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Organic Vegetables

  • Kim, Jung-Beom;Choi, Ok-Kyung;Kwon, Sun-Mok;Cho, Seung-Hak;Park, Byung-Jae;Jin, Na Young;Yu, Yong Man;Oh, Deo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8호
    • /
    • pp.1449-1456
    • /
    • 2017
  • The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39 organic vegetables were investigated. B. thuringiensis was detected in 30 out of the 39 organic vegetables (76.9%) with a mean value of 2.60 log CFU/g. Twenty-five out of the 30 B. thuringiensis isolates (83.3%) showed insecticidal toxicity against Spodoptera exigua. The hblCDA, nheABC, and entFM genes were found to be the major toxin genes, but the ces gene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tested B. thuringiensis isolates. The hemolysin BL enterotoxin was detected in all 30 B. thuringiensis isolates (100%). The non-hemolytic enterotoxin complex was found in 27 out of 30 B. thuringiensis isolates (90.0%). The B. thuringiensis tested in this study had similar toxin gene characteristics to B. cereus, which possessed more than one toxin gene. B. thuringiensis could have the potential risk of foodborne illness based on the toxin genes and toxin-producing ability.

Evaluating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Livestock Using Metagenomics Approach

  • Kim, Hyeri;Cho, Jin Ho;Song, Minho;Cho, Jae Hyoung;Kim, Sheena;Kim, Eun Sol;Keum, Gi Beom;Kim, Hyeun Bum;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2호
    • /
    • pp.1701-1708
    • /
    • 2021
  • Food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global health issue due to foodborne pathogens after consumption of contaminated food. Foodborne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spp., Bacillus cereus, Vibrio spp., Yersinia enterocolitica and Clostridium perfringens are leading causes of the majority of foodborne illnesses and deaths. These foodborne pathogens often come from the livestock feces, thus, we analyzed fecal microbial communities of three different livestock specie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livestock feces using metagenomics analysis. Our data showed that alpha diversities of microbial commun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ivestock species. The microbial diversity of cattle feces was higher than that of chicken or pig feces. Moreover, microbial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se three livestock species (cattle, chicken, and pig). At the genus level, Staphylococcus and Clostridium were found in all livestock feces, with chicken feces having higher relative abundances of Staphylococcus and Clostridium than cattle and pig feces. Genera Bacillus, Campylobacter, and Vibrio were detected in cattle feces. Chicken samples contained Bacillus, Listeria, and Salmonella with low relative abundance. Other genera such as Corynebacterium, Streptococcus, Neisseria, Helicobacter, Enterobacter, Klebsiella, and Pseudomonas known to be opportunistic pathogens were also detected in cattle, chicken, and pig feces.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foodborne pathogens in farm environments known to provide natural sources of these microorganisms.

A Rapid and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Antibacterial Compound-Producing Bacteria

  • Hettiarachchi, Sachithra Amarin;Lee, Su-Jin;Lee, Youngdeuk;Kwon, Young-Kyung;Zoysa, Mahanama De;Moon, Song;Jo, Eunyoung;Kim, Taeho;Kang, Do-Hyung;Heo, Soo-Jin;Oh, Chul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8호
    • /
    • pp.1441-1448
    • /
    • 2017
  • Antibacterial compounds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human and animal diseases. The overuse of antibiotics has led to a rapid rise in the prevalence of drug-resistant bacteria, making the development of new antibacterial compounds essential.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fast and easy method for identifying marine bacteria that produce antibiotic compounds. Eight randomly selected marine target bacterial species (Agrococcus terreus, Bacillus algicola, Mesoflavibacter zeaxanthinifaciens, Pseudoalteromonas flavipulchra, P. peptidolytica, P. piscicida, P. rubra, and Zunongwangia atlantica) were tested for produc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s against four strains of test bacteria (B. cereus, B. subtilis, Halomonas smyrnensis, and Vibrio alginolyticus). Colony picking was used as the primary screening method. Clear zones were observed around colonies of P. flavipulchra, P. peptidolytica, P. piscicida, and P. rubra tested against B. cereus, B. subtilis, and H. smyrnensis. The efficiency of colony scraping and broth culture methods for antimicrobial compound extraction was also compared using a disk diffusion assay. P. peptidolytica, P. piscicida, and P. rubra showe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H. smyrnensis, B. cereus, and B. subtilis, respectively, only in the colony scraping method. Our results show that colony picking and colony scraping are effective, quick, and easy methods of screening for antibacterial compound-producing bacteria.

