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tching adhesiv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자가부식 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대한 시효처리 효과 (AGING EFFEC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S)

  • 박진성;김종순;김민수;손호현;권혁춘;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15-426
    • /
    • 2006
  •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강도의 변화를 관찰하고, 중합률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36개의 상하악 대구치를 Single Bond (SB, 3M ESPE, USA), Clearfil SE Bond (SE, Kuraray, Japan), Xeno-III (XIII, Dentsply, Germany), 및 Adper Prompt (AP, 3M ESPE, USA)를 적용하는 4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미세인장접착강도 측정 시점에 따라 22$^{\circ}$C의 증류수에 보관 후 48시간에 측정한 군과 7일 후 측정한 군, 및 접착된 시편을 5000회 열순환을 시행하고 측정한 군으로 나누었다. 모래시계 형태의 접착시편을 제작하여 만능시험기 (Model 4466; Instron Co., USA)로 1 mm/min의 하중속도 하에서 미세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제의 중합률은 Fourier 변환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중합 직후, 48시간, 1주일에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파절 단면을 관찰하였다. 미세인장접착강도와 중합률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시간 경과와 재료간에 교호작용이 있었다 (미세인장접착강도, 2-way ANOVA, p = 0.018; 중합률, Repeated Measures ANOVA, p < 0.001) . XIII와 AP의 낮은 미세인장접착강도는 낮은 중합률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8시간 이후에 SE와 AP에서 접착강도가 증가 되는 것은 중합률과는 관련이 없고, 전자현미경에서 관찰되는 접착제층의 성숙에 따른 취성의 증가가 원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제의 적용방식이 법랑질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A SELF-ETCHING PRIMER ADHESIVE SYSTEM ON ENAMEL BOND STRENGTH)

  • 박재구;조권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90-97
    • /
    • 2008
  • 이 연구는 Clearfil SE Bond를 거친 법랑질 표면에 적용할 때,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적용방식 (능동적인 또는 수동적인)과 접착레진의 도포회수 (1회 또는 2회)가 법랑질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16개의 발거된 대구치 치관의 협면이나 설면에서 법랑질 절편을 만들어 4개의 군으로 배정한 다음, 1군은 프라이머를 수동적으로 적용한 후 접착레진을 1회 도포하였고, 2군은 프라이머를 능동적으로 적용한 후 접착레진을 1회 도포하였고, 3군은 프라이머를 수동적으로 적용한 후 접착레진을 2회 도포하였고, 4군은 프라이머를 능동적으로 적용한 후 접착레진을 2회 도포하였다. 적용된 접착레진을 10초간 광조사한 후, 법랑질 표면에 2-3개의 Tygon tube를 위치시키고 Clearfil AP-X를 충전하고 40초간 광조사 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에서 복합레진이 파절될 까지 분당 1.0 mm의 cross-head speed로 전단하중을 가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거친 법랑질에 대한 Clearfil SE Bond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적용방식 보다는 접착레진의 도포회수에 의해 증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누출과 변연부 혼화층 (MICROLEAKAGE AND MARGINAL HYBRID LAYER OF DENTIN ADHESIVES)

