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specific competenci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및 미래핵심간호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Nurses' Percep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in a Tertiary Hospital)

  • 권지혜;김미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1호
    • /
    • pp.95-10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the analysis of nurse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in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eou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nurses with more than a year of work experienc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with the IBM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3.23±0.71 out of 5 points. The importance of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was 4.31±0.48, and the performance of it was 3.47±0.54. The analysis results of IPA showed that A (area of continuous maintenance) included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skills, teamwork and collaboration, evidence-based practice, communication, quality improvement and safety, professionalism, self-regulation and self-management, and personal literacy. The specific competencies were not included in B (area of priority improvement). Creativity, informatics, healthcare policy, leadership, research ability, and continuing education were included in C (area of progressive improvement). Knowledge and patient-centered care, ability to manage resources as well as professional,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were included in D (area of overinvestment). Conclusion: The nurses seemed not to be fully prepa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y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future core nursing competencies. Therefore, if nurses increase the performance of core competencies in order of priority according to the IPA results, they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lead the changing nursing field.

Rational Leadership for the Middle East: A Multiple Competencies Model

  • ALDULAIMI, Saeed Hamee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687-69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prevailing skepticism that conventional leadership models are not effective in the Middle East. With the same logic, selecting leaders is a confusing task in the Middle East due to the haphazardness surrounding this task and the lack of clarity of appropriate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employs samples of leadership theories and frameworks that were scrutinized to classify specific leadership dimensions. The triangular model stemm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addressed Leadership in general and the Leadership model for the Middle East. With the use of the literature review methodologies and historical analysis, the leadership model's description will be demonstr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various dimensions of Leadership, especially concerning the Middle East's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a new model which assists in clarifying the issue by setting a group of 10 personality traits with eight behavioral skills and social status.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able making Leadership easier in practice. Furthermore, this will enable recognition of Leadership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which will help make greater equality and empowerment at all levels of the system. This research localizes Leadership and paves the way to automate leaders' selection process with a guarantee of fairness among candidates.

과학대중화를 위한 과학관 해설사 역량 탐색 :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Science Communicators' Competencies for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Focusing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ience Communicators' Curriculums)

  • 박영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3-390
    • /
    • 2022
  • 이 연구는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양성 및 재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비교하면서 국내의 체계적인 과학관 해설사의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의 국립과학관, 자연사박물관, 및 시립과학관 총 6개의 기관에서 국외는 5개의 나라의 과학관 및 자연사박물관 등의 해설사 교육담당 실무자와 해설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여 해설사의 교육과정의 현황, 문제점, 개선점 등에 대해서 2차에 걸친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의 2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모범 박 해설사의 수업일지, 본인 개발 해설사 운영매뉴얼, 인터뷰 등의 자료를 통해 이러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증거자료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해설사 관련 결과는 공통점과 특정한 내용으로 비교 기술되었으며 또한 Falk(2006)가 제시한 학습맥락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으로 제시되는 3가지 맥락인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물리적 맥락에 비추어 해설사의 역량과 얼마나 연계가 있는지도 제시하였다. 국내의 경우는 이러한 학습맥락모형에 연계된 역량강화가 잘 드러나지 않는 반면에 국외 특히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의 맥락에서 필요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 참여한 20년 경력의 모범 박 해설사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 맥락에서 필요한 역량을 모두 갖춘 경력해설사이기에 이러한 경력해설사로 구성된 멘토 체계로 초임해설사를 양성하고 역량강화를 하는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국내 과학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추구하는 과학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관람객들의 정체성을 잘 파악하여 방문하는 이들에게 최대한의 과학 학습효과를 경험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상호작용하는 과학해설사의 교육과정이 운영실무자와 해설사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해설사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는 실무기반 멘토링 제도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교육방법 및 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 김순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9-259
    • /
    • 2006
  • 본 연구는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기에 앞서 정보문해 교육방법과내용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등교육 정보문해 기준과모형 및 정보문해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분석과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NASAD)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을 위한 기준과 지침의 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교육방법과내용에 대한 디자인 전문가의 견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디자인학과 요청에 의한 도서관 전문사서의 디자인 정보문해 교육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학습 및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특정 컨텐츠와 정보탐색 프로세스에 기반을 두고, 디자인분야 특정 도구, 자원을 상세히 제시하는 정보문해 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방사선사 핵심 직무역량 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 (A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Core Job Com petency Model)