보육시설 유아 사용 칫솔의 식중독 미생물 분포 및 독소 유전자 (Prevalence and Toxin Gene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Toothbrush in Child Care Center)

  • 김종승;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2-248
    • /
    • 2015
  • 어린이집 유아들이 사용하는 칫솔 및 양치 컵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독소 유전자 및 독소 생산능력을 분석하여 칫솔과 양치 컵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고자 칫솔 75개, 칫솔걸이 29개, 양치 컵 65개를 실험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5.3 log CFU 검출되었고 칫솔은 평균 6.7 log CFU 검출되어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은 칫솔 75건 중 41건 (54.7%), 칫솔걸이 29건 중 13건 (44.8%), 양치 컵 65건 중 29건 (44.6%)에서 검출되었으며 진균수는 평균 3.2 log CFU 검출되었고 칫솔이 평균 4.6 log CFU 검출되어 칫솔의 대장균군, 진균 오염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B. cereus는 칫솔 75건 중 1건 (1.3%), 양치 컵 65건 중 2건 (3.1%)에서 검출되었고 S. aureus는 양치 컵 65건 중 1건 (1.5%)에서 검출되었다. 칫솔에서 분리된 B. cereus의 경우 nheA, nheB, nheC, hblC, hblD, hblA, entFM 등 7종의 설사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양치 컵에서 분리된 B. cereus 2균주는 nheA, nheB, nheC, entFM 설사독소 유전자만 검출되었다. 칫솔에서 분리된 B. cereus의 경우 HBL, NHE 설사독소를 생산하였고 양치 컵에서 분리된 B. cereus 2균주는 모두 NHE 설사독소만을 생산하였다. B. cereus는 ${\beta}-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만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칫솔과 양치 컵이 양치 후 젖은 상태로 화장실에 보관되거나 젖은 상태로 자외선 살균고에서 살균되는 등 부적절한 보관가 살균방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면역력이 취약한 어린이집 유아가 사용하는 칫솔 및 양치컵을 건조한 후 자외선 살균고 등을 이용 살균하여 상대 습도가 낮은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산지 수집 신선 유기농 농산물 미생물 분포도 분석 (Microbial Prevalence and Quality of Organic Farm Produce from Various Production Sites)

  • 박원정;류화연;임가연;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2-267
    • /
    • 2014
  • 신선편이식품 소재인 유기농산물의 미생물 분포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풋고추, 상추, 토마토, 사과, 배, 쌀 등의 농산물을 47개 지역에서 관행농 농산물과 동시에 현장에서 시료를 수집하였다. 일반 세균수로는 유기농 고추가 평균 4.07 log CFU/g, 관행농 고추는 3.71 log CFU/g 검출되었고 상추는 유기농, 관행농에서 6.76-6.90 log CFU/g로 분석되었다. 토마토와 사과는 2종류 시료에서 각각 2.08-2.92 log CFU/g, 0.70-0.82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쌀도 유기농과 관행농 시료에서 2.92-2.98 log CFU/g 범위의 세균분포를 보여주었으나 유기농 배에서는 4.48 log CFU/g, 관행농 배는 2.84 log CFU/g의 분포도를 보여 주었다. 분석시료에 따라 미생물의 분포에 많은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유기농과 관행농산물의 미생물분포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병원성 세균인 Cl. perfringen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 aureus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농산물 2개(4%)와 관행농산물 3개(6%)에서 E. coil가 1.7 log CFU/g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유기농 6개(13%)가 1.97 log CFU/g수준으로, 관행농 11개(23%)에서 1.0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므로 유기농산물과 관행농산물에서의 일반세균과 병원성 세균의 오염정도는 차이가 거의 없고 이들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수준도 비교적 낮아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Monitoring of Bacterial Pathogen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s at Farms in Korea

