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edule management

검색결과 1,272건 처리시간 0.028초

Work package 개념을 활용한 현장의 공정관리와 공사비 통합관리 효율화 방안 (Development of Integrated Cost and Schedule Management System using Work Package Concept for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 김용표;이용준;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32-40
    • /
    • 2017
  • 최근 국내 건설산업은 성장의 시기를 지나 침체기로 접어들고 있으며 경쟁력 향상을 위해 건설사업관리 특히 공정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토목 건설업계는 생존을 위한 다양한 공사관리 방안의 연구 및 현장 적용에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으나 아직도 체계적이며 효율적이고 현장 활용도가 높은 공정관리 기법의 정착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사관리의 핵심인 공정관리의 활용에 대해 설문조사방식으로 현장기술자들의 인식 및 이해의 정도를 파악하며 현장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공정표의 작성수준과 활용 현황을 파악을 위해 방문 조사하여 현재 국내 공정관리 현주소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기존문헌 및 연구논문의 고찰, 현장에의 적용성을 바탕으로 현장 활용성이 높은 WBS 분류에서부터 work pacckage 도출과 Activty도출, 공정표 작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연된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일정 예측방식 개선 연구 (Research on Improving Schedule Forecasting Method for Delayed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 조정호;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6-293
    • /
    • 2020
  • Since Dr. Lipke announces earned schedule management(ESM) in 2002, it has been used in project management to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of earned value management techniqu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orecast the schedule of delayed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s with the ESM techniqu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schedule forecasting method considering the progress of delayed work in ESM technique. This concept can also be adopted to the traditional project progress management (PPM) technique.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cept through several defense R&D projects and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schedule forecasting of the ESM and PPM technique.

Earned Schedule 개념을 활용한 국방 연구개발 사업진도 기법의 일정 관리 및 예측 기능 연구 (Research of Schedule Managing and Forecasting for Project Progress Method in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using Earned Schedule Concept)

  • 조정호;류상철;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7-574
    • /
    • 2019
  • Traditional project progress method(PPM) has been used for Korean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for the last 20 yea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roject schedule, because the PPM does not provide the function of managing and forecasting project schedul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new schedule managing and forecasting function for the PPM using earned schedule management concept.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unctions through several defense projects and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PM.

UML을 이용한 실시간 진도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로봇 크레인 기반 철골공사를 중심으로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Progress Management System Using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 The Focus on Steel Structural Construction -)

  • 박정로;김경환;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163-166
    • /
    • 2009
  • All sorts of technique for schedule progress management is being developed recently, These can change and develop the abstractive concept model to a detailed model that describes the visual 3D image about a schedule plan. but, this technique is troublesome, because this requires the handwork by means of connection between 3D-CAD and scheduling Program.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real-time schedule progress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grated database by 3D-CAD object information system and schedule module is presented. This study present the process of a schedule progress management using UML, and the process of real-time schedule progress management using RFID system.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realize the rapid generation of estimated schedule information and to simulate and analyze actual schedule information by real-time.

  • PDF

한국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및 예측을 위한 Earned Schedule 기법의 적용 효과와 한계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and Limitation when Adapting Earned Schedule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and Estimation in Korean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s)

  • 조정호;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6-402
    • /
    • 2018
  • Earned Value Management(EVM) has been used to manage and forecast defense project schedule and cost over the last two decades in the world. However to support the lacking ability of schedule analysis in traditional EVM, earned schedule(ES) has been introduced as a tool to more accurately estimate schedule performance. This paper compares which method EVM or ES, provides more accurate schedule predictors in 32 Korean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ES method can predict the future schedule more reliably than the EVM method. We also analyze early warning function of schedule performance index considering project duration extension point.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confirm that both the EVM and the ES method lack the ability of the early warning in terms of the current schedule management criterion.

