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d extensio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1초

Spring rod를 사용한 척추경 나사못과 동반 시술된 Flexible cage의 생체역학적 효과 (Biomechanical Efficacy of a Combined Flexible Cage with Pedicle Screws with Spring rods: A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영현;박은영;김원현;황성필;박경우;이성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5
    • /
    • 2017
  • Recently, flexible cages have been introduced in an attempt to absorb and reduce the abnormal load transfer along the anterior parts of the spine. They are designed to be used with the pedicle screw systems to allow some mobility at the index level while containing ROM at the adjacent level.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FE)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biomechanical efficacies of the flexible cage when combined with pedicle screws with flexible rods. The post-operated models were constructed by modifying the L4-5 of a previously-validated 3-D FE model of the intact lumbar spine (L2-S1): (1) Type 1, flexible cage only; (2) Type 2, pedicle screws with flexible rods; (3) Type 3, interbody fusion cage plus pedicle screws with rigid rods; (4) Type 4, interbody fusion cage plus Type 2; (5) Type 5, Type 1 plus Type 2. Flexion/extension of 10 Nm with a compressive follower load of 400N was applied. As compared to the Type 3 (62~65%) and Type 4 (59~62%), Type 5 (53~55%) was able to limit the motion at the operated level effectively, despite moderate reduction at the adjacent level. It was also able to shift the load back to the anterior portions of the spine thus relieving excessively high posterior load transfer and to reduce stress on the endplate by absorbing the load with its flexible shape design features. The likelihood of component failure of flexble cage remained less than 30% regardless of loading conditions when combined with pedicle screws with flexible rod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flexible cages when combined with posterior dynamic system may help reduce subsidence of cage and degeneration process at the adjacent levels while effectively providing stability at the operated level.

유색미 CNU 육성계통에 대한 안토시안, 유효성분 및 주요 식물학적 특성 (Anthocyanin Contents, Effective Components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NU Colored Rice Lines)

  • 이희봉;김용일;박보영;정재영;송재영;최현구;강시용;김보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2-18
    • /
    • 2005
  • 국내${\cdot}$외에서 수집된 유색미를 분양받아 이들 에 대해 감마선처리 및 수집종간 교배육종 결과 새로 육성한 13개의 공시종에 대해 안토시안 함량, 유효성분 및 주요 수량 관련 형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1. 주요 식물학적 특성으로 대조구인 흑진주벼의 간장은 78cm로 중간형이었고, 개화일수는 다른 공시종에 비해 $7\~20$일 빨랐던 반면에 간장과 수당영화수는 CNU33에서 가장 많았으며, 수장은 CNU 43에서, 천립중은 CNU 90에서 가장 높았으며, 주당 수량은 CNU 119가 가장 높았다. 2. 공시종에 대한 Anthocyanine 색소 함량을 상대흡광도 값 (흡광도$\times$희석배수)으로 비교한 결과, 530nm파장에서 대조구인 흑진주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CNU71, CNU73, CNU119의 순이었다. 흡광도 값이 가장 높았던 흑진주벼와 CNU71은 280nm와 530nm 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anthocyanin계 색소임이 확인되었고, 흡광도 값이 낮았던 CNU43은 430nm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tannin계 색소로 판명되었다. 3. 공시종에 대한 주당 relative anthocyanin content(RAC)을 비교하기 위해 상대흡광도 값에 주당 현미수량을 곱한 결과 CNU71이 20,1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NU73이 16,046 그리고 대조구인 흑진주벼 15,985순으로 나타났다.

