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gifted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3초

중학교 과학영재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태도 및 과학영재아의 행동특성 (The Attitude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the Gifts in Science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

  • 오경애;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1-302
    • /
    • 1995
  • Mos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s under the same study plans and educational courses. Such an equal level education policies prevent the science-gifted from developing and promoting their ability. So it is severely necessary to sort out the gifted in science and make them develop their ability. In this paper, the attitudes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the science-gifted student in middle school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One hundred science teachers of middle school who recommended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ir parents in Seoul area were questionnaired. The follows are the consequences of investigation. 1. Most teachers and parents of the gifted considered that the school should do a special care for the gifted in science. That is, they prefer the enrichment course to the acceleration course for it. 2. The teachers play the role of motivating the study and promotion very well, but do not well as either the advisor or the cooperator with the parents because of their excessive work and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ment about education of the gifted. 3. The parents play the role of the advisor or the counselor well, but do not well as the cooperator with school. 4.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there are not any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conduct characteristics. Bu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 in emotion characteristics. 5. The education of the gifted is very important for developing of country and personal promotion. So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necessary in order to sort out the gifted in science earlier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 PDF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학습동기 차이 (The Comparison of the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Motivations in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병태;고민석;김오범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917-928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와 과학학습동기 검사지를 이용해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학습동기를 조사,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에 대한 가치관,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모두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 중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는 문항에서만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에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수학영재학생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학습동기는 주의력, 자신감, 만족감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모두 높은 동기 수준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과학학습동기 영역 중 관련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수학영재학생들보다 과학학습을 실제 삶과 더 관련지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 노태희;김영훈;양찬호;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214-1228
    • /
    • 2011
  • 이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로, 그들의 수업 전문성을 PCK 측면에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과학영재교육 담당 기관에 소속된 초등 교사 3명과 중등 교사 3명을 선정한 후 그들의 과학영재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했으며, 수업 동영상과 관찰 노트,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 전사본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비교적 올바른 신념을 지니고 있었으나, 과학영재학생, 과학영재 교육과정, 과학내용, 과학영재 교수전략,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서는 실천적 지식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이는 많은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관련 수업 전문성이 여러 측면에서 다소 부족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gifted Children's Adjustment, Self-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tress)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73-94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스트레스와 적응과의 관계와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로는 첫째, 과학영재아동의 개인적응, 사회적응, 자기지각과 교사지지는 일반아동의 이러한 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과학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자기기획, 편견, 사회적 역량, 행동품행역 량, 자아가치감,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성취동기, 자기기획, 애착 및 사회적 긍정성은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영재아동의 사회적 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아가치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아동의 자아가치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지지($\beta$=.26), 친한친구지지($\beta$=.25), 부모지지($\beta$=.21), 학교친구지지($\beta$=.21)순이고 이들의 설명력은 41%이었다. 또한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지지($\beta$=-.32),친한친구지지($\beta$=-.28), 자아가치감($\beta$=-.28)순이고 이중 부모지지가 가장 예측력이 큰 변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8%이었다.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Geological Field Trips)

  • 조규성;정덕호;서은선;박경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881-89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언어네트워크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각 15명의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퇴적환경의 학습장소로 적절한 채석강에서 야외 지질학습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야외지질학습 관찰 및 학생들의 탐구활동 보고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렇게 수집된 보고서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야외지질학습 동안 학습된 퇴적환경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는 과학영재들이 일반학생에 비해 더 크고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는 퇴적물을 이루는 자갈의 특성을 분급, 원마도 등의 개념과 관련지어 퇴적환경을 적절히 해석하고 있었지만 일반학생들은 퇴적환경과 관련된 개념이 파편화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일반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자유탐구 지도방식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Philosophical Views and Instruction Strategies for Open-inquiry between Teachers of Science-gifted and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 최현동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5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cience philosophical views and instruction strategies for open-inquiry between teachers of science-gifted and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The subjects were 45 teachers of science-gifted and 45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s on the science philosophical views between teachers of science-gifted and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by chi-square tests (p<.05).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how task assignments, how to guide exploration data, and how to write reports between teachers of science-gifted and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p<.05). Bu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on how to proceed with exploration activities between teachers of science-gifted and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p<.05). It is implied that thi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ill help the focus of future efforts to promote more adequate the science philosophical views and instruction strategies for open-inquiry in teachers of science-gifted.

