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marinic acid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이온성액체와 Deep Eutectic Solvent를 사용한 잘피에서 카페인산과 로즈마리산의 추출 (Extrac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from Zostera marina Based on Ionic Liquids and Deep Eutectic Solvent)

  • 이유리;이유진;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481-485
    • /
    • 2014
  • 잘피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dipping, ultrasonic-assisted, heating추출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온성 액체와 공융용매(DES)를 잘피에 존재하는 카페인산과 로즈마린산의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써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확인된 최적의 조건은 동결건조된 0.005 g의 잘피 뿌리 파우더와 5 mL의 methanol 그리고 0.5 g의 DES-3를 바이알에 넣은 후 30분동안 dipping하여 추출하였다. 그 결과 0.19 mg/g 카페인산과 8.48 mg/g의 로즈마린산을 얻었다. 이 방법은 잘피에 있는 카페인산과 로즈마린산을 간단하고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고 전통적인 용매 추출법보다 청정용매인 DES를 첨가했을 때 잘피의 유용성분 추출에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Tyrosinase Inhibitin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osmarinic Acid and Its Methyl ester from Salvia miltiorrhiza

  • Kang, Hye-Sook;Kim, Hyeung-Rak;Chung, Hae-Young;Choi, Jae-Su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83.3-384
    • /
    • 2002
  • Rosmarinic acid (1) and methyl rosmarinic acid (2),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Lamiaceae) were found to be the tyrosinase inhibitors and scavengers of 1, 1-diphenyl-2-picrylhydrzyl (DPPH) radical. Compounds 1 and 2 inhibited the oxidation of L-tyrosine catalyzed by mushroom tyrosinase with $IC_{50}$/ of 16.8 $\mu\textrm{M}$ and 21.5 $\mu\textrm{M}$. respectively. It compared well with kojic acid. a well-known tyrosinase inhibitor. with an $IC_{50}$ of 22.4 $\mu\textrm{M}$. The inhibitory kinetics, analyzed by a Lineweaver-Burk plot, found rosmarinic acid and its methyl ester to be competitive inhibitors with $K_{i}$ of $2.35{\times}10^{-5}M$ and $1.52{\times}10^{-5}M$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s 1 and 2 showed the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with $IC_{50}$ of 4.27 $\mu\textrm{M}$ and 3.05 $\mu\textrm{M}$. respectively. These scavenging effects were more potent than that of L-ascorbic acid ($IC_{50}$ = 11.75$\mu\textrm{M}$).

  • PDF

품종별 들깻잎 열수추출물의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 및 항산화력 비교 (Quantifica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 이현순;이현아;홍충의;양성용;홍성유;박상률;이호정;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02-306
    • /
    • 2009
  • 본 연구는 품종별 들깻잎의 기능성 건강식품에 항산화력 측정과 생리활성물질인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관련 기능성 식품소재에 적합한 들깻잎의 품종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분쇄한 각 품종별 들깻잎을 환류 추출하여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한 물질을 각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보라들깨와 동글2호가 각각 69.4 g GAE/kg DM, 61.8 g GAE/kg DM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항산화 실험 결과, FRAP에서는 보라들깨가 796 mM $FeSO_4$ $7H_2O/g$ DM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로 동글2호가 748 mM $FeSO_4$ $7H_2O/g$ DM으로 높았고, DPPH 결과에서는 $SC_50$값이 동글2호가 241 ${\mu}g$ DM/mL로 가장 항산화력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261 ${\mu}g$ DM/mL로 보라들깨였다. 플라보노이드 함유량 측정에서는 늘보라들깨가 64.5 g QE/kg DM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HPLC를 통하여 이미 잘 알려진 항산화제인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caffeic acid는 보라들깨에서, rosmarinic acid는 동글2호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즉, 이 종합적인 비교를 통하여 항산화능력과 생리활성물질 함유량 측면에서 보라들깨와 동글2호가 가장 적합한 품종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rvH1N1 Neuramin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s from Perilla frutescens (L.) and Their Contents in Cultivars and Germplasm

  • Ha, Tae Joung;Lee, Myoung-Hee;Park, Chang-Hwan;Kim, Jung-In;Oh, Eunyoung;Pae, Suk-Bok;Park, Jae Eun;Kim, Sung-Up;Kwak, Do-Yeon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404-412
    • /
    • 2018
  • The influenza neuraminidase (NA, E.C. 3.2.1.18), an antiviral, has been the target of high pharmaceutical companies due to its essential role in viral replication cycle. Perilla frutescens (P. frutescens) i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cold due to wind-cold, headache and cough. In this context, four major polyphenolic compounds including rosmarinic acid-3-O-glucoside (1), rosmarinic acid (2), luteolin (3), and apigenin (4) isolated from P. frutescen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recombinant virus H1N1 neuraminidase (rvH1N1 NA). Among the test compounds,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inhibited the rvH1N1 NA with an $IC_{50}$ of 46.7 and $8.4{\mu}M$, respectively. The inhibition kinetics analyzed by the Dixon plots indicated that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were noncompetitive inhibitors and that the inhibition constant, $K_I$, was established as 43.9 and $14.3{\mu}M$, respectively. In addition, 578 genetically diverse accessions and 39 cultivars of P. frutescens were analyzed using HPLC to characterize the diversity of polyphenolic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The individual and total composition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especially rosmarinic acid which was detected as the predominant metabolite in all accessions (58.8%) and cultivars (62.8%). Yeupsil and Sangback cultivars exhibited the highest rosmarinic acid ($3,393.5{\mu}g/g$) and luteolin ($383.3{\mu}g/g$) content respectively. YCPL177-2 with the high concentration ($889.8{\mu}g/g$) of luteolin may be used as a genetic resource for breeding elite cultivars.

