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ythm interven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리듬 중재 연구의 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한 고찰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 정현주;임정현;황수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8
    • /
    • 2018
  • 최근 근거중심의 연구와 실제가 강조되면서 중재 연구들이 보다 엄격한 논거를 토대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치료 목표별 리듬 과제를 고찰한 후 중재 구성 및 논거를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7개의 중재 항목 및 논거 제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제공자 전문성과 중재 구성틀, 중재 기간, 중재 형태, 중재 절차, 활동 및 음악에 대한 논거 제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 7개 중재 관련 항목 중 4개 이상 항목에 논거를 제시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논거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10편 모두 중재제공자, 중재 구성틀, 활동 논거 및 음악 논거를 제시하였으나 중재 유형(개별 또는 집단)과 구성된 중재 기간에 대한 논거는 동일한 수준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리듬 중재 유형에 따른 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 4편의 연구는 활동 논거와 음악 논거가 명료하게 제시된 반면 연구자가 구성한 중재를 활용한 6편의 연구는 음악 논거보다는 활동 논거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근거 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중재 항목의 타당성과 중재 구성에 대한 논거를 더욱 충실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국외 파킨슨병 환자 대상 음악을 활용한 신체재활 중재연구 고찰 (A Review of Interventions Using Music for Physical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권하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33-60
    • /
    • 2023
  • 본 연구는 국외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 재활을 위해 음악을 사용한 중재 연구의 연구 특성을 분석 및 고찰한 연구로 최근 20년간 진행된 연구 중 24편의 중재연구를 음악사용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요약 제시하였다. 분석된 연구 내용을 통해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산출 시 움직임의 시작 및 종료와 관련된 타이밍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음악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 기능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제공한 음악사용 수준의 차이에 따라 음악 기반 중재연구(music-based intervention) 6편과 리듬기반 중재연구(rhythm-based intervention) 18편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음악 수준에 따른 연구 특성을 고찰 후 음악사용의 공통 요소인 '리듬'이 대상자의 문제 개선에 적합한 중재 요소였음을 결론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특성이 음악 요소의 활용 범위 및 음악사용의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중재 효과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파킨슨병 환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체기능 문제 개선을 위한 신체 재활 중재에 적용이 가능한 음악사용의 근거를 학술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상인과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과 수면 질의 차이 (Difference in Sleep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Group)

  • 석현진;나연경;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09-31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leep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group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to develop education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obese.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86 subjects who visited at S hospital obesity clinic, K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normal-weight group 91 and obese group 95.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8th to November 12th in 2013.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Mann-Whitney U test, ANCOVA, t-test and ANOVA with using SPSS version 20.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orning type 1.1%, middle type 91.2% and evening type 7.7% of sleep circadian rhythm in normal-weight group and middle type 92.6% and evening type 7.4% of sleep circadian rhythm in obese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sleep quality with covariance sex and stress, sleep duration, habitual sleep efficiency and sleep disturbance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sleep quality, sleep duration, habitual sleep efficiency and sleep disturbance in middle type of sleep circadian rhythm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group.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bject's sleep pattern to develop education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obese.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음주심각도, 일주기리듬과 수면의 질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verity of Problem Drinking,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on Sleep Disorder in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 고상진;박영신;강민재;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48-5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everity of drinking problem,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alcohol use.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tilize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39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who were admitted to a psychiatric hospital in D city, Korea. The questionnaires included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CM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Korea sleep scale 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SPSS 20.0 program.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verity of problem drinking, circadian rhythm, sleep quality and sleep disorder.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leep disorder were severity of problem drinking(${\beta}=.12$, p= .042), circadian rhythm(${\beta}=-.14$, p= .039) and sleep quality(${\beta}=.63$, p= < .001). This model explained 56% of variance in sleep disorder(F = 57.34, p= < .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sleep intervention programs for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needs to consider severity of alcohol use,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and sleep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re needed the early stage of the treatment and recovery process.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과 견갑골 움직임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Scapular Movement)

  • 김재헌
    • PNF and Movement
    • /
    • 제3권1호
    • /
    • pp.47-53
    • /
    • 2005
  • Purpose : To describes the important aspects of scapular movement and function used when applying PNF technique to the upper limb and scapular. Method : The scapular was a very important roles in the upper limb movement. This study summarizes the physiologic movement of scapular to the PNF upper extremity patterns or scapular patterns. Result : The shoulder joint has the most freedom of range of motion in the human body, composed of the glenohumeral joint, the subacromial joint, the acromioclavical joint, the sternoclavicular joint, the scapulothoracic joint, the costosternal joint, and the costovertebral joint. During upper limb movement, the scapular position change at the sternoclavicular joint and the acromioclavical joint. This concerted motion was characterized by scapulohumeral rhythm. In clinical situations, it is import to understand factors affect the scapulohumeral rhythm so that optimal evalu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can be devised. Conclusions : The scapular movement depend on the proper and coordinated contraction of muscles. Physical therapists need to understand the normal scapular movement relationships of the scapulohumeral rhythm under different interventions for PNF techniques application.

