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field learning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8초

IC-PBL 기반의 패션 소비트렌드 분석 수업 개선 및 교육적 효과 (Improvem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ashion Consumption Trend Analysis Class Based on IC-PBL)

  • 이재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5호
    • /
    • pp.121-134
    • /
    • 2023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est in new educational approaches that can enhanc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learners with improved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s increasing, and universities are actively promoting educational innovation to foster the talents required by society. In the field of fashion studies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fashion industry, there is a strong need to develop field-linke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trends in the industry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IC-PBL) to the course "Understanding Fashion Consumption Trends" for non-fashion majors to reflect the current needs and strengthe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learners through a survey. A seven-step curriculum (introduction to the class, practitioner's problem, learner's problem analysis, organizing concepts related to variables, information collection and scenario writing, presentation and scenario proposal, and evaluation) not only enhanced learners' understanding of fashion consumption trends and the fashion industry but also greatly amplified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seven-step curriculu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fidence in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stronger than other factors, consistent with the core principle of problem-based learning to empower learners to take the initiative and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Each factor analyzed was positively correlated.

주제중심 프로젝트 모형을 적용한 해양분야의 STEAM 교육 설계 및 효과 분석 (Designing of STEAM Education in the Marine Field Applied with the Thematic Project Model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

  • 최성봉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15-927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affective ability of students by applying a thematic project model concerning the marine field unit of science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mong diverse methods of realizing STEAM education. Also, based on this, STEAM education is a new type of learning including the process of exploring by oneself, presenting, discussing and mutually evaluating by becoming an independent person in learning 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EAM class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discovered to promote a learning attitude toward science by learners. Second, the STEAM class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ird, STEAM education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found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This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learners who have felt difficulty in the science curriculum or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curriculum by triggering voluntary motivation.

대학생의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and Psychological Types in University Student)

  • 김미영;이자희;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2-34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성격유형 검사 도구와 e-러닝 학습양식 도구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계열별, 성별, 인터넷 사용량과 e-러닝 학습양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열별(공과계열, 인문 사회계열, 예 체능계열) 대학생간에 e-러닝 학습양식의 유형은 같다.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e-러닝 학습양식은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 적극적 협동 학습형, 독자적 자율 학습형, 소극적 학습형의 순서이다. 둘째, 성별 e-러닝 학습양식은 다르다. 남,녀 모두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이 많지만 특히 여학생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적극적 협동학습형이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인터넷 사용량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가 없다. 넷째, 성격유형 즉, 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형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는 없다. 따라서 성격유형은 e-러닝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초등학교 과학과 '지구'분야의 ICT 활용 수업모듈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on Earth Field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 이용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09-417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ICT 활용 수업모듈의 개발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개방성, 자아개념, 솔선수범,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대해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학습열성, 책임감에서는 향상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에서는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융통성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의학교육기관의 학생연구: 왜 우리는 학생연구를 말하는가? (Student Research in Basic Medical Education: Why Do We Say Student Research?)

  • 박원균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2호
    • /
    • pp.57-59
    • /
    • 2015
  • Student research has been proposed as an educational strategy to fulfill the current requirements in basic medical education (BME) and to compatible with the self-directe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the goals of student research are to develop the competencies of critical, reflective, and self-directed thinking; 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as well as to acquire the skills necessary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analyze the literature; to cultivate the talent of mastering a specialized field through deeply intensified learning; and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supervisors. To successfully implement student research, authorities on BME should to plan the procedure for the student research projects and allocate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adequately in order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self-evalua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e completion of daily records, to develop the habit of consistently evaluating one's own study, and to maintain a collegi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supervisors by offering the proper feedbacks in a timely and consistent manner. In conclusion, despite several obstacles and difficulties in the establishment of successful student research projects, student research could provide students the motivation to develop themselves into expert academic researchers, and play a role in educating students to help solve patients' problem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in the future.