과학 자기 효능감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과학 태도 및 신뢰도에 대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비교 (A Study on Parental Science Attitude and Trust Perceived b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Science Self-Efficacy)

  • 김혜민;유병길;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505-515
    • /
    • 2015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parenta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rust perceived by them and their science self-efficacy. To achieve this purpose, a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elementar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ifted students recognized more positively their parents' attitude toward science than general students, and both of group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eir mothers' than fathers'. Secondly, Parents' trust by gifted students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by general students, bu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irdly, The average of science self-efficacy for gifted student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for general students.

초등학교 과학영재학급 학생선발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최선영;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27-3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st of a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net homepages 23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s of universities and 16 city. province office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a multi-step examination process. The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records by recommendation of a principal or a classroom teacher in their school, by operation of standardized tests (ex. intelligence quotient score, achievements in science and mathematics, interest and attitude/aptitude for science as well as through other means), as well as through intensive observation of those gifted science students who are selected by interview and oral tests.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was not evaluated through creativity testing; giftedness in city.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Testing of CPS was found to be especially lacking in these organiz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st items of CPS in science, the five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framework for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PS: problem exploration, problem statement, solution thinking, experiment design, and assesment.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an appropriate scoring system for the test of the CPS. As the result of the developed test was applied to the 4th grade of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 we found that gifted students were superior to general students. In conclusion, it was that the CPS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evaluate the CPS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 PDF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about science s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and scientist)

  • 박종석;심규철;육근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85-97
    • /
    • 2001
  • 현재 각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센터 사업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 중 과학영재들과 관련되어 그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도 중요한 한가지 요소가 될 것이다. 이에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직업 의식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는 설문으로 이루어졌는데, ‘과학과 사회’, ‘과학과 과학자’, ‘과학과 나’, ‘과학’ 등의 영역에서 8가지 세부 항목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과학 영재들은 과학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주로 생활의 편리성을 들었고, 주로 환경오염 등을 제시하였다. 과학자를 보는 시각은 연구를 하는 사람, 노력하는 사람, 그래서 다른 일에 소홀히 하는 사람으로 보고 있다. 존경하는 과학자로는 아인슈타인이나 에디슨 등 외국 과학자가 많았다.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는 과학자가 주를 이루었고, 과학교사나 연구원 등이 있었다. 한편 모든 직업이 과학과 관련된다고 여기는 과학영재들도 있었다. 원하는 직업으로는 과학자가 많았지만, 의사나 한의사, 사업가, 가수 등도 있었다. 과학이란 단어가 주는 이미지는 신기함이나 어려움, 복잡함, 과학자, 인공위성, 원소, 화학 등 매우 다양하였다.

  • PDF

시교육청 영재교육원과 과학고 영재교육원 수학, 과학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Korean Gifted education of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Science High School)

  • 황정훈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809-8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과학교사들이 영재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시교육청 영재교육원과 과학고 영재교육원의 교사 집단별, 과목별로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내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시교육청 영재교육원과 과학고 영재교육원 수학, 과학교사들이었으며, 총 62명의 수학,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시교육청 영재교육원 교사집단은 '영재교육이 매우 필요하다'에 대하여 41.0%의 응답률을 보인 반면에, 과학고 영재교육원 교사집단은 8.7%의 응답률을 보였다. 전체 교사의 54.8%가 자신이 가르치는 영재학생이 영재성을 보인다고 하였으며, 수학영재 선발의 타당한 도구는 창의력 문제해결력 검사, 과학영재 선발의 타당한 도구는 과학 교사의 지속적 관찰 결과물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수학영재 선발 시는 수학과목이, 과학영재 선발 시는 과학과 수학과목이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목이라고 하였다. 강의식 수업이 51.6%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재 수업의 교수-학습 형태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재교육의 적임자로 정규 과학영재학교 재직교사를, 적합한 영재교육기관으로 정규 과학영재학교에 각각 38.7%, 53.2%의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과학고의 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46.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재교육원의 수학, 과학 분리 운영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46.7%가 운영의 분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