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iveness of the Korean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concerning the Teacher Conceptions of Constructivism and STS

  • Cha, Hee-Young;Yager, R.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1-35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t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teacher conceptions of constructivism and STS. It is because the current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s consistent with both ideas as reforms.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ampled in the research included pre-service programs and two types of in-service programs. These two were the Qualifying In-service Program and the Iowa Korean Science Teachers Workshop. The Iowa Program was considered as an experimental program emphasized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s for identifying teacher con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were administered. The conceptions about constructivism and STS improved as a result of the instruction in both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pre-servic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service programs in improving the teacher conceptions of both constructivism and STS. The Qualifying Inservice program was less effective than Iowa Korean Science Teachers Workshop. It was necessary for inservice programs for Korean secondary science teachers to be more emphasized on constructivism and STS. Iowa Korean Science Teachers Workshop provided a possible example to design a new special in-service program focused 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as a way of aligning th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ore quickly with recommended teaching practices in Korean schools.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선택동기, 교육신념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관련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 유귀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3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he sample included 308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odified Orientation to Teach Survey (MOTS), Teaching-belief type scal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onveys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hile nature of work had the weakest. For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aturationism and interactionism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hile behaviorism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Behavioris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for challenge,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2) Analysis of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belief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dicate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had a strong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uccessful performa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not only requires receiving institutionalized education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while work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ment on Problem Solving Process)

  • 김남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9-175
    • /
    • 2008
  • 문제해결은 우리나라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수학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의 제안, 평가의 제안, 교육기자재 활용 목적 등 여러 측면에서 명시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현상의 수학수업을 이끌어 갈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해결 지도 능력을 실제적으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과정에서는 사법대학 수학교육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지도에 중점을 둔 지도과정을 구성, 실행하도록 안내하였다. 연구의 실행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구성 및 실행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고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실행을 통해 에비수학교사들이 수학수업에 대해 갖게될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예비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법대학의 교사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에 대한 지도 못지않게 방법적 지식에 대한 지도도 중요함을 부각시키고 방법적 지식의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사례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

실습일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및 보육실습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wn in Practice Teaching Journals)

  • 이미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227-24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e teaching journ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52 practice teaching journals of 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the type of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journal writ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 similar ratio of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more group activities in practicum in kindergartens, but more choice activities in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Third, the journal writing contents of pre-service teachers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mainly addressed the operating of educational and child care activities, and the execution of observing young children. But some categories of teacher's competency were hardly add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early childhood practicum programs.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 Portfolio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25-246
    • /
    • 2016
  •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에서 수업능력은 가장 핵심이며, 예비교사 시기에서부터 관련된 교육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스스로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그것을 개선해 나가는 실천능력을 길러야 한다.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필수적인 과정으로 수업능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중등 예비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활용방안, 구성요소와 적용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에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적용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on Teaching Ethics,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 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25-3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I시 유아교육과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학생으로 총 168명이다. 연구 검사도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무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직윤리 전체와 관계가 있었다.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는 교직윤리 전체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특히 공감적 관심과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인지적 공감은 영유아에 대한 윤리와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공감은 사회에 대한 윤리와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미치는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은 관점취하기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그 다음으로 상상하기가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공감적 관심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와 관련된 공감의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 증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고 교직윤리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 이규녀;김소연;박기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99
    • /
    • 2011
  •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emistry Major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Properties of Dilute Solutions and Perception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 이송연;김성혜;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87-79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4명의 예비교사들과 화학을 전공한 2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묽은 용액의 성질" 단원에 관련된 개념의 이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 중에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예비교사들이 많지 않았으며, 묽은 용액의 성질에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나타났다. 그리고 사범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과 비사범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대학과 상관없이 그들의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실천적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초등학교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및 과학 교육에 관한 신념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 김정민;여성희;심규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489-498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surveying and examining the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21 item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on a 5-Likert scale(score range from 1 to 5). The one contained science knowledge and scientific invention, and the other contained science teacher, learning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6 pre-service and 96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24 male and 148 female). The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had higher level belief about that science knowledge should be acquired by sequential scientific process, the beliefs of in-service teachers was more explicit than those of pre-service teachers. They had beliefs to educate learners by providing scientific joyfulness and sequential scientific process. But,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perform scientific process-based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cientific experienc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in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s.

  • PDF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 타당화 (The Validation of Pre-service Teacher Efficacy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 이채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는 G지역에 소재한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Cronbach's ${\alpha}$)계수, 상관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교수전략 효능감, 학생참여 효능감, 교실관리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총 문항은 1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 신뢰도는 '교수전략 효능감' .82, '학생참여 효능감' .72, '교실관리 효능감' .7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87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모델 적합도는 CMIN/DF = 1.59, RMSEA = .05, SRMR = .05, NNFI = .96, CFI = .97로 나타나 예비 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가 적합한 측정 도구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