  • 조영곤;김영관;안종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1호
    • /
    • pp.34-4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icroleakage and marginal hybrid layer in class V restorations using two one-bottle adhesives and one self-etching adhesive.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3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n=30) and restored with three adhesives and composites: Single Bond/Filtek Z-250 (Group 1), Prime&BondNT/Esthet.X (Group 2), UniFil Bond/UniFil F (Group 3). For microleakage, samples were stored in room temperature water for 24 hours, thermocycled stained with 2% methylene blue dye, sectioned into halves, scored and analysed using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sum test. For marginal hybrid layer, samples were sectioned into halves, treated with 10% phosphoric acid for 5 seconds, stored in 5% NaOCL solution for 24 hours, dried and gold coated. Occlusal and gingival margins of each sample were inspect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icroleakage at the occlusal margins was not evident in group 1 and group 2, but it showed in group 3 (p<0.05). 2. Microleakage in group 1 and group 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group 2 at gingival margins (p<0.05). 3. Microleakage at gingival margins was greater than at occlusal margins in group 1 and group 2, but microleakage at occlusal margins was greater than at gingival margins in group 3 (p<0.05). 4. In group 1 and group 2, no gaps at occlusal margins showed. But gaps showed in group 3. Occlusal margins were free from a hybrid layer in all groups 5. The thickness of the marginal hybrid layers was 2.5~5 $\mu\textrm{m}$ thick in group 5 $\mu\textrm{m}$ thick in group 2 and 1.5 $\mu\textrm{m}$ thick in group 3. 6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microleakage and thickness of marginal hybrid layer. In coclusion, the effect of dentin adhesives on microleakge in class V composite restorations was excellent when one-bottle adhesives were applied on enamel margin, and it was good when a self-etching adhesive was applied on dentinal margin.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microleakage and thickness of marginal hybrid layer.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식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application methods of one-step self-etching adhesiv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최철규;손성애;하진희;허복;김현철;권용훈;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03-210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의 적용이 직접 복합 레진 수복의 미세 인장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3종류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Clearfil Tri-S Bond, Adper Prompt L-Pop, G-Bond)와 적용 방식에 따라 1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다음의 방식으로 상아질에 적용하였다. 1) single coating, 2) double coating, 3) manual agitation, 4) ultrasonic agitation. 접착제 적용 후, 광중합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한 후, 각 군당 15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Manual agitation, ultrasonic agitation군은 single coating, doub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다. Double coating군은 sing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 manual agitation군과 ultrasonic agitation군 간에는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착제 종류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중 Clearfil Tri-S Bond가 가장 높았다. 결론: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법과 재료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접착제 종류에 관계없이 manual agitation과 ultrasonic agitation은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수종의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물성 및 lithium disilicate ceramic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AND THEIR SHEAR BOND STRENGTH ON LITHIUM DISILICATE CERAMIC AND DENTIN)

  • 신혜진;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84-1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 처리와 수복물 내면의 처리가 필요 없는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물성 및 lithium disilicate ceramic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군인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로는 Rely-X Unicem, Embrace Wetbond, Maxcem, BisCem을, 대조군으로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인 Rely-X ARC, 수복용 복합레진인 Z-350을 사용하였다. 각 레진 시멘트의 물성 평가를 위하여 테플론 주형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 간접인장강도,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IPS Empress 2 및 상아질 시편에 제조사의 지시대로 Rely-X ARE군과 Z-350군에만 전처리를 시행 후 각 시멘트를 접착하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인 Biscem이 가장 낮은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P<0.05). 2.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상아질 및 도재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에 비해 물리적 성질 및 상아질과 lithium disilicate ceramic에 대한 전단결합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상아질계면 접촉각 및 미세인장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and Bond Strength Using 3 Different Self-Etching Primer)

  • 장석우;권호범;유현미;박동성;오태석;배광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Clearfil SE Bond, AdheSE, Tyrian) 사용시 상아질계면의 접촉각 및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연마된 상아질 표면에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를 각각 적용한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n=30),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측정을 위해서는 상아질 표면에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 및 상아질 접착제를 각각 적용한 후 광중합 복합레진 (Z 250)을 5mm 두께로 쌓아 올렸다. 그 후 각 시편을 결합계면에 수직으로 분할한 뒤 (n=45)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였고, Kruskal-Wallis test를 통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접촉각 측정결과, AdheSE, Clearfil SE Bond, Tyrian 순으로 높은 접촉각을 보였으며 각 군간 통계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미세인장결합강도 측정결과 Clearfil SE Bond군과 AdheSE군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yrian군은 Clearfil SE Bond 군이나 AdheSE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작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simplified methods for repairing CAD/CAM feldspathic ceramics

  • Carrabba, Michele;Vichi, Alessandro;Louca, Chris;Ferrari, Marc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4호
    • /
    • pp.257-264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the adhesion to CAD/CAM feldspathic blocks by failure analysis and shear bond strength test (SBSt) of different restorative systems and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for purpose of moderate chipping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A self-adhering flowable composite (Vertise Flow, Kerr) containing bi-functional phosphate monomers and a conventional flowable resin composite (Premise Flow, Kerr) applied with and without adhesive system (Optibond Solo Plus, Kerr) were combined with three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Hydrofluoric Acid Etching, Sandblasting, combination of both) for repairing feldspathic ceramics. Two commercial systems for ceramic repairing were tested as controls (Porcelain Repair Kit, Ultradent, and CoJet System, 3M). SBSt was performed and failure mode was evaluated using a digital microscope. A One-Way ANOVA (Tukey test for post hoc) was applied to the SBSt data and the Fisher's Exact Test was applied to the failure analysis data. RESULTS. The use of resin systems containing bi-functional phosphate monomers combined with hydrofluoric acid etching of the ceramic surface gave the highest values in terms of bond strength and of more favorable failure modalities. CONCLUSION. The simplified repairing method based on self-adhering flowable resin combined with the use of hydrofluoric acid etching showed high bond strength values and a favorable failure mode. Repairing of ceramic chipping with a self-adhering flowable resin associated with hydrofluoric acid etching showed high bond strength with a less time consuming and technique-sensitive procedure compared to standard procedure.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cytotoxicity of self-etching primers)