Follow-up Comparison of Two Different Types of Anterior Thoracolumbar Instrumentations in Trauma Cases : Z-plate vs. Kaneda Device

  • Park, Jung-Keun;Kim, Keun-S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1권2호
    • /
    • pp.77-81
    • /
    • 2007
  • Objective : In a variety of thoracolumbar diseases, corpectomy followed by interbody bone graft and anterior instrumentation has allowed direct neural de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weight-bearing column by short segments fus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spinal stability of the two different anterior thoracolumbar instruments : Z-plate and Kaneda device representing plate and two-rods type, respectively.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the patients with thoracolumbar diseases or traumas treated with anterior corpectomy, autologous iliac bone graft, and fixation with instruments from 1996 to 2000. For the anterior instrumentation, Z-plate or Kaneda device was used for 24 [M:F=5:9, average age=37] and 12 [M:F=9:3, average age=41] patients, respectively. The plain AP and lateral flexion-extension films were taken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at each follow-up. The sagittal and coronal Cobb's angles at the operation segments were used to observe the change of initial fixation status. The surgical time length and bleeding amount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instrument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Student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p-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Results : Mean follow-up durations for Z-plate and Kaneda device were 24 and 21 months, respectively. The fusion rate was 91% for Z-plate and 100% for Kaneda device. Two cases of Z-plate group showed instrumentation failure during the follow up period, in which additional surgery was necessary. The mean differences of sagittal Cobb's angles among the AP images immediate after surgery and at follow-up were 7 and 2 degrees for Z-plate and Kaneda device, respectively [p<0.05]. The mean differences of coronal Cobb's angles were 5 and 2 degrees for Z-plate and Kaneda device, respectively [p<0.05]. No Intra-operative complication has occurred in both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gery time and bleeding amou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We think that Kaneda device [rod type] is stronger than Z-plate [plate type] to keep the spinal stability after anterior thoracolumbar surgery.

부숙촉진 미생물 분리 및 분리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osting-promoting-bacteria)

  • 이영한;박상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4-400
    • /
    • 2001
  • 가축분 및 음식물 퇴비 132점에서 517균주를 분리하고 CMC와 xylan 및 PGA 배지에서 강한 활성을 가지는 10여개의 균주를 선별하여 배추종자 발아를 이용한 작물 inhibition test와 오이 육묘실험으로 growth test를 거쳐 생육이 가장 양호한 LYH201 균주를 야생균주로 선발하였다. Bergey's manual 방법으로 특성을 조사한 결과 LYH201균주는 Gram 양성균으로 내생포자 형성, oxidase, CMCCase, xylanase, catalase, V-P test, methyl red test, arabinose 등의 탄소원 이용성은 양성이었으며, indole을 생성하고, urease, lecithinase, dihydrolase test는 음성이었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길이가 $2.5{\sim}3.0{\mu}m$, 너비가 $0.5{\sim}0.7{\mu}m$의 간균인 Bacillus subtilis로 확인되었다. Bacillus subtilis LYH201 균주를 MMY를 이용하여 배양한 결과 온도 $50^{\circ}C$, pH 6.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 PDF

The BioFlex System as a Dynamic Stabilization Device : Does It Preserve Lumbar Motion?

  • Zhang, Ho-Yeol;Park, Jeong-Yoon;Cho, Bo-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5호
    • /
    • pp.431-436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unctional motion is present at one or more years after Bioflex System placement. BioFlex System is a flexible rod system which has been used to preserve motion at the area of implantation. There has not been a scientific study showing how much motion is preserved after implantation. Methods : A total of 12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using the BioFlex System. Six patients were treated using a L3-4-5 construct and other six patients using a L4-5-S1 construct. Follow-up ranged from 12 to 33 months and standing neutral lateral, extension, flexion and posteroanterior (PA) radiographs were obtained at 3, 6, 9, and 12 months and at more than 12 months postoperatively. Range of motion (ROM), whole lumbar lordosis, and ROMs of motion segments from L2 to S1 were determined. Results : Patients with a L3-4-5 construct demonstrated a decrease in mean ROM for whole lumbar decreased from 40.08 to 30.77. Mean ROM for L3-4 (6.12 to 2.20) and L4-5 (6.55 to 1.67) also decreased after one year. Patients with a L4-5-S1 construct demonstrated L4-5 (8.75 to 2.70) and L5-S1 (9.97 to 3.25) decrease of mean ROM at one year postoperatively. Lumbar lordosis was preservep at both L3-4-5 and L4-5-S1 constructs. Clinical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study groups.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provides preliminary information regarding the BioFlex motion preservation system. We conclude that the BioFlex System preserves functional motion to some degree at instrumented levels. However, although total lumbar lordosis was preserved, ROMs at implantation segments were lower than preoperative values.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의 개선된 제어 알고리즘 개발 (Improved Control Algorithm Development for 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 Control System)