  • Thapa, Shree Prasad;Kim, Seong-Soo;Hong, Sun-Song;Park, Dong-Sik;Lim, Chun-Keun;Hur, J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28-135
    • /
    • 2008
  • A total of 142 samples comprising vegetables, soil, and water collected from different agricultural farms (five provinces) were analyzed for total aerobic bacteria (aerobic plate count [APC]),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average of total APC in all the samples ranged from $4.72{\times}10^5$ to $8.62{\times}10^8\;CFU/g$ (mL). The prevalence of B. cereus, E. coli, L. monocytogenes, S. spp., and S. aureus for all samples was 17.60%, 2.11 %, 1.4%, 0%, and 2.11 % respectively, and their counts averaged to $4.87{\times}10^4\;CFU/g$ (mL), $4.34{\times}10^3\;CFU/g$ (mL), $2.15{\times}10^2\;CFU/g$, 0 CFU/g, and $3.12{\times}10^3\;CFU/g$ respectively. Among the 3 different types of samples, 6 vegetables (10.34%), 24 soil (38.70%), and 3 water (13.64%) samples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bacterial pathoge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ccurrence of bacterial pathogen in the samples analyzed was low. Further time to time monitoring and need to wash of raw agricultural products is recommended.

시판 생식에서 식중독균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Commercial Sangshik)

  • 곽효선;황인균;박종석;김미경;이근영;고영호;배윤영;문성양;변주선;권기성;우건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2006
  • 최근 생식제품에 대한 국민 선호도가 높아지고 판매량이 증가됨에 따라 안전하고 위생적인 생식의 유통을 유도하고, 위생 강화를 위한 미생물 규격 제정의 기초연구를 위하여 시판 생식 및 원재료에 대한 식중독균 분포실태를 조사하였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 인천, 부산 등 전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및 통신판매에서 시판 중인 생식제품 191건을 구입하여 주요 식중 독균인 E. coli,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y jejuni, Yersinia enterocolitica,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B. cereus는 29건(15.2%), C. perfringens는 21건(11.0%), E. coli는 1건(0.5%)에서 검출되었으나 그 외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정량적 평가 결과 일반세균수는 $1.2X10^3cfu/g{\sim}1.6X10^9cfu/g$, B. cereus는 100 cfu/g 이하${\sim}11X10^3cfu/g$, C. perfringens는 100 cfu/g 이하${\sim}2.2x10^3cfu/g$의 분포를 보였다. 생식의 미생물 오염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9개 생식제조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미, 당근, 율무, 옥수수 등 53건의 원재료에 대한 미생물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수는 $1.0X10^3cfu/g{\sim}1.5X10^8cfu/g$의 분포를 보였고, B. cereus는 13건(24.5%)에서 검출되었는데 11건(84.6%)이 100 cfu/g 이하이었다. C. perfringens는 2건(3.8%)에서 검출되었는데 모두 100 cfu/g 이하의 낮은 균수를 보였다. 생식 완제품과 같이 E. coli, Salmonella, S. aureus 등 8종의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유통 생식은 일반적으로 식중독균에 의한 위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제조과정 및 유통과정 중 부적절한 보관 및 유통에서 기인될 수 있는 오염균의 증식이나 교차오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울지역 유통판매 중인 즉석섭취.편의식품의 위해 미생물 오염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Products in Seoul, Korea)