공정리스크의 정량적 도출을 위한 기초적 방법 (Quantitively deducing basic method of construction schedule risk)

  • 류한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0-91
    • /
    • 2014
  •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has focused on construction schedule categorization,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and system development to manage construction schedule risks.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 quantitively deducing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schedule risk.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robable risk factors and a practical management method, through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experts. The quantified risks should be adapted for an individually specific projects and managed until the project is complete.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schedule risks, the schedule risk management procedures should be controlled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 PDF

메가프로젝트 사업초기단계 사업기간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truction Duration Predicting Method for Mega Project)

  • 우유미;이승훈;이희덕;서용칠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7-600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도심재생을 위한 입체복합공간 개발사업으로 여러 메가프로젝트가 수행중이지만, 메가프로젝트 실적 자료 및 경험, 기술부족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프로젝트들로 구성된 입체 복합공간 개발 사업에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수준으로 메가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메가프로젝트는 다년간에 걸쳐 수행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 예측과 그에 따른 공정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메가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레벨에서의 공정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관리 기술개발의 선행연구로 사업초기단계 사업기간 예측 및 일정 계획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먼저 과거 수행된 단일시설 및 복합시설의 프로젝트 속성정보와 설계 및 공사기간의 일정데이터를 수집하여, 프로젝트 기간 예측을 위한 DB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메가프로젝트 사업초기단계 사업기간 예측 시 영향을 미치는 발주자의 요구사항과 사업비 투입계획에 따라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사업기간 예측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고, CCPM을 통한 사업기간 단축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기록물처리일정표의 작성과 유지 관리 (A Study on Preparing and Maintaining of the Records Retention Schedule)

  • 김정남;최정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65
    • /
    • 2004
  • 우리나라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성격에 대하여 국가기록원은 공공기록물을 생산 단계부터 폐기 단계까지의 처리일정을 규정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기록관리 하부시스템으로서의 기록물처리일정표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와 작성절차를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기준표를 어떠한 시각에서 이해하고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소프트웨어개발 일정관리와 품질관리의 통합 방안 (A Suggestion for Merging Quality Management into Software Project Schedule Management)

  • 백선욱;한용수;홍석원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95-208
    • /
    • 2004
  • 소프트웨어 규모가 대형화 됨에 따라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도 대형화 되고 있으며, 또한 원하는 수준의 소프트웨어 품질을 얻기 위해 필요한 테스트 비용도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개발 과정에서 품질 관리를 위해 다양한 결함 제거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결함제거 기법과 결함 제거 시간이 전체 일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분석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한 소프트웨어 품질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 관리에 반영한 새로운 일정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CMU의 PSP/TSP (Personal Software Process/Team Software Process)를 적용하는 개발 과정에서 수집된 결함 정보, 결함 제거 시간, 평균 결함 제거시간 및 단계별 결함 제거율을 사용하여 일정 지연 여부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달성에 필요한 작업량을 일정 관리 측정체계와 동일한 측정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품질 지수(Quality Value)를 새로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정과 품질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기존의 일정 관리 방법을 보완하여 프로젝트 관리자를 비롯한 모든 관계자가 품질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품질 저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M데이터를 활용한 건설공사 일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 박소현;송정화;오건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3호
    • /
    • pp.61-68
    • /
    • 2018
  • As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larger, higher and more complex, efficient use of information is increasingly more important.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to apply BIM data obtained in the design stage to the construction stage. In this study, we propose a BIM-based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promot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BIM in the construction stage. Specifically, we provided how to build BIM database to be used for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and proposed how to obtain progress information and enter information based on analysis of progress schedule. We also provided a system of classifying construction works for more systematic use of BIM database, a process of using BIM database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a step-by-step guideline on how to establish the system. The proposed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system provides information on particular construction schedule, as well as information and progress chart on delayed parts of the work so that a change in schedule can be managed. Additionally, by linking system database with the BIM model, construction progress can be checked in 3D simulation and a delay in construction schedule can be managed. As a result, using BIM at construction sites contributes to improving project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