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교육방법 및 내용에 관한 연구

  • 김순희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정보자료실)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before the developing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Model that can improv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After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standards & program for higher education and the NASAD standards & guidelin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by the Delphi Survey. As a result of Delphi Survey, the research found out that design discipline preferred Hands-on design-specific instruction by professional librarian at the request of a department and required design-specific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seeking practices within the design discipline, and providing design-specific tools, resources to helping students apply in learning and actual situation.

본 연구는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기에 앞서 정보문해 교육방법과내용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등교육 정보문해 기준과모형 및 정보문해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분석과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NASAD)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을 위한 기준과 지침의 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교육방법과내용에 대한 디자인 전문가의 견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디자인학과 요청에 의한 도서관 전문사서의 디자인 정보문해 교육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학습 및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특정 컨텐츠와 정보탐색 프로세스에 기반을 두고, 디자인분야 특정 도구, 자원을 상세히 제시하는 정보문해 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만. '정보문해 교육과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도서관문화, 제46권, 제8호 (2005. 8), pp.2-3
  2. Christine Bruce, Seven faces of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Adelaide Auslib Press. 1997)
  3.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1년도 학문분야평가인정제 디자인분야 종합보고서 (서울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1), p.15
  4.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Art and Design. NASAD Handbook 2003-2004(Reston : NASAD. 2003)
  5. 한국디자인진흥원. 2002년 디자인센서스조사 연구(분당 : 한국디자인진흥원, 2003)
  6.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교육기관 디자인 전문인력현황 및 실태조사 (서울: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1998). pp.21-23
  7. 김순희. '학문분야 · 주제별 정보소양 교육을 위한 국가 정보소양 기준과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 4집 (2005, 2). pp.103-134
  8. Eleanor. M. Smith. 'Developing an Information Skills Curriculum for the Sciences.'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online' No.37 (Spring 2003). 'cited 2004.6.20'
  9. Katherine Lynne Schilling. Information-Literacy Skills Develop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Comparison Study of the Impact of Training Methodologies on Learning Outcomes(Ed.D.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2002)
  10. Carolyn Gutierrez and Jianrong Wang. 'A Comparison of an Electronic vs Print Workbook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7, No.3 (May 2001), pp.208-212
  11. Ann Grafstein. 'A Discipline-Based Approach to Information Literac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8, No.4 (July 2002), pp.197-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