에 대한 목표설정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아조절자원이 강화되는 것을 일부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의 증대는 자아조절자원의 강화를 통해 꾸준히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 토대가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종업원의 장기적인 고성과를 원하는 경우에 참고할만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이브커머스에서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과 서비스애착 관계에 미치는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Service Attachment in Live-commerce)

  • 성정연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4호
    • /
    • pp.83-97
    • /
    • 2023
  • 라이브커머스 시장의 성장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간단하게 라이브커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 서비스 이용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며, 심리적 애착을 느끼면서 이용하게 되고, 더 나아가 심리적 애착과 소비자 자신과의 자아일치, 자아정체성까지 연결된다. 본 연구는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동기와 지각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즉, 소비자의 개인적, 심리적 특성으로 조절초점성향과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의 조절효과를 통해 서비스애착과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다시 말해, 소비자의 동기와 목표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성향이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주어진 상황이나 과업에서 원하는 결과를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개인적인 자신감 및 확신과 신념인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본다. 분석결과, 예방초점을 높게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결과를 회피하고, 안전과 의무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개인적인 자신감과 신념인 자아효능감이 상쇄시켜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에 대한 애착을 더 강하게 형성시켰다. 라이브커머스 서비스 이용 시, 정보획득에 대해 유익하다고 지각할수록, 자신의 신념인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므로 안전추구성향과 부정적 결과를 회피하려는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들에게 인지적 경험뿐 아니라 감정적 경험인 서비스애착이 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라이브커머스에 진입하려는 기업 및 소상공인들에게 운영전략 및 관리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