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or without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9.11.26
  • Accepted : 2019.12.19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udging that the existence of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is related to the expertise of the common science map. To that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18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were analyzed as statistical processing and descriptive questions as topical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teachers with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had a high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the response average was high in all areas of value, direction and success cond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e average response of teachers with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was also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ith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strength of science education and ESD integration, but the difference was that teachers with a common science teaching certificate focused on science in all topics and recognized science as a medium for each topic compared to teachers who did no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 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선, 손연아(2016).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의 수업적용 및 효과 분석: 그룹탐구모형과 배려모형 적용 수업 모델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29(1), 79-95. https://doi.org/10.17965/KJEE.2016.29.1.79
  2. 곽영순(2019). 교사연수 성과평가를 통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정착 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197-205.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2.197
  3. 곽영순, 신영준(2019). 2015 개정 통합과학 수업관찰을 통한 실행된 교육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79-38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379
  4. 곽영순, 이재봉, 이양락(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263-27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263
  5.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6. 교육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고등학교). 교육부.
  7.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02-1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8.1002
  8. 김영성(2000). 고등학교 '공통 과학'의 지도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00-213.
  9. 김현정, 안유민(2019). 통합과학 실행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187-195.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2.187
  10. 맹희주, 손연아(2011).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601-614.
  11. 맹희주, 손연아(2012).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교과교육학연구, 16(2), 539-563.
  12. 손연아(2016). 사회적 책임을 접목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구조 및 지숙가능발전교육과의 통합교육 전략 제안. 교육문화연구, 22(6), 279-312.
  13. 송진웅, 나지연(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https://doi.org/10.15737/SSJ.9.2.201507.72
  14. 양찬호, 곽영순, 한재영, 노태희(2013).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45-358.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45
  15.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6.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2). 지속가능발전교육 길잡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7. 이예다나, 권회림(2019). 중등예비교사의 교과교육학적 지식(PCK)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논총, 40(4), 31-52.
  18. 이학동(1986). 통합과학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43-52.
  19. 이학동, 김숙향, 노경임, 손연아(1996). 과학교육계 학과에서의 통합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사전 교육실태. 생물교육, 24(1), 9-24.
  20. 이한용, 손연아(2018).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통합을 위한 Science-ESD 수업모델 개발. 통합교육과정연구, 12(4), 197-225.
  21. Blei, D. M., Ng, A. Y., &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
  22. Mitchener, C. P., & Anderson, R. D. (1989). Teachers' perspectiv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sts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4), 351-369. https://doi.org/10.1002/tea.3660260407
  23. UNESCO (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NY.
  24. UNESCO (2010). Teaching and lear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retrieved from http://www.unesco.org/education/tlsf/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