  • 김희연;오선우;정소영;최선희;이지원;양지연;서은채;김용훈;박희옥;양철용;하상철;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9-44
    • /
    • 2011
  •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즉석섭취 편의식품에 대한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고자 식품품목별로 일반세균수, E. coli 정성 및 정량, S. aureus 정량, B. cereus group 정량, L. monocytogenes 정성 및 정량검사를 실시하였다. 즉석섭취 편의식품은 해산물함유, 육류함유, 빵류, 밥류, 샐러드류, 신선편의식품류로 유형을 분류하고 식품군별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 세균수에서는 대부분 3-5 log CFU/g의 오염분포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오염도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가장 높은 평균값(4.4 log CFU/g이상)를 보인 품목은 빵류, 밥류와 신선편의식품이었다. E. coli는 밥류 2건에서 식품기준 및 규격을 초과하였으며, S. aureus은 해산물함유 1건 및 빵류 1건에서 식품공전 기준 및 규격 이상을 초과하여 이들 식품군들의 식품위생관리가 더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중독균은 계절에 상관없이 E. coli, S. aureus 및 B. cereus group의 오염도를 꾸준히 보이고 있으며, 즉석섭취 편의식품의 미생물오염 관리는 계절에 상관없이 개인위생 및 환경위생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즉석섭취 편의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확보를 위해서는 제조업체의 생산단계부터 사용재료에 대한 정확한 분석, 운반과정에 대한 관리, 제조 및 유통단계에서의 위생관리 등 전반적인 위생관리가 적용되어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분퇴비와 유기질비료에서 병원성박테리아의 분포도 분석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er)

  • 정규석;허성기;노은정;이동환;윤종철;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24-829
    • /
    • 2011
  • 최근에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신선 채소류 등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퇴비등 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로 크게 5그룹으로 구분한 후 각 지역에서 국내 축산의 주요 축종인 소, 돼지, 닭의 분뇨를 주원료로 생산,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 32종과 박(粕) 종류가 주원료인 유기질 비료 28종을 수집하여 총균수, 대장균군 E. coli,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B. cereus 등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축분 퇴비 32종과 유기질 비료 28종의 총균수는 각각 $5.09{\sim}9.68log\;CFU\;g^{-1}$, $3.16{\sim}7.09log\;CFU\;g^{-1}$이었다. 총균수에서는 유기질 비료가 가축분 퇴비보다 더 낮은 미 생물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가축분 퇴비의 경우에는 총 32종 중 약 88%가 $7log\;CFU\;g^{-1}$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가축분 퇴비와 유기질 비료에서 대장균군은 각각 32종 중 4종 (12.5%)에서, 28종 중 4종 (14.2%)에서 검출되었고, E. coli은 각각 32종 중 2종 (6.3%), 28종 중 1종 (3.5%)에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가축분 퇴비에서, 그 범위가 $2.77{\sim}4.63log\;CFU\;g^{-1}$, 평균 $3.42log\;CFU\;g^{-1}$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기질 비료에서, 그 범위는 $1.00{\sim}3.25log\;CFU\;g^{-1}$, 평균 $2.42log\;CFU\;g^{-1}$ 수준으로 나타났다. E. coli은 가축분 퇴비 32종 중 2종에서 $2.62{\sim}2.85log\;CFU\;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유기질 비료에서 $1.85log\;CFU\;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가축분 퇴비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등은 검출되지 않았고, B. cereus는 3종 (9%)에서 검출되었다. 유기질 비료에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B. cereus 등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부숙 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제주마 고환내 세균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동정 (Identification of Bacteria by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in Testes of Jeju Horses)

  • 박용상;김남영;한상현;박남건;고문석;조원모;채현석;조인철;조상래;우제훈;강태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39
    • /
    • 2014
  • Many bacteria colonized in the horse semen affect quality of the sperm and some may cause infection in the mare reproductive tract and infertility of susceptible mar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bacteria in testes of Jeju horses by determining rRNA sequence. The samples were swabed from the testes of nine Jeju horses (aged from 8 to 12 months after birth). Bacteria isolated from testes were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ing. 1.6-kbp PCR products for 16S rRNA coding region were obtained using the universal primers. The PCR products were further purified and sequenced. Maximum similar species were found by BLAST search in the GenBank DNA database. BLAST results showed that the sequences were similar to those of Acinetobacter sp (A. schindleri, A. ursingii)., Bacillus cereus, Corynebacterium glutamicum, Escherichia coli, Gamma proteobacterium, Micrococcus luteus, Pseudomonas mendocina, Shigella sonnei, Sphingomonas sp., Staphylococcus sp (S. cohnii, S. saprophyticus, S. xylosus)., and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DNA sequences for 16S rRNA is provided useful informations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for the reproductive organs in ho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