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gifted clas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영재 학급에 대한 효과성 조사 (A Survey on the Effect for the Science Gifted Class of Gifted Student in Elementary)

  • 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437-4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bout science gifted class student's effect of education for the science gifted class. For this, 21 item-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92 students at the 4th, 5th and 6th graders in 3 elementary gifted schools located in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positive in effect of gifted class. This was more positive as class is low. Second, gifted students are thinking that it is helped to own learning that study at gifted class in cognitive side but appeared relatively low regarding school record or utterance, study method, thinking faculty, creativity. Third, they did not think that is exerting a lot of effects about own habit that study, interest, pride in emotional side. Fourth, they thought that is effective in relation with new friends more than teachers and parents in sociocultural side. Fifth, in private tutoring side they thought that is not influencing to solve academy taking a course of decrease.

  • PDF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The Comparison on Preferences about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between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 전은선;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46-35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a help with designing science curriculum and developing science programs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by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science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For this study, 2 classe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nd 5 classes of normal students in 4th, 5th grade joined in this survey and their preferences about science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were checked using questionnair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n the area of class form, from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teaching content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clarification, structuralization, thinking of high level and diversification. In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teaching process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also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diversification and self directed learning. Second, in the area of class environment, from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classroom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teacher's support and rule and organization. In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mentality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also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influence of friends and parents. Third, in science gifted students, from comparing their preferences by gender about science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female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factors of clarification. And in other factors females showed similar preference tendency with male students. In normal students' comparing, female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factors of teacher's support. And male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factors of high level thinking and influence of friend and influence of parents.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교우기대감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by Science-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 주선아;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37-51
    • /
    • 2016
  • 이 연구는 일반학급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교우기대감과 영재학급 및 일반학급에서 초등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교우기대감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역교육청부설 영재교육원과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5, 6학년 과학영재 233명과 과학영재와 같은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일반학생 329명이다. 검사도구로는 친밀성, 능력/유사성, 도덕성의 하위영역을 범주로 하는 교우기대감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에서의 교우기대감에서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하여 친밀성과 도덕성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교우기대감이 높았으나 능력/유사성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교우기대감에서는 일반학급에 비하여 영재학급에서 친밀성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교우기대감이 높았고, 능력/유사성과 도덕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 환경에 따른 과학영재의 교우기대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Comparison of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between a Science Gifted Class and a Gener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 안태훈;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55-1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academic emo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between a science gifted class and a gener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ample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212 fifth and sixth grader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lass. Second, boredom and laziness of nega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were higher scores in general students, whereas, angry area was higher scores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Third, scientific imagination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lass. Fourth, both groups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imagination and positive science academic emotion. Especially, interest area of positive scientific academic emotion in both of the two groups influenced scientific imagination.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분석 (Characteristics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Education Managerial System for the Gifted at Elementary School Level)

  • 맹희주;서혜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ass contents and activities between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by the 'Gifted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at under the invention classroom by the 'Invention Promotion Act'.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1,7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both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and under the invention classro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students of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had higher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rate in class, higher interest in invention, and stronger significantly in a future oriented will than those under the invention classroom. The parents of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showed more enthusiastic attitude to support their students, and had significantly stronger recognition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n the invention education for the gifted helped enter an advanced school than those under the invention classroom. However, the class contents of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such as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the invention history and products on society', 'scientific inquiry skills for problem solving', 'technological and engineering abilities for creating an invention', 'developing knowledge and abilities about business and management by using a new invention'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under the invention classroom. In additio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ere not active in the class activities of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Therefore, the researchers should compensate and develop a program which can apply strategically differentiated class contents and class activities to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invention class for the gifted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 by the 'Gifted Education Promotion Act'.