  • 김병문;이영렬;한재복;유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761-765
    • /
    • 1995
  •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구동장치는 원자로의 압력경계 안에 설치되고 밀봉되므로 센서의 설치가 곤란하여 기존의 제어기는 개루프 형태의 제어기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타이밍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봉구동장치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제어봉구동장치의 작동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봉 낙하방지, 정밀한 위치제어, 코일 수명연장의 특성이 있는 제어봉구동장치 타이밍 제어기를 폐루프 제어계통으로 설계하였다. 폐루프 제어개념에 의하여 개발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문제를 대부분 해결하였으며 계통의 성능 및 신뢰도가 향상되었다. 알고리즘 개발 및 시험 시, 여기서 설계한 실시간 제어봉구동장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였고 현장에서 취득한 실제의 데이터와 함께 이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개발한 모든 알고리즘의 검증시험을 하였다. 검증결과 이 타이밍 제어기는 본래의 기능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구조해석과 현장계측에 의한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 Strength Lattice Girder by Structural Analyses and Field Measurements)

  • 이재원;민경남;정지욱;노병국;이상진;안태봉;강성승
    • 지질공학
    • /
    • 제30권3호
    • /
    • pp.237-251
    • /
    • 2020
  • 본연구는 H형강 대체 지보재로 개발된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터널에서의 지보재에 대한 구조해석과 계측에 의한 터널 변위와 지중응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터널 지보재 3차원 비선형 구조해석 결과에 의하면, H형강과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하중과 변위 관계는 거의 동일한 거동을 보였으며,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최대하중은 H형강보다 1.0~1.2배 크게 나타났다. 터널 지보재 3차원 터널단면해석 결과에 의하면, 축력은 터널 좌측 및 우측 하단부에서 크게 발생했으며 현장시험 계측값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천단침하 및 내공변위 계측결과에 의하면, 터널 내 강지보(H형강)와 고강도 격자지보 구간의 최종변위량은 1차 관리기준인 23.5 mm 이내의 큰 차이 없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었다. 지중변위 계측 결과에 의하면, 두 지보재 구간의 최종변화량은 미소한 변위 변화를 보였으나, 1차 관리기준인 10 mm 이내의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었다. 숏크리트 및 강지보 응력 계측 결과에 의하면, 두 지보재 구간의 최종변화량은 미소한 응력 변화를 보였으나, 1차 관리기준인 81.1 kg/㎠과 54.2 tonf 이내의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었다. 결과적으로 강지보재와 고강도 격자지보재가 설치된 터널구간에서 계측 결과는 매우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것은 H형강 대신 고강도 격자지보재를 터널에 적용하더라도 구조적으로 충분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grobacterium rubi와 A. tumefaciens에 의한 국화 뿌리혹병 (Crown Gall of Chrosanthemum Caused by Agrobacterium rubi and A. tumefaciens)

