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문제제기 사례 분석 (The Analysis of Problem Posing Cases of Pre-Service Primary Teacher)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18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문제제기 과정이 예비교사에게 제공하는 학습 기회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 과정은 문제 조건 변형, 문제 성립 조건 탐구, 문제 구조 이해, 문제에서 생성된 개념탐구로 구성되었고, 각 단계에서 문제제기와 수학적 탐구가 결합하면서 다음 단계로 이어졌다. 탐구와 결합된 문제제기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기존 개념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수학적 대상을 발견하면서 수학적 개념들 사이의 연결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수학교육에서 문제제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문제제기는 예비교사들에게 토론과 협력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and Evaluation of Digital Mathematical Resources

  • Sheunghyun Ye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105-120
    • /
    • 2023
  •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cent studies have connected teachers' professional noticing with the use of digital resources in mathematical instructions. In this study, I examined elementary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and interpreting a mathematical software, ST Math, in the exploring and implementing phas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reservice teachers paid attention to visual representations and manipulation prior to interactions with children and further took into consideration on task structures and situated context after interactions. They interpreted the events based on connected mathematical knowledge of prior interactions and further reflected on the progression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sequence of tasks. In addition, four distinctive profiles of transitioning of evaluation on ST Math activities were identified with illustrations. Implications for noticing an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중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 - y=1, y=x, x=0, $x^2+y^2=1$의 그래프 -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Graphical Representation of y=1, y=x, x=0, $x^2+y^2=1$)

  • 한정순;차인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105-12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bout graphical represent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bette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our schools. For this purpose, sixty-three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and given diverse graphical representation problems of y=1, y=x, x=0, $x^2+y^2=1$. All preservice teachers complet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First type is about constructing the graphs of the above each equation, and the second one is to make them find the appropriate graphs from given examples of the each equ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participant pre service teachers were unable to construct graphs in terms of various dimensions and various direction of coordinate axis. All of the participants represented the graph of each equation on only two-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In addition, some preservice teachers believed that the axis of coordinates have to be x-axis on horizontal line and y-axis on vertical line. From this study, it is implicated that pre 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needs to provide the experience of representing the graphs of equation in terms of various dimensions and various direction of coordinate axis so as to develop their future students the flexibility and creativity in mathematical thinking especially in the area of space perception.

  • PDF

초등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 비율 수업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Curricular Noticing: Focusing on the Lesson Planning for Rate)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83-102
    • /
    • 2021
  •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은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내재된 내용과 교수학적 기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의 과정 중 관심을 기울이고 해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가 비율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할 때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Compu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Fractions

  • Rosli, Roslinda;Han, Sunyoung;Capraro, Robert M.;Capraro, Mary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1-241
    • /
    • 2013
  • The data for the present paper was a part of a large research project conducted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related to fractions and place value at a southwestern public university in 2007. The study utilized convenience sampling, consisting of 15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before their student teaching. The results demonstrat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comparison,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wa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se should be basic knowledg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emphasize profound knowledge for teaching fractions using representations.

현직수학교사와 예비수학교사들의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지식 및 능력에 관한 인식조사 (The perspectives on the knowledge and abiliti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27-546
    • /
    • 2015
  •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has been discussed by many mathematics educators and researchers. This study surveyed the perspectives on the knowledge and abiliti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eacher groups about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teaching mathematics are very differ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give information on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rograms.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10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 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나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길러 주어야 할 것으로 창의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 55명이 2주 동안 실습을 하면서 지도교사나 예비교사들이 공개적으로 실시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관찰하고 기술한 것을 분석하여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학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 대안적인 활동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의 요소로 주로 융통성과 독창성으로 보았고, 수학 수업에서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있음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서는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과 함께 현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중등 예비교사의 함수 관계 상황 표현 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 차인숙;한정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99-210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55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Functional thinking is fundamental and useful because it develops students' quantitative thinking about the world and analytical thinking about complex situations th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t factors. Functional thinking is indispensable for understanding natural phenomena, for investigation by science, and for the technological inventions in engineering and naviga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functional relationships to develop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s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able to appropriately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Additionally, it shows that most preservice teachers hav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eaching function.

  • PDF

문제제기 및 해결을 통한 한국과 미국 예비교사의 분수 곱셈 이해 탐색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fraction multiplication through problem posing and solv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여승현;이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57-17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예비교사들의 분수 곱셈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기 위해서 문제제기 및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분수)×(분수)의 상황에 비해서 (자연수)×(분수)에서 피승수와 승수의 위치를 혼동하여 승수를 분수가 아닌 자연수로 생각하는 경향이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분수)×(분수)에서는 집합이나 길이에 비해서 넓이 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주어진 수식의 계산과정이 나타나도록 모델을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곱셈의미 이해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 강문봉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