  • 임창선;조아라;허예라;최성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69-484
    • /
    • 2017
  • 방사선사는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므로 전문적인 직무역량(job competency)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현재 한국에서는 방사선사의 직무역량을 밝히고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한국 방사선사의 핵심 직무역량 지표를 정의하고 역량군별 요인모델을 제시하고자 방사선사 직무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147명의 응답내용을 취합하였다. 응답 내용은 PASW Statistics Version 18.0와 AMO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전문직업성', '환자관리', '건강 및 안전', '장비의 운영', '절차와 관리'의 5개 핵심 직무역량군과 17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모델을 구성하였다. 5개 핵심 직무역량군의 측정 모델 RMSEA 값은 0.1, CFI와 TLI 값이 0.9에 근사하게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타당도 분석 결과 평균분산추출 값 0.5이상, 개념신뢰도 값 0.7이상으로 각 하위 역량에 포함된 세부 항목 간에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의료 환경에서 방사선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명확히 제시하여 역량 중심의 인적 자원 양성과 관리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대한 토픽 모델링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of nursing education programs: Topic modeling)

  • 박은준;옥종선;박찬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0-41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keywords and major topics of the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of nurs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Methods: From May 10 to May 20, 2022, the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of all 201 nurs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Using the NetMiner program, degree and degree centrality, semantic structure, and topic modeling were analyzed. Results: The top keywords and semantic structures of educational goals included 'respect for human (life)-spirit-science-based on, global-competency-professional nurse-nursing personnel-training, professional-science-knowledge-skills, and patients-therapeutic care-relationship.' The educational goals' major topics were clients well-being based on science and respect for human life, a practicing nurse with capabilities and spirit, fostering a nursing personnel with creativity and professionalism, and training of global nurses. The top keywords and semantic structure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cluded 'holistic care-nursing-research-action-capability, critical thinking-health-problem solving-capability, and efficiency-communication-collaboration-capability.' The educational objectives' major topics were 'nurs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a change of healthcare environments and a progress of nursing practices; fostering professional nurses with creativity and global capability; and clients' health and nursing practice.' Conclusion: Educational goals in nursing presented specific nursing values and concepts, such as respect for human life, therapeutic care relationships, and the promotion of well-being. Educational objectives in nursing presented the competencies of nurses as defined by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Recently, the KABONE announced new program outcomes and competencies, which will require the revision of educational goals. To achieve those educational objectives, it is suggested that the expected level of competencies be clearly defined for nursing graduates.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Small Group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and the Human Relationship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원정숙;신현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4권2호
    • /
    • pp.60-66
    • /
    • 2008
  • Background: Communication training in nursing college students is an integral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ir competency in dealing with patients. However, the traditional lecture style of training delivery may not be desirably effectiv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utilizing a small group dynamic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human relationship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One hundred twenty six freshmen in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and human relationships (Relationship Change Scale) were used at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of the training period. Eighty-three students from two nursing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43 students from other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s. Each of the 11 small groups was composed of 7 or 8 students. The weekly program that ran during the 2007 fall semester from October 1st to December 11th consisted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includ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Johari's window, empathy, active listening, and transactional analysi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ies, specific nonverbal competencies, and human relationshi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students demonstrated greater improvement in nonverb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awareness of human relationships. Conclusions: Small group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nursing students.

  • PDF

과학교사의 상.역할.능력의 탐색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Ideal Image/Role/Competency)

  • 조희형;고영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9-281
    • /
    • 2008
  • 우리나라에서는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자격 기준을 법령에 이수해야 할 과목 또는 영역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그런 과목과 영역은 훌륭한 교사가 지녀야 할 능력과 자질을 명시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교사 자격 기준으로, 또는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그 목적과 내용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과학교사의 역할, 과학교사의 능력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 심층면담, 자문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대상은 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72명, 중학교 교사 8명, 고등학교 교사 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에는 네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목록은 10영역 44개의 상으로, 과학교사의 역할 목록은 여섯 영역 32개의 역할로, 과학교사의 능력 목록은 여덟 영역 75개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자격과 평가의 기준을 이수할 과정이나 과목 대신에 교사가 지녀야할 능력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유능한 과학교사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과학교사 양성교육과정 내용 및 과목의 내용을 선정 조직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밖에 과학교사의 자격을 그의 능력과 자질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A Practice of Reading to Learn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3-441
    • /
    • 2007
  • 독서능력은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리고 평생학습능력을 위한 핵심능력이며, 학습독서는 자원기반학습이나 탐구기반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의 한 방법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완성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협동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으로서 독서기반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소개한다.

  • PDF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Evaluation and Requirement of Librarians on LIS Education)

  • 이제환;이기명;김정호;윤유라;이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69
    • /
    • 2005
  •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장사서의 관점에서 현행 문헌정보학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공공, 대학, 전문, 그리고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7명으로부터 유효 답변을 회수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1) 현장 사서들은 현행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과 내용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2) 그들이 생각하는 사서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능력은 무엇인지, 나아가, 3) 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사서를 양성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 교육이 담보해 내야하는 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