포스파티딜콜린의 액정형성을 이용한 로즈마린산 포집 효율연구 (A Study on Entrapment Efficiency of Rosmarinic Acid Using Liquid Crystal Phosphatidylcholin)

  • 강기춘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32-137
    • /
    • 2013
  • 포스파티딜콜린이 다량 함유된 수첨레시틴을 이용한 실험에서 액정구조가 잘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액정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는 포스포리피드, 에탄올, 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로즈마린산을 지표물질로 캡슐화하였다. 액정의 평균입자크기는 480 nm ~ $3{\mu}m$로 이는 액의 구성물질과 물리적인 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리포좀과 비교했을 때 액정구조는 매우 높은 캡슐화 효율을 보였다.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증가하면 많은 액정을 형성하였고,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적으면 액정의 양도 적게 나타났다. 로즈마린산을 함유한 액정구조의 방출실험결과 리포좀으로 형성된 베지클보다 훨씬 적은 양이 방출됨을 알 수 있었다.

들깨의 생육단계와 부위별 기능성화합물 함량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al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at Different Stages and Growth Times)

  • 김해은;윤희랑;허재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11-519
    • /
    • 2021
  •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대표적인 유지작물 중 하나로서, 목적에 따라 잎들깨와 종실들깨로 구분된다. 들깨는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들깨의 잎, 줄기, 종자에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들깨를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최적의 수확시기 및 조건을 분석하기 위해 새싹들깨와 잎들깨의 생육단계별 및 부위별로 들깨의 주요 기능성 화합물인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GABA의 함량 비교하였다. 새싹들깨의 기능성 화합물 분석 결과 자연광 조건하의 흙에서 재배한 새싹들깨가 rosmarinic acid 23.19±0.16 mg/g과 GABA 0.55±0.05 mg/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파종 후 6~8일 시기에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GABA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광 조건하의 흙에서 파종 후 6~8일이 새싹들깨의 최적의 수확조건으로 판단된다. 생육단계별 및 부위별로 잎들깨의 기능성 화합물 변화 분석결과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0.28±0.03~0.30±0.07 mg/g과 20.60±7.02~19.37±3.18 mg/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uteolin은 생식생장단계에 31.11±2.98~22.35±1.64 ㎍/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다. GABA는 영양생장 초기단계에서 0.42±0.09~0.37±0.0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부위별 분석 결과 잎, 줄기, 추대 부위 중 추대부위가 rosmarinic acid (55.22±9.33 mg/g), caffeic acid (0.39±0.03 mg/g), luteolin (1044.89±6.72 ㎍/g)으로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새싹들깨와 잎들깨에서 기능성 화합물이 가장 증가하는 시기를 확인함으로써 적합한 수확시기 및 부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로서 들깨를 이용하기 위해 새싹들깨와 잎들깨의 적합한 수확시기 및 조건을 제시하였다.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Salvia plebeia

  • Lee, Ghang Tai;Duan, Chao Hui;Lee, Jung-Noh;Lee, Kwang-Sik;Hong, Jin-Tae;Lee, Kun-K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07-210
    • /
    • 2010
  •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Salvia plebei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nine compounds.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to be 6-methoxynaringenin (1), 6-methoxynaringenin-7-O-$\beta$-D-glucoside (2), hispidulin (3), homoplantaginin (4), nepetin (5), nepitrin (6), 6-hydroxyluteolin (7), caffeic acid (8) and rosmarinic acid (9) by spectroscopic analyses. 6-Methoxynaringenin (1), 6-hydroxyluteolin (7) and rosmarinic acid (9)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로즈마리산을 함유한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repar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s Containing Rosmarinic Acid)

  • 박진권;이동희;이천일;강기춘;표형배;신재섭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1호
    • /
    • pp.11-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rosmarinic aci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벽재 물질로는 키토산을 사용하였고, 글루타르알데히드를 가교제로 사용하였으며, W/O 형태의 유화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유화제로는 span80을 사용하였으며, 가교가 시행되는 bath상의 물질은 mineral oil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은 완벽한 구의 형태로 평균 $0.5{\sim}0.9{\mu}m$ 크기를 보였으며, 교반속도와 유화제의 농도에 따른 캡슐의 크기 및 형태 변화 그리고 함유 효율을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방출특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가교제와 유화제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방출 속도를 측정하였다.

  • PDF

들깨 유전자원의 지방산 변이 및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Accessions)

  • 김다정;;정이진;전영아;이재은;이명철;이호선;이주희;성정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6-107
    • /
    • 2019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ontent of two major phenolic acids, caffeic and rosmarinic acids, of 45 Perilla accessions collected from Russia. Methods and Results: A total of 45 accessions of the genus Perill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accessions were analyzed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their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s were determined using a reversed-phase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system. The Perilla seed oil was recovered using hexane in a soxhlet extraction method.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using a Shimadzu QP2010 gas chromatography-mass spectoroscopy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ions IT226732 and IT274300 had the highest content of caffeic and rosmarinic acid, respectively. A cluster analysis based on antioxidant assay results and concentration of phenolic acids led to the categorization of Perilla accessions into three major groups. The accessions in Group I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accessions in the other two groups (p < 0.05). The total oil content ranged between 28.39 and 46.89%. The compositions of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ranged from 11.83 to 19.55%, 11.92 to 16.71%, and 59.19 to 67.2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ccessions IT274300, IT226732, IT274293, IT235818, and IT235820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function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