  • PDF

The effects of Korean double-headed drum janggu rhythm on the life forces for the elderly made by In-seok Seo

  • Ko, Kyung Ja;Kim, Ji-Youn;Oh, Ji Yun
    • 셀메드
    • /
    • 제8권1호
    • /
    • pp.3.1-3.3
    • /
    • 2018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rhythm of janggu may have meaningful effects as a form of vitality for the elderly. Janggu is the most popular and soft pitched instrument in the percussion family in Korean music. It is warm and soft makes very deep and exquisite sounds. Janggu is a source of Korean national pride because of unique, manifestation of yin-yang five-elements represented in Korean music.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rhythm in human is in essence and natural. This style paper is a course of happy life and a basic step toward in the world. Music therapy has been employ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to facilitate healing across a many of clinical populations. A cheerful rhythm of janggu promotes the vitality of the elderly. This joining has contributed to the vitality, health improvement and the whole body for the elderly. Instead of visiting hospital, they sit in front of the janggu what could be better than a daily dose of exercise. Therefore, the author thinks this might help them forget their anxieties, this very moment, janggu music rhythm therapy lays the foundation of a more vital lifestyle.

일반 성인의 작업과 활동의 중재 형태에 대한 행위 관찰 시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의 EEG 활성도 차이 (Differences of EEG Activation in Mirror Neuron System during Action Observation for Occupation-based, Purposeful Activity, Preparatory Method in adult subjects)

  • 고효은;윤태원;정현애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1호
    • /
    • pp.17-2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Methods: T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was compaired among 3 condition by oneway ANOVA. Resul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mu suppression in all conditions. Although all conditions showed mu suppres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activated during action observation to be able to occupational therapy bu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not separately activated among the conditions.

말소리가 제한된 아동을 위한 말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Nanta program using speech rhythm for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 박영혜;최성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67-76
    • /
    • 2021
  • 난타는 북과 같은 타악기를 이용한 "두드리기"라는 뜻으로 한국 전통 음악인 사물놀이의 리듬이다. 말소리 산출이 제한된 아이들을 위해 난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난타 음성 리듬 중재 프로그램은 말리듬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난타 프로그램은 청각 자극, 다양한 소리와 박자, 리듬을 제공했으며, 리듬과 함께 호흡, 발성, 조음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말소리 목록이 제한된 6명의 아이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아동들에게 소리와 박자를 탐색하고 소리와 박자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리듬과 함께 단어를 모방하고 모방하는 단어에서 음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다양한 말소리를 산출하도록 격려하였다. 매 회당 40분 동안 주 2회씩 총 15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치료 전후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점수를 비교하였다. Wilcoxon rank test 결과, 중재 후 PRES에서 수용언어 점수(p=.027)와 표현언어 점수(p=.024) 및 수용어휘력(p=.028)과 표현어휘력 (p=.028)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난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은 수용적이고 표현적인 어휘와 언어 발달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발견들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이 제한된 음성 소리 생성을 가진 어린이들의 언어 발달과 어휘 향상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리듬 산출 검사 어플리케이션 Beat Processing Device 개발 (Development of Beat Processing Device for Rhythm Production Assessment)

  • 정현주;문주형;한은영;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15-22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 산출 시 수행 정확도를 정밀하게 수집,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Beat Processing Device(이하 BPD)'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총 3단계의 개발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 노인 인지 기능 훈련을 위해 사용된 리듬꼴들을 수집, 비교, 분석함으로써, 리듬 산출 과제 구성에 필요한 4개의 리듬꼴 문항을 확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확정한 4개의 리듬꼴 문항이 탑재된 iOS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예비 테스트를 통해 디바이스 종류, 사용할 악기 음색, 구현할 실험 종류 등을 최적화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는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본 기기와 미디(MIDI)로 수집한 리듬 산출 데이터를 비교하여, BPD의 실효성과 타당성, 정밀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BPD는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리듬 수행력 증진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비측 시야 유도 보행 훈련과 리듬 청각 자극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ait Training in Chronic Hemiplegia Patients with Inducement to Vision and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 김태현;최종덕;윤혜진
    • PNF and Movement
    • /
    • 제12권3호
    • /
    • pp.151-15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walking when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atients, Affected side vision impairment induced gait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n parallel. Methods: This study was the general walking training group, the training group was divided damage induced affected side view, affected side view damage induced by rhythm auditory stimulation training three groups. Intervention period was 4 weeks. 5 times per week, per 30 min entered arbitration. Affected Side vision impairment induced induction training was conducted by installing a red cones,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was applied to a regular rhythm training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Metronom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and before the intervention. One-way ANOVA was us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between each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05 probability. Results: Regular walking group, rather than affected side vision guided walking group could see increases in the FGA and DGI (P<0.05). And vision impairment induced affected side view and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nduction training this group than in the combination group walking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on the FGA, DGI score(P<0.05). Conclusion: If you want to enforce certain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f the visual field and side damage induced during gait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will be able to expect a better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