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716건 처리시간 0.028초

가정과 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행동 분석 (An Analysis of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Report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for Improving Home Economics Education)

  • 류상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5-25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s who are working at Korean secondary school for changing their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and developing home economics curriculum. A mail questionnaire,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PTP) was used to survey randomly selected 525 Home Economics teachers. The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examined were customary-instrumental, interactive and reflective practices. Customary-instrumental practice was the predominant type of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us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bout 26% of the teachers used reflective practice, and 14.67% used interactive practice. Only the number of stud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Five influential factors on teaching practices identifi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emerged in the following order: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al system, lack of class hours, lack of resource materials and facilities, demand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administrators, or parents, and large class sizes.

  • PDF

Tensions betwee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Educational Policy Regulating Academic Acceleration in Korea

  • 이동근;신동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99-227
    • /
    • 2023
  •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n educational policy regulating academic acceleration in schools (e.g., regulating teaching or assessing above-grade-level content) in order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and prevent the growth of private tutoring. To analyze whether the policy is achieving its intended goals, this study examined how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responded to the policy. The findings indicate four distinct teacher responses: the teachers would teach above-grade-level lessons in classes, but not assess them on a test; the teachers sought academic acceleration to prevent excessive private tutoring, although the policymakers thought that teachers' academic acceleration results in an excessiv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the teachers were willing to teach above-grade-level content for students, but they were reluctant to teach below-grade-level content due to the time constraints; a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olicy limited their curricular autonomy, even though it was intended to ensure their autonomy.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makers are discussed.

동물 해부실험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The Awareness of Secondary Teachers and Students toward Animal Dissection in Biology Class)

  • 이선경;이재영;김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1-460
    • /
    • 1996
  • The ethical iss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both sci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Especially related to the right of other species, animal dissection has been brought about two contradictory attitudes. In spring 1996,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tatus of animal dissec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awareness of 94 biology teachers and 422 secondary students toward animal dissection. And the meaning of animal dissection in biology class was discussed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96.6%) had participated once or twice to animal dissection experiments(eg. fish, frog, shellfish, cuttlefish and chicken). And about half of teachers (57.4$\sim$64.9%) and some students(41.9%) felt ethical conflict in animal dissection. Second, many teachers(81.0%) and students(87.1%) thought that animal dissection was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goal of biology education, but they needed more consideration on the respect for life in animal dissection experiment. Third, many teachers(88.3%) had students, who objected to animal dissection, participate obligatorily or passively. Fourth, teachers and students thought that audio-visual media such as video(teachers 63.5%, students 39.7%), computer simulations(teachers 31.7%, students 28.1%) and models(teachers 22.2%, students 24.1%) could be effective as alternativ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imal dissection experiment, although it is needed to achieve the goal of biology education,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rights of animal and the respect for life, and alternatives for students who object to animal dissection in biology class.

  • PDF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or without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 지덕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 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초.중등학교의 세포, 유전 영역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 생물 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bout Cell and Gene Domain to be Taught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s by Secondary Biology Teacher)

  • 정재훈;윤정주;손종경;이태상;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36-646
    • /
    • 2010
  •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지도해야 할 세포, 유전 영역에 대한 필수, 선택 및 비필수 개념에 대해 중등 생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선정된 개념은 일반 생물학과 고등학교 생물 과정에 필요한 기본개념 연구와 BSCS의 통합 권고안을 참고하여 선정한 후 생물학 전공 교수 5명의 자문을 구하여 최종 17개의 세포 영역 개념과 23개의 유전 영역의 개념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중등 생물 교사 14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지도해야할 필수, 선택, 비필수 생물 개념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포, 유전 영역에서 중등 생물 교사들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지도해야 할 필수 개념들이 많아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과 교육과정 그리고 BSCS 권고안에서 제시한 개념보다 더 많은 개념을 가르쳐야 한다고 중등 생물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Experience of e-Learning during Lockdow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lharthi, Emad M.;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33-3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learning on the educational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teacher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seven teachers: two working in primary school, two in middle school, and three in secondary school. The research appli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llowing are required for the effective use of e-learning: firstly, appropriate training courses need to be offered to teachers, students, and families and secondly, it is vital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 appropriate digital devices to maintain contact with their teachers. The study concludes by recommend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lications and/or programs capable of support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ir use of e-learning.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exhaustion on Middle School teacher)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81-87
    • /
    • 2018
  • 교사들 사이에 명예퇴직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는 급격한 환경변화와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창원시 소재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정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소된 개인성취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과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원의 스트레스요인의 분석을 토대로 한 행정의 간소화, 수업에의 몰입이 가능토록 개선이 시급하다하겠다.

수학화 교수.학습을 위한 교수단원 디자인 연구: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의 재발명 (A Study on the Design of Teaching Uni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sing: Reinvention of Bretschneider's Formula)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327-33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의 재발명을 소재로, 중등예비교사용 수학화 교수단원 <사각형의 넓이>를 디자인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이 이 교수단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현상을 조직하는 본질을 발명하는 수학화를 경험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은 그들이 정말로 수학을 발명하는 것처럼, 브라마굽타의 공식과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을 발명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학 지식 발명의 한 가지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은 브라마굽타 공식과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을 재발명하면서, 새로운 수학 지식이 이미 잘 알고 있는 수학 지식으로부터 유추를 통해 발명되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교수학과 학문 수학의 연결을 이해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평행사변형, 사다리꼴의 구적 공식과 헤론의 공식과 같은 학교수학이 학문 수학이라 할 수 있는 브라마굽타의 공식과 브레트슈나이더 공식 사이의 관계를 통해, 학교수학과 학문 수학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 PD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Responses to a Student's Mistaken Mathematical Conjecture and Justification

  • Kim, Young-Ok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09-135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al conjecture and justification. Data in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ing nine Chinese and te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 that was designed in the form of a scenario that presents a teaching task related to a geometrical topic. The teachers' oral response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and their written not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ared to the analysis of American and Chines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sponses to the same task in Ball (1988) and Ma (1999).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approaches to explaining and demonstrating a mathematical topic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knowledge of learners and knowledge of the curriculum they teach. One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that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advantages of learn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 mathematical topic. It allows the teachers to have the flexibility to come up with meaningful mathematical approaches to teaching the topic, which are comprehensible to the learners whatever the grade levels they teach, rather than rule-based algorithms.

과제대화록 작성하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ing Through the Task Dialogue Activity)

  • 김지수;이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511-536
    • /
    • 2017
  • 수학교실에서 효과적인 논의기반 수업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사는 여러 가지 교수학적 행동을 취할 수 있지만, 그 기반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이해이다. 교사는 수업 중 유발될 수 있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 해결 접근 방법에 대비하여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및 교수학적 대처를 사전에 예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학적 담화 조정 능력 신장의 일환으로 Spangler & Hallman(2014)의 과제 대화록 작성하기 활동을 보완하여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 수업에 적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특징을 학생 반응과 교수학적 대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그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에, 그 과제와 유사한 혹은 동일한 수학과제를 가르쳐 본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한 가지 이상의 옳은 문제해결 방법을 예상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고, 문제를 옳게 해결한 학생들에 대하여 그들의 문제해결법을 묻는 것 외의 수학적 사고를 탐색하거나 확산할 수 있는 발문을 하는 것에 어려워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 문제해결의 결정적 힌트를 제공하거나 절차적 지식에 치중한 발문을 하여 결과적으로 처음에 제시한 수학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저하시켰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대화록 활동이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능력 신장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과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