  • 이창훈;김인령;김규천;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2-433
    • /
    • 2006
  •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는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교정치료를 하는 동안 치주조직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가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 이를 전통적인 접착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편은 임상에서 브라켓 접착 시 사용하는 Transbond XT Adhesive (3M Unitek, Monrovia, CA, USA)를 각각 Transbond XT Primer (3M Unitek, Monrovia, CA, USA), Clearfil SE bond (Kuraray, Osaka, Japan), Transbond Plus Self Etching Primer, Adper Prompt L-Pop (3M Unitek, Monrovia, CA, USA)과 혼합한 후 광중합하여 제작하였고, Transbond XT Adhesive를 중합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배양된 HGF-1 (Human eingiva Fibroblast),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RHEK (immorialize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에 노출시킨 후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고, MTT assay를 시행하여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72시간 후 HGF-1, HaCaT,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나 세포 돌기의 위축, 세포 형태의 변화, 세포 수의 감소, 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MTT assay 실험 시 HGF-1 을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Transbond Plus SEP, Adper Prompt L-Pop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고, HaCaT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fil SE Bond,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Transbond XT Primer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가 산부식프라이머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높으므로 구강내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하악 전치 설측면에 대한 다양한 접착시스템의 접착강도 (Bond strength of different bonding systems to the lingual surface enamel of mandibular incisors)

  • Turkoz, Cagri;Tuncer, Burcu Balos;Ulusoy, Mehmet Cagri;Tuncer, Cumhu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착시스템과 법랑질 보호제 등이 설측 브라켓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75개의 발치된 하악 전치를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 후 설측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Group 1은 Transbond XT를, Group 2는 Transbond XT와 함께 불소 유리레진(Ortho-coat)을 Group 3는 Transbond XT와 Chloro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를 Group 4는 광중합 접착제(Aegis Ortho)를 Group 5는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 (Clearfil Protect Bond)을 사용하였다. 불소유리 레진이나 Chlorohexidine varnish의 사용유무는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Group 5이 다른 그룹에 비해 접착력과 접착제 잔류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법랑질 보호제 적용 시 설측 브라켓의 접착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번에 사용한 제품들은 설측 교정치료 기간 동안 환자의 구강위생을 개선시킬 수 있어 환자와 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에나멜 층이 얇은 경우 Clearfil Protect Bond의 과도한 접착강도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 후 셀프 에칭 프라이머를 이용한 브라켓 접착 시 법랑질과 브라켓 간의 결합 강도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enamel with a self-etching primer after bleaching and desensitizer application)

  • Attar, Nuray;Korkmaz, Yonca;Kilical, Yasemin;Saglam-Aydinatay, Banu;Bicer, Ceren Ozg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2-348
    • /
    • 2010
  • 본 연구는 미백, 탈감작제 도포 후, 셀프 에칭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브라켓 접착 시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48개의 소구치를 무작위로 12개씩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Group 1: 15% hydrogen-peroxide office bleaching agent (Illumine Office-IO), Group 2: IO + BisBlock Oxalate Dentin-Desensitizer, Group 3: Bis-Block Oxalate Dentin-Desensitizer, Group 4: 아무것도 하지 않음(대조군). 브라켓 접착 24시간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의 속도를 5 mm/min로 하여 브라켓이 탈락할 때까지 시행하였다. Modified adhesive remnant index를 이용하여 탈락 양상을 분석하였다. 미백만 시행,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 탈감작제만 도포한 경우 모두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p$ = 0.001), 이 세 실험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Group 1-Group 2, $p$ = 0.564; Group 1-Group 3, $p$ = 0.371; Group 2-Group 3, $p$ = 0.133). 세 실험군에서 브라켓의 탈락은 주로 법랑질-접착제 계면에서 발생하여 브라켓 베이스에 접착제의 100%가 남아있었다. 따라서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는 교정치료 후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