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 Received : 2011.09.15
  • Accepted : 2011.11.0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As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cience-gifted education, we analyzed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 do this, we selected 3 elementary and 3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from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s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their science instructions for science-gifted students were observ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aped videos, researcher's field notes, and transcripts for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revealed that most of the teachers had relatively desirable belief about science-gifted education. However, they tended to have a little deficient practical knowledge about science-gifted students, the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science contents,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and the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many teachers are likely to have a little deficiency in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science-gifted students in various aspects, and need to find the ways of improv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이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로, 그들의 수업 전문성을 PCK 측면에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과학영재교육 담당 기관에 소속된 초등 교사 3명과 중등 교사 3명을 선정한 후 그들의 과학영재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했으며, 수업 동영상과 관찰 노트,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 전사본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비교적 올바른 신념을 지니고 있었으나, 과학영재학생, 과학영재 교육과정, 과학내용, 과학영재 교수전략,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서는 실천적 지식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이는 많은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관련 수업 전문성이 여러 측면에서 다소 부족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 (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3. 곽영순 (2009).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3), 354- 365.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08-'12).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6.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7. 김선경, 백성혜 (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8.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9.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10.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7.
  11.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2.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30-40.
  13. 배미정, 김희백 (2010).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12-428.
  14.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5.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6. 이지향, 김동진, 황현숙, 박세열, 백인환, 박국태 (2010).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20(3), 721-741.
  17. 이해명 (200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8. 임숙영, 여상인, 임희준 (2005). 초등학교 과학 협동학습에서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초등과학교육, 24(5), 595-601.
  19.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0.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 (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1. 최호성 (2003). 중등 영재 판별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영재교육연구, 13(4), 1-28.
  22. Callahan, C. M., & Reis, S. M. (2004). Program evaluation in gifted education (Essential readings in gifted education serie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3. Davis, G. A., & Rimm, S. B. (200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4. Gilbert, J. K., & Newberry, M. (2007).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exceptionally able in science. In K. S. Taber (Ed.),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NY: Routledge.
  25. Heller, K. A. (2007). Scientific ability and creativity. High Ability Studies, 18(2), 209- 234. https://doi.org/10.1080/13598130701709541
  26.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https://doi.org/10.1002/tea.20007
  27.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28. Park, S., & Oliver, J. S. (2009). The transla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gifted students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4), 333-351. https://doi.org/10.1007/s10972-009-9138-7
  29.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1.
  30. Stansbury, K., & Zimmerman, J. (2000). Lifelines to the classroom: Designing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San Francisco, CA: WestED.
  31. VanTassel-Baska, J. (2002). Curriculum plan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for gifted learners. Denver, CO: Love.
  32. Van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5).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3rd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33. Veal, W. R., & MaKinster, J. G.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
  34. Wengling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Policy Information Centre.

Cited by

  1. 중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전략으로써의 멘토링 적용 사례연구 vol.32,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31
  2. 초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코티칭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개념 적용 능력과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vol.32,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41
  3.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vol.32, pp.4,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55
  4. 멘토링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vol.32, pp.7,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87
  5.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vol.33,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73
  6.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vol.33,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21
  7.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70
  8.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vol.57, pp.6,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3.57.6.789
  9.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vol.58, pp.3,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3.324
  10.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while Mentoring a Class for the Gifted vol.54, pp.4, 2011, https://doi.org/10.15812/ter.54.4.201512.773
  11. A Case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Search and Instructional Practice of Two No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vol.22, pp.5,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293
  12.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vol.39,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39
  13. PCK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 구성과 실천의 특징 비교 vol.39, pp.3, 2011,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3.338
  14. 반응적 교수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화학교사의 교수 유형 및 장애 요인 분석 vol.65, pp.4, 2011, https://doi.org/10.5012/jkcs.2021.65.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