  • PDF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 학급 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인지력 변화 및 일반 학급 학생과의 비교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Change i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omparison to General Class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 김형도;김동진;박광서;김은숙;진동주;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89-20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 학급 학생과 일반 학급 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창의 적 인지력을 비교함으로써 과학 창의성이 있는 학생이 과학영재로 선발되었는지와 과학영재 학급 수 업을 통해 창의성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과학영재 학급 학생과 일반 학급 학생에 대해 Khatena-Torrance 창의적 성격검사와 Torrance 창의성 검사 중 언어검사 A형을 영재 수업 전․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 학급 학생이 일반 학급 학생에 비하여 창의적인 성격을 가지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적 인지력 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학영재 학급 학생과 일반 학급 학생의 창의적 성격의 하위 요인과 창의적 인지력의 하위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가 매 우 낮아,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인지력이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영재 수업 실시 후에 과학영재 학급 학생들의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인지력은 향상되지 않았다. 따라서 과학 창의성이 있는 학생을 과학영재 학생으로 선발하는 방법과 과학영재 학생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 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인천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for the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Incheon)

  • 김은주;최선영;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3호
    • /
    • pp.192-19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curriculum for educating and operating the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 developed the framework for curriculum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gifted education. The developed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curricula of four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Incheon. And the needs of gifted students were surveyed in the classes of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urrent curriculums of two classes described the goal of th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but the content and theme of the curricula of three classes were not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the science gifted class were mainly a lecture and an experimental activity. and there was little the process of individual instruction. 3. There was not mostly the products as the results of learning because of little performed by a project teaming, an announcement and an exhibition in gifted class. 4. Most of the students of the science gifted class were estimated by the paper tests and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gifted class, not by the products and presentation etc. 5. They mostly preferred the theme of everyday life in addition to the textbook, and the instructional type of enrichment teaming and acceleration learning over the grade of themselves. 6. They mainly expect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ifted class is operated during the semester.

  • PDF

단위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f Gifted Class Management by the Teachers of Elementary Gifted Class in Science)

  • 주연정;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35-9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영재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위 학교 초등과학영재학교 영재교사 4명이며, 연구 참여자에게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인 Giorgi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의 영재교육 운영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영재교사들의 느낌, 생각, 행동, 생활변화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123개의 유의미한 진술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총 26개의 주제와 12개의 중심의미를 규명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중심의미와 주제를 토대로 영재교사의 경험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상황적 구조적 진술과 일반적 구조적 진술을 하였다. 단위학교 초등과영재학급 운영에서 영재교사가 경험하는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단위학교 수준에서의 영재학급 운영에 대한 개선점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반과 융합반에 지원한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Scientists between Science Class and Convergence Class Applicant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 박선옥;임효선;정덕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19-103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반과 융합반에 지원한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분석을 통해 과학영재와 융합영재의 특성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과학반과 융합반 지원자는 과학자라고 인식하는 범위의 차이가 있었다. 과학반 지원자는 대부분 순수과학자를 과학자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융합반 지원자는 수학자, 예술가, 건축가 등을 포함하여 과학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융합반 지원자는 과학반 지원자에 비해 '노력', '끈기', '흥미' 등 정의적 영역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과학반 지원자는 과학자의 업적에 대해 융합반 지원자보다 잘 알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반과 융합반 지원자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영재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특성을 밝혀 정리해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과학영재교육원의 융합반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을 정하는 데 준거가 될 수 있는 융합영재의 특성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가 융합반을 선발하는 데 참고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융합반을 지도할 때 정의적 영역을 중시하는 융합영재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원과 학교에서의 교우기대감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in Gifted and Regular Class by Gifted Students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 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98-11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수업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A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121명에게 친밀성, 능력 유사성, 도덕성을 하위 영역으로 하는 교우기대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은 친밀성, 도덕성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능력 유사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학급에서는 친밀성에 대한 교우 기대감이 높았고, 영재학급에서는 도덕성에 대한 교우기대감이 높았다. 또한, 교우기대감의 각 하위 영역의 일부 세부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교우기대감도 있었다. 그리고 대학부설과학영재교원의 영재학생은 지역교육청부설영재교육원과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영재학생이 보이는 교우기대감과 다른 특징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의 교우기대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