교육 서비스 프랜차이즈의 자기주도 학습관 사업화 사례연구 - 대교 눈높이 러닝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Successful Strategy for Self-Directed Learning Center of Educational Service Franchise - Focusing on the Case of Learning Center of Daekyo Noonnoppi -)

  • 유동근;홍종필;황재광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5권1호
    • /
    • pp.49-64
    • /
    • 2014
  • 본 연구는 대표 눈높이 러닝센터의 사업화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 서비스 프랜차이즈 기업의 자기주도 학습관 사업화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교 눈높이 러닝센터는 자기주도 학습관과 관련된 프랜차이즈 사업화의 선두주자로 해당 산업 내에서 이러한 성공을 이끈 경영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대교가 성공적으로 러닝센터 사업화를 이룰 수 있던 것은 목표관리, 학습관리, 그리고 환경관리 등의 3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대교는 목표관리로 꿈과 학습목표 및 학습실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대교는 학습 성향검사를 통한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탐색하고 도모하게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대교는 지속적인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는 학습관리로서, 대교는 30여 년 노하우의 눈높이 교재를 통한 체계적인 기초학력을 정착하는데 도움을 주고, 학습자 중심의 개인별 맞춤 솔루션 제공 및 정확한 진도를 관리하며, 출결시스템을 통한 학습시간 관리 및 1:1 학습지도를 통한 학습실천 관리를 제공한다. 셋째는 환경관리로서, 대교는 이를 위해 과목별 담당교사 및 집중력 있는 시설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공부환경을 조성해주고,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통한 LAB학습, 동영상 학습을 통한 다양하고 재미있는 공부공간을 제공해준다.

e-러닝 환경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관한 연구 (A Survey Study on Learning Behavioral Styles of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 윤자룡;김연진;남승권;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7-12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적합한 e-러닝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중 e-러닝 경험이 있는 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e-러닝 학습행동양식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학습행동양식, 성별, 학년별, 그리고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e-러닝 학습행동양식을 검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에 차이가 있다. 영재학생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행동형(EDSLBS)의 비율은 높았으며, 독자적 자율 학습행동형(EISLBS)의 비율은 낮았다. 이를 통해 영재학생들을 위한 e-러닝 환경을 설계할 때에는 학생들이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교수자와 항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 학년별,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 기관에서 e-러닝 교육을 할 때에는 일반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할 때와는 달리 영재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한 후 각 영재학생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영재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소극적 학습행동형(PLBS)이 가장 많았으며, 그 비율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e-러닝 환경을 설계할 때 특히 소극적 학습행동형 학생을 가장 많이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내·외향적 성격이 프로그래밍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rospective or Outgoing Personality Type on Programm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 김세민;유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061-1067
    • /
    • 2018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이 많은 부가가치를 낳으면서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이에 세계 각 나라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성격유형검사의 설문 항목을 재구성하고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들의 태도를 관찰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각 성격유형의 장점을 적용하면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습 수준정보를 반영한 지능형 자기 주도 학습 앱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Self-directed learning APP for Considering User Learning Level)

  • 이현섭;김진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5-62
    • /
    • 2013
  • 현재 앱의 대부분은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교육용 앱은 시장 비율이 매우 낮다. 이런 현상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한다. 첫 번째는 단순한 패턴의 문제 풀이로 인한 재사용 빈도의 하락이며, 두 번째는 학습한 영역의 사용자 수준을 고려한 학습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환경에서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능형 맞춤 교육 앱을 제안하고 구현 결과를 제시한다. 시스템은 학습 결과를 분석하여 취약 영역을 판단한다. 취약 영역의 경우 가중치를 통해 다음번 제공되는 문제 수가 증가한다. 아울러 시간 개념을 도입한 재검증 모듈은 학습자의 장기기억을 돕는다. 이와 같이 제안하는 시스템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직접적으로 지원 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 학습에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 PDF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정의적 영역 및 비교과 체험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Curriculum of Science Core School on the the Affective Domain and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Satisfaction)

  • 송경훈;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123
    • /
    • 2013
  • Under this research, the survey is made on the definitive influence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each of humanities, science and science core cours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non-curriculum experiment activity program for each cours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set three research issues. First, By clarifying the research result through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for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hange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for each desired course of students. Secon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change, there was meaningful change for each desired field of students. Students hoping for humanities curriculum had great help in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for openness, creativeness and the like, but the influence was slightly insufficient in the moderation and control capability on themselves in learning attitude. Third,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 comprehensively,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provides high level of tailored science learning for the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