  • 이영기;박경석;황혜경;황태호;김진영;이재국;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197-204
    • /
    • 2006
  • 2001년 경기도 화성시와 2004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국화의 줄기와 뿌리에 뿌리혹병이 발생하였다. 혹의 모양과 색은 상이하였으나 표면이 거칠고 갈변된 타원형이었다. 혹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20개 균주 중 국화의 유묘에 접종하여 혹을 형성한 9개 균주에 대하여 분류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0.5% $CaCO_3$가 첨가된 PDA배지에서 생장된 콜로니들은 둥글고 볼록하면서 광택이 나는 크림색이었다. 모든 균주는 다수의 편모를 가진 간상의 세균으로 그람음성이면서 호기적으로 생장하였으며 D1M agar 에서도 생장하였다. 병원성 세균들은 대조균주와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주요 생리 생화학적특성, 탄소원 이용양상, 지방산조성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8개 균주는 Agrobacterium tumefaciens로 1개 균주는 A. rubi로 동정되었다. A. tumefaciens 계통들은 A. rubi 계통보다 병원성이 강하였으며 기주범위가 넓었다. 국내에서 A. tumefaciens와 A. rubi에 의한 국화의 뿌리혹병은 본 연구에서 처음 보고되는 것이며 자연상태에서 A. rubi에 의해 국화의 뿌리혹병이 발생된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처음이다.

교대배열 PVA 젤 섬유를 이용한 고분자 색전 코일 제조 (Preparation of Coil-Embolic Material Using Syndiotactic Poly(vinyl alcohol) Gel Spun Fibers)

  • 서영호;오태환;한성수;주상우;길명섭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486-493
    • /
    • 2013
  • 고분자 색전 코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교대배열 PVA(s-PVA) 용액을 제조하고 젤방사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고분자용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탁중합을 통해 비누화도 99%, 교대배열기 함량 56%인 s-PVA를 제조하였고 고분자 용액의 농도에 따른 점도 변화 측정을 통해 최적의 방사농도를 13 wt%로 선정하였다. S-PVA 젤 섬유의 연신비에 따른 구조, 형태, 인장 특성을 측정하였다. S-PVA 젤 섬유의 연신비가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최대 연신비인 15배 연신하였을 때 인장강도는 580 MPa이었고 절단신도는 연신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PVA 젤 섬유는 연신비에 따라 결정구조가 발달하고 배향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전 코일 제조 시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코일의 형태 안정성을 살펴 본 결과 열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코일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금속 색전 코일로 제조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 형태를 s-PVA 섬유를 이용해 제조하였고 이를 통해 금속 색전 코일의 고분자로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박과작물에 발생하는 파파야원형반점바이러스의 발생 보고 (Occurrence of Papaya ringspot virus Infecting Cucurbit Crops in Korea)

  • 진태성;김상목;고석주;이수헌;최홍수;박진우;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8-308
    • /
    • 2009
  • 안성에서 모자이크와 주름증상을 보이는 호박으로부터 사상형 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생물학적 특성과 전자현미경 검정, RT-PCR 검정에 의해 파파야원형반점바이러스(Papaya ringspot virus) 수박계통(PRSV-W)으로 동정되었다. PRSV-W의 기주범위는 박과작물과 명아주과작물에 한정되었고 감수성 기주인 오이, 호박, 수박 등에는 녹색모자이크, 기형, 주름 등의 증상을 나타냈지만 명아주과의 기주에는 국부병징만을 나타냈다. 2001년에서 2003년에 걸쳐, 경기, 경북, 전남에서 다양한 작형의 박과작물이 재배되는 173지역에서 박과작물의 주요 바이러스인 PRSV,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MV),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ZYMV)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등 4종 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을 조사하였다. 173지역 중 107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로부터 바이러스 병징이 관찰되었으며 RT-PCR 검정 결과, 235점의 시료 중 206시료에서 3종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검출빈도는 WMV가 48%, ZYMV가 33%였으며, PRSV는 12%였다. 8종 PRSV 시료의 핵산과 외피단백질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전세계의 다른 PRSV 계통과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 핵산은 88.6~97.3%, 아미노산은 95.1~99.3%로 조사되었다. 이들 분리주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PRSV-W는 남동 아시아 계통과 근연종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