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gifted childre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6초

봉사학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초등영재아동의 특성과 영재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 Direction of Korean Gifted Education Perceived by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김라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77-185
    • /
    • 2017
  • 영재교육이 성공하려면 영재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부합하고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전문적 능력과 자질을 갖춘 교원에 의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영재아동의 특성과 우리나라 영재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대하여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초등 교사 3명에게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에서 과학·수학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봉사학습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초등영재아동들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초등영재아동들은 인지적으로 우수하고 과제에 있어 창의적이었으나, 이들의 특성은 상황에 따라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표출되거나 비춰지고 있었다. 둘째, 몇몇 영재아이들은 지는 것을 견디기 어려워 또래에게 지나친 경쟁심을 표출하고 이로 인한 불안정한 교우관계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의 질적 재고를 위하여 교사가 개별 영재아동의 독특한 특성을 인정하고 장애아동들에게 제공하는 특수교육처럼 영재교육에서도 공교육 차원에서 특별히 고안된 교육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동시에 영재아동을 영재이기 이전에 한 아동으로 바라보고 아동으로서의 대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미래의 교사가 영재학생을 가르칠 수 있는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연수 외에도 교사 양성과정에서부터 영재교육 강좌를 필수과목으로 수강해야하며 영재학급 등의 현장실습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초등과학영재아동과 일반 아동 부모의 학습관여와 지적호기심 및 과학창의성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and Children'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 오종석;이형철;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19-1128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each factor after find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with their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he children'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in the following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llectual curiosity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tific curiosity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th, a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talented child's father's learning involvement, the child'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pursuit for appropriateness and the talented child's special curiosity, and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encouragement for academic improvement and the child's flexibility and originality.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제 입학성적과 수행평가 성적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Entrance Scores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for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544-255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제 입학성적과 수행평가 성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관찰추천제를 통해 입학한 정보영재아동이 입학한 후 재학기간의 성적을 분석함으로써 관찰추천제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찰추천제로 입학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반 학생들의 입학성적순위와 수행평가 성적순위를 토대로 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한 결과, 입학성적과 수행평가 성적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입학성적이 뛰어나면 입학 후 학업성적도 뛰어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교육에 있어서 관찰추천제를 통한 영재선발 기회의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과 더불어서 이를 통한 IT산업에 있어서 인력양성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정보과학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김광찬;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81-298
    • /
    • 2005
  •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뛰어난 영재의 선발,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의 실제를 담당하는 영재교사의 뛰어난 직무수행능력 역시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교사 변인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고 더불어 이러한 전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다.

  • PDF

과학 영재들의 성별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n Problem Solving of Earth Science Area by Science Gifted Children's Gender)

  • 박병태;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61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problem solving process to earth science area by elementary science gifted children, which compared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s and problem solving to earth science area by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analyzed results showed difference by gender that in the science study level at the time of entrance to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male students was the highest in the middle school as 37.5%, and female students in the elementary 6th grade as 61.5%. And male students were investigated to do more precedent study than female students. Secondly,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earth science related problems, males made most use of problem solving process area(30.3%), and females symbolizing (27.5%) area. Thirdly, comparison of reasoning technology in problem solving process by gender indicated that both sexes made the most use of analytical reasoning (male 62.0%, female 53.6%) to solve problems.

  • PDF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no the Assessment Using Chemical Experiments for the Indentifi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in Science)

  • 박종석;박원선;박종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7-165
    • /
    • 2000
  •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는 과학영재를 선발하는데 화학실험평가를 실시하였다.지필평가와 더불어 실시된 화학실험 평가에서는 '각설탕의 용해 관찰하기(실험1)'와 '용액의 진하기 순서 알아 맞추기(실험2),로 명명된 두가지 실험이 이용되었다. '각설탕의 용해 관찰 실험'으로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관찰 능력과 그에 따른 문제인식과 모형 사용 능력을 알아보았고, '용액의 진하기 알아 맞추기 실험 '으로는 실제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 과정 중 교사의 관찰에 의해 학생들의 흥미, 과제 집착력 둥 과학적 태도도 평가하였다. 현실적으로 여려 가지 문제로 인해 실시에 어려움이 있는 실험 평가는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독특한 특성, 즉 창의성이나 유통성, 독창성을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었다.

  • PDF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지구과학 영역에서 과학 글쓰기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Scientific Writing about Earth Science Area by Gifted and Ave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병태;고민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8-165
    • /
    • 2012
  • With five gifted and nine ave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cientific writings for earth science-related topics. The analysis found that all of th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average in the writing sections of scientific nature, logical nature and creativity. Compared to the average scores, their creativity scores were far high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dicates in the writings two groups wrote, I found that the gifted students used more sentences per topic than the average students. Both groups wrote the most numbers of sentences for Volcano-related topics. In the meantime, the gifted children used the least numbers of sentences for the related topics to atmospheric pollution and the average students did so for the related topics to fossils. By the analysis on the patterns of predicate, it was observed that both groups used material predicates most and verbal predicates least. As far as the second most used predicates are concerned, the gifted children used relational predicates and the average students used mental predicates.

정보영재아동의 성별차이분석 연구 (A Study on Gender Difference Analysis for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홍석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13-3019
    • /
    • 2014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있어서, 한 나라의 국력은 IT 산업에 달려있다. 또한, 개인차원에 있어서도 IT 기술의 소양과 활용은 한 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해준다. 현재 뛰어난 인재 몇 사람이 전체 IT 산업과 학계를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영재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고 양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성별에 따른 성적차이에 관심을 두고,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성별차이분석을 위해서 서울지역의 대학부설 영재원의 정보영재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년 동안의 성적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남녀 정보영재학생들 간에 있어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남녀 학생들 간의 성적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델파이 기법을 통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의 목적과 담당교사의 수업전문성 설정 (Setting on Aim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Classe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Teachers through Delphi Method)

  • 장성구;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9-10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consensus from the expert community on the aim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the Gifted(ESCG)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for the Gifted(ESTG). For the delphi study, nineteen experts were consulted with open-ended and closed questions.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a total of 3 times. The Delphi survey was done by e-mail. The experts can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during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ix aims for ESCG. The six aims of ESCG are scientific inquiry ability grow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growth, primary science gifted's giftedness development, the future science-talented-children training, the growth of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tific attitudes growth. Second, there were four teaching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STG. Fou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science gift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the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prim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to understand the science curriculum, the ability to develop and apply primary science educa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