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실습일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및 보육실습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wn in Practice Teaching Journals

  • 투고 : 2016.10.15
  • 심사 : 2016.12.11
  • 발행 : 2016.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e teaching journ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52 practice teaching journals of 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the type of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journal writ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 similar ratio of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more group activities in practicum in kindergartens, but more choice activities in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Third, the journal writing contents of pre-service teachers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mainly addressed the operating of educational and child care activities, and the execution of observing young children. But some categories of teacher's competency were hardly add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early childhood practicum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직무능력표준 (2016). 2016년 NCS개발매뉴얼 개정(안). https://www.ncs.go.kr/ncs/page.do?sk=P1A4_PG09_002에서 2016년 8월 8일 인출
  2. 권혜진 (2015). 교직사회화 맥락에서 본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경험의 의미 탐색. 학교사회복지, 32, 27-52.
  3. 김남행 (2007).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남희 (2009). 보육실습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에 대한 인식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8(4), 85-114.
  5. 김미경 (2011).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과 극복요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15(2), 135-160.
  6. 김안나 (2011). 교육실습에 비춰진 예비유아교사의 감정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9-49.
  7. 김은영, 김길숙, 이연주 (2016).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에 대비한 교사자격제도 개선 방안: 교사 양성기관 교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141-160.
  8. 김창복, 김근규, 이일랑 (2013). 미국예비유아교사의 사전실습에 대한 연구: 현장참여와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1), 163-193.
  9. 문혁준, 백혜리, 김정희, 김혜연, 김민희 (2010). 보육실습. 서울: 창지사.
  10.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1. 박정옥, 김태인 (2011). 반성적 저널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371-394.
  12. 배소연, 윤기영, 조부경 (1994).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의 교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4(1), 173-198.
  13. 백지희 (2016).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의 주된 활동 및 직무와 정서 탐색. 유아교육연구, 36(4), 201-222.
  14. 서혜정, 김은영 (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15. 성원경(2007). 실습 전.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송연숙, 박영옥 (2015).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219-242.
  17. 송주승, 정혜명 (2009). 유아교육과 재학생의 교육실습 실태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41-57.
  18. 신은수 (1996). 4년제 유아교사양성대학의 정규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현장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 25, 315-328.
  19. 신은희 (200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지영 (2015).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하는 유아와의 관계 맺기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9(5), 393-417.
  21. 양옥승, 조유나, 나은숙, 김호인, 손복영 (2011). 영아발달과 보육. 서울: 신정.
  22. 엄은나 (2013).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현장실습의 어려움. 아동보육연구, 9(1), 45-64.
  23.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223-248.
  24. 오선영 (2003).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7(1), 69-91.
  25. 오영희, 이성희 (200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관찰 및 참여. 서울: 양서원.
  26. 오욱환 (2005). 교사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서울: 교육과학사.
  27. 유병예 (2013). 예비보육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흥옥 (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예비교사의 발달적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육선희 (2001). 교육실습일지 분석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기영, 정현숙, 류칠선, 조인경, 신현주, 신은희 (2011). 유아교육실습. 경기: 양서원.
  31. 윤향미, 장영희 (2013).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유아교육연구, 33(4), 267-289.
  32. 이대균, 김선구 (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313-338.
  33. 이명순, 곽승주, 전영희 (2010). 영아보육과정. 경기: 정민사.
  34. 이선미 (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35. 이정미, 김은정 (2009). 예비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03-325.
  36. 이희경 (2011). 유아교육과 학생이 유치원현장실습과 보육실습 기간에 경험하는 유아 교사의 역할. 영유아교육연구, 14, 41-55.
  37. 임경심 (2009). 유치원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효진 (2007). 교육.보육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지형 (2015). 자유선택활동 계획 및 실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갈등.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203-229.
  40. 정남미 (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 분석: 실습생, 지도교사, 원감, 원장입장에서. 유아교육연구, 12(6), 215-235.
  41. 조부경, 고영미 (2004).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과의 협력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4(3), 47-76.
  42. 조양순, 나귀옥 (2015, 11). 유아교육.보육현장에서 보는 바람직한 통합 유아교사 양성체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43. 조운주 (2004).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 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5-25.
  44. 최명아 (2013). 유치원교육실습 현황과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요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은아, 탁정화 (2015).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에 따른 실습 불안과 소진의 변화양상.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727-757.
  46. Barber, M., & Mourshed, M. (2007). How the world's best performing schools come out on top. London: McKinsey and Company.
  47. Bencze, L., Hewitt, J., & Pedretti, E. (2001). Multi-media case methods in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Enabling an apprenticeship for praxi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191-209. https://doi.org/10.1023/A:1013121930945
  48. Bransford, J., Darling-Hammond, L., & LePage, P. (2005). Introduction. In L. Darling-Hammond & J. Bransford (Eds.),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pp. 1-39).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9. Clement, M. C. (2002). What cooperating teachers are teaching student teachers about classroom management. The Teacher Educator, 38(1), 47-62. https://doi.org/10.1080/08878730209555306
  50. Darling-Hammond, L. (2006). Powerful teacher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1. Ferrier-Kerr, J. L. (2009). Establishing 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practicum setting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6), 790-797. https://doi.org/10.1016/j.tate.2009.01.001
  52. KOC, K. (2012). Using a dilemma case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Does it promote theory and practice connection?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2(4), 3153-3163.
  53. Korthagen, F. A. J., Kessels, J., Koster, B., Lagerwerf, B., & Wubbles, T.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54. Sibert, S. M., & Rieg, S. (2016).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self-confidence in traditi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field placements. National Teacher Education Journal, 9(2), 47-56.
  55. Stacey, S. (2009). Emergent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settings: From theory to practice. St. Paul, MN: Redleaf Press.
  56. Wyss, V. L., Siebert, C. J., & Dowling, K. A. (2012). Structuring effective practicum experiences for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132(3), 6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