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0.30.5.63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bout Cell and Gene Domain to be Taught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s by Secondary Biology Teacher  

Jeong, Jae-Ho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Yoon, Jung-Ju (Gumi Middle School)
Son, Jong-Kyu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e, Tae-Sang (Sangji University)
Kim, Young-Sh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0, no.5, 2010 , pp. 636-6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secondary biology teachers' recognition about cell and gene concepts that should be taught in biology according to each school level and to classify the concepts into essential, optional and non-essential one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in consultation with 5 biology professors after selecting some biological concepts from some data about the recommendations of BSCS, biology, study for the connection with biological contents in each school level.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biological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146 individuals) from all over Korea for studying the concepts of the cell and gen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The number of essential concepts in the cell and gene domain increases as the school levels go up. Moreover, secondary biology teacher recognized that there must be much more cell and gene concepts that should be taugh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ompared to those sugges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and BSCS' recommendation.
Keywords
biological concept; cell; gene; essential concep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지영(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고등학생의 학력변화: TIMSS 및 PISA 주기별 결과에 나타난 과학 성취도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8-33.
2 강연경, 송방호(2008). 중등학교 유전 관련 내용의 학교.학년급간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429-443.
3 Venville, G., & Donovan, J. (2005). Searching for clarity to teach the complexity of the gene concept. Teaching Science - the Journal of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51(3), 20-24.
4 Weiss, I. R., Pasley, J. D., Banilower, E. R., & Heck, D. J. (2003). A study of K-12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hapel Hill, NC: Horizon Research.
5 Labillois, J. M., & Lagace-Seguin, D. G. (2007). Does a good fit matter? Exploring teachign styles, emotion regulation, and child anxiety in the classroom.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4, iFirst Article.
6 Oliver, J. S., Jackson, D. F., Chun, S., Kemp, A., Tippins, D. J., Leonard, R., Kang, N. H., & Rascoe, B. (2001). The concept of scientific literacy: a view of the current debate as an outgrowth of the past two centuries. Electronic Journal of Literacy through Science, 1(1), 1-33.
7 Schroeder, M., Mckeough, A., Graham, S., Stock, H., & Bisanz, G. (2009). The contribution of trade books to early science literacy: in and out of school.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9(2), 231-250.   DOI   ScienceOn
8 Tolman, R. R. (1982). Difficulties in genetics problem solving.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44(9), 525-527.   DOI
9 Meichtry, Y. J.(1993). The impact of science curricula on student view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5), 429-443.   DOI   ScienceOn
10 Murcia, K. (2009). Re-think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literacy through a rope metaph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9(2), 215-229.   DOI   ScienceOn
11 Campbell, N. A., Reece, J. B., Taylor, M. R., & Simon, E. J. (2006). Biology-Concept and Connections(5th Ed.). Pearson Education. 고인 정, 김명원, 김옥용, 김희진, 서영훈, 신주욱, 윤미정, 윤인선, 이영원, 이혜영, 진언선, 하영미(역). (2006). 생명과학(5판). 서울: 바이오사이언스.
12 Lewis, J. & Wood-Robinson, C. (2000). Genes, chromosomes, cell division and inheritance - Do students see any relation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2),177-195.   DOI   ScienceOn
13 Finley, F. N., Stewart, J., & Yarroch, W. L. (1982). Teachers'perceptions of important and difficult science content. Science Education, 66(4), 531-538.   DOI
14 Kassab, S., Al-shobul, Q., Abu-hijleh., & Hamdy, H. (2006). Teaching styles of tutors in a problem-based curriculum : Students'and tutors'perception. Medical Teacher, 28(5), 460-464.   DOI   ScienceOn
15 Knippels, M-C P. J., Waarlo, A. J. & Boersma, K. T. (2005). Design criteria for learning and teaching genetic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9(3), 108-112.   DOI   ScienceOn
1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2006). Project 2061 : Atlas of science literacy Vol II. Washington, DC.
17 Banet, E., & Ayuso, E. (2000). Teaching genetics at secondary school: A strategy for teaching about the location of inheritance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84(3), 313-351.   DOI   ScienceOn
18 BSCS(1995). Developing biological literacy: A guide to developing secondary and postsecondary biology curricula(2nd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Colorado Springs.
19 Duncan, R. G., Rogat, A. D., & Yarden, A. (2009). A learning progression for deepening students'understandings of modern genetics across the 5th-10th gra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55-674.   DOI   ScienceOn
20 이양락(2004). 교육과정 개발 체계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68-480.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이학동, 손연아, 노경임, 송진웅(1996). 과학교사의 양성.임용.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22 여성희(1999). 초.중.고등학교 생물 영역의 환 경 학습 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295-305.
23 정화숙, 박현숙, 임영진, 김자림(2005). 제7차 교 육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196-208.
24 정화숙, 여경환, 임영진, 박강은(2001). 중등 교과서 광합성 영역의 실험(관찰)에 대한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3), 230-238.
25 조희형(1985). 고등학교 생물의 기본개념의 확인 및 결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1-17.
2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2001). Project 2061 : Atlas of Science Literacy. Washington, DC.
27 신영준(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에서의 탐구 활동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35-141.
28 백성혜, 김효남, 조부경(2000).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0(2), 262-273.
29 송순희, 이영하, 이종록, 김성원, 강순희, 박종윤, 강순자, 김규한, 유계화(1991). 수학 및 과학 교과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무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119-131.
30 신동희, 노국향(2002). 우리 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76-92.   과학기술학회마을
31 심규철, 이부연, 김현섭(2003). 국민공통기본교육 과정 과학과의 생명영역 물질대사에 관련한 학습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27-633.   과학기술학회마을
32 이명제(2009). 과학적 소양의 정의를 향하여. 초등과학 교육, 28(4), 487-494.   과학기술학회마을
33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34 국동식, 김학만(2004). 초.중.고등학교 과학과정 중 기상학 내용의 개념 연계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소논총, 20(1), 1-10.
35 이미경, 정은영(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고등학생의 학력변화: 과학 영역에서의 학 력 변화의 원인 분석과 대책. 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자료 ORM 2008-33.
36 김현아, 이동준, 이준규(2006).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의 연속성 단원의 개념 수준과 구성 체계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3), 345-354.
37 김희백, 이성조, 김형련, 이선경, 강경미, 김성하 (2002). 유전 개념의 이해를 위한 염색체 모형 이용 수업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3), 282-288.
38 김영민(2007).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의 시각(eye vision) 개념의 연계성과 표현 방식 분석 및 연계성을 고려한 시각 개념 구성의 한 가지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56-465.   과학기술학회마을
39 민효정, 정영란(1992). 중학교 과학 3 'II. 생명의 연속성' 단원의 개념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21-29.
40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07-79.
41 김영신, 윤정주, 손종경(2009a). 초.중등학교의 동.식물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2), 256-268.
42 김영신, 정재훈, 윤정주, 손종경(2009b). 초.중등학교의 진화, 생물의 다양성, 생태 영역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조사. 중등교육 연구, 57(3), 29-52.
43 김영신, 김후자, 손종경, 정재훈(2009c). 제 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93-711.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