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tutoring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Tutoring Program o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 A Meta-Analysis)

  • 이형주;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3-137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학생 대상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초 중 고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 31편을 선정하여 각 논문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수학학습부진학생을 위한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은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특히 초등학교 급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두 프로그램 중 또래교수의 효과크기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서도 두 프로그램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또래교수가 협동학습 보다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학교급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초등, 중등, 고등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을 세부 범주로 나타냈을 때에는 수학적 자기효능감, 수학학습태도, 수학학습흥미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학습부진학생 지도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동료 튜터링'에 참가한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차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etween Low-Achievers Participating in Peer Tutoring)

  • 황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81-59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참가자 중 목표달성 집단(학점 상승)과 미달성 집단(학점 하락)의 차이를 학점 변화 및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차이로 비교, 분석해보고, 둘째, 세 변인의 관련성이 어떠한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학습 튜터링 참가자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정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략한 연구 결과는, 첫째, 튜터링 참여 후 목표달성 집단(124명, 80.52%)은 학점이 상승하였고, 참가자 전체의 학점 평균도 상승하였다. 둘째, 성별, 학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목표달성 집단은 미달성 집단보다 세 가지 변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넷째, 세 가지 성과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의 71%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료(학습) 튜터링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 향상을 위한 활동 전략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상호동료 교수학습 기반의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 83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수술전간호, 개인위생, 수술후간호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수술전간호, 수술후간호의 숙련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의 실습만족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은 난이도 '중' 정도의 핵심간호술의 수행자신감과 숙련도에 효과가 있으며 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다양한 실습교과에 확대 적용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의 난이도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상호 또래교수 활동 과정에서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정의적 영역 변화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the Affective Change of Underachieving Students in Mathematics During Reciprocal Peer Tutoring)

  • 김기윤;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21-240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수업 결손을 보충하고 학생에게 성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상호 또래교수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학습부진학생을 수학 성취도가 중학교 단계까지 학교에서 중 수준 이상이고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진 학생으로 정의하고, 수학 학습부진학생 4명을 대상으로 상호 또래교수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또래교수 활동의 장점 및 역할을 살펴보았다.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및 사전 훈련을 포함하여 약 3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전반적으로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에 참여한 4명의 학생이 모두 동일한 양상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학생별로 긍정적인 변화의 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모든 학생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실기 교육에서 동료지도법을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 전략 (Instructional Strateg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Peer Tutoring in the Practical Class of Technical High School)

  • 손주민;김판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45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실기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고, 실기교육 내용의 재구성과 모형개발을 위해서 전문가와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15단계로 구성된 협동학습 수업 전략 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모형은 전통적인 4단계 모형에 그 기반을 두고 있고, 이미 그 효과가 검증된 Jigsaw 모형과 STAD 모형, 그리고 LT 모형의 장점을 수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특징은 학생들이 협동학습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서 모든 팀 구성원들이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학습안내서를 가지고 수업목표를 달성해야 하며, 자신들의 동료들을 가르쳐서 구성원 모두가 완전학습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 이 수업전략 모형은 모듈식 학습안내서, 동료지도법, 그리고 협동학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은 물론이고 기능적 영역의 수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본의학교육에서 동료지원학습의 활용과 효과 (Utilization and Effects of Peer-Assisted Learning in Basic Medical Education)

  • 노혜린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1호
    • /
    • pp.11-22
    • /
    • 2021
  •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effects of peer-assisted learning in basic medical education. Peer-assisted learning is most commonly utilized to teach clinical skills (including technical skills) and medical knowledge (76.4%). It has also been used, albeit less frequently, to facilitate small-group discussions including problem-based learning, to promote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ovide mentoring for career develop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to give tutoring to at-risk students, and to implement work-based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Near-peer learning is a common type. The use of active learning techniques and digital technology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Students' leadership had frequently been described. Student tutor training, programs for teaching skills, institutional support, and assessments have been conducted for effective peer-assisted learning. There is considerable positive evidence that peer-assisted learning is effective in teaching simple clinical skills and medical knowledge for tutees. However, its effects on complex skills and knowledge, small-group discussion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eer mentoring, and work-based learning have rarely been studied. Additionally, little evidence exists regarding whether peer-assisted learning is effective for student tuto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peer-assisted learning programs and to investigate their learning effects on student tutors, small-group discussion facilitation,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eer mentoring, and peer-led work-based learning in the clinical setting in South Korea. Formal programs and system advancement for a student-led learning culture is needed for effective peer-assisted learning.

튜터 선정이 튜터링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Study about Tutoring Learing Performances of the Selection Methods of Tutors)

  • 안유정;김경아;오석;박병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415-4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피어 튜터링 교수법을 적용하여 단계별 수준별 학습을 수행하고자 할때 튜터의 선발 방법에 따라 튜터링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두 가지 수업 유형에 각기 다른 튜터 선발 방법을 적용하여 운영해보고 그에 따른 튜티들의 학습효과를 분석해보았다.

  • PDF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및 분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상호동료 질문생성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Questioning Strategy in Concept Learning on the Three States of Matter and Motion of Molecules)

  • 김경순;김소연;이정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94-403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상호동료 질문생성 전략이 학생들의 개념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 92명을 통제 집단, 상호동료교수(RPT) 집단 및 상호동료 질문생성(RPT) 집단에 배치하고,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분자의 운동' 단원을 대상으로 12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 과학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RPQ 집단의 개념 이해도 검사 점수가 세 집단 중에서 가장 높았고, RPT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도 높았으며 이들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상위 학생들의 경우, RPQ 집단의 개념 응용력 점수는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고, RPT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높았다. 하위 학생들의 경우에는 RPT 집단과 RPQ 집단의 개념 응용력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았으나, RPT 집단과 RPQ 집단의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 간 교수 활동에 의한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화학 개념 학습을 도와주며,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만드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RPQ 전략을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개념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유용한 교수 방법의 하나로 제안한다.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Exploring on Learning Process of Higher-Level Performers during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 이환철;허난;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177-191
    • /
    • 2010
  •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 수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소집단 협력 학습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면에서도 도움을 준다. 학습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들은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면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됨을 스스로 느끼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은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이 부진한 학생과의 상호작용 특히 부진한 학생에게 수학을 지도하면서 어떤 수학 학습 과정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은 동료를 지도함으로 인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 PDF

또래교수법이 수학 문제해결과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eer Tutoring Metho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Class Satisfaction)

  • 차지혜;최상호;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03-22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통해 고등학교 이차곡선 단원에 대한 수업을 진행한 후 문제해결능력과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교수학습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7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또래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이 종료된 후에 <이차곡선 문제해결능력 검사지>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비교와 <수업 만족도 검사지>를 분석한 결과 또래교수법을 통해 친밀한 학습 환경, 개별화된 학습 내용, 자유로운 학습 과정을 통한 학습 동기유발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문제해결능력과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차곡선을 지도할 때 또래교수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여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