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Affective Change of Underachieving Students in Mathematics During Reciprocal Peer Tutoring

상호 또래교수 활동 과정에서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정의적 영역 변화 사례 분석

  • Received : 2019.08.07
  • Accepted : 2019.09.09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ciprocal Peer Tutoring(RPT) for mathematics underachieving students as one way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supplement their lack of mathematics learning and to provide them with successful experiences in learning mathematics. We defined underachieving student in mathematics as the student whose mathematics achievement was high or middle level in the middle school but became lower in high school. Four mathematics underachiev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and roles of RPT by focusing on their positive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RPT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including pre-training, pretest, and posttest.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PT has generally made positive changes in the affective domain of underachieving mathematics students. Although four students did not show the same pattern of change and the sub-elements of positive change were different for each student, RPT provided opportunities for 4 all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수업 결손을 보충하고 학생에게 성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상호 또래교수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학습부진학생을 수학 성취도가 중학교 단계까지 학교에서 중 수준 이상이고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진 학생으로 정의하고, 수학 학습부진학생 4명을 대상으로 상호 또래교수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또래교수 활동의 장점 및 역할을 살펴보았다.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및 사전 훈련을 포함하여 약 3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전반적으로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에 참여한 4명의 학생이 모두 동일한 양상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학생별로 긍정적인 변화의 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모든 학생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윤(2018). 상호적 또래교수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대토 변화 사례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남선영(2013). 또래교수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영미(2016). 상호적 또래교수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자기결정성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현화(2007).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변희승(2018). 상호적 또래교수와 비상호적 또래교수가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백정은, 권혁진(2007).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교육논문집, 10(4), 487-504.
  7. 손지영(2000). 장애 학생간의 상급 학생 또래교수가 또래 교사와 학습자의 철자 성취도 및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유근미(2010). 또래교사 역할 경험이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규명(2000).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 장애 학생의 수학성취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최승현, 박상욱, 황혜정(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a).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주요 결과 - 고등학교 수학 -. 홍보자료 PIM 2018-7-7.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b).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주요 결과 - 중학교 수학 -. 홍보자료 PIM 2018-7-3.
  13. Bierman, K. L., & Furman, W. (1981). Effects of role and assignment rationale on attitude formed during peer tutor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73.1.33
  14. Cook, S. B., Scruggs, T. E., Mastropieri, M.A., & Castro, G. C. (1985). Handicapped students as tutor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9(4), 483-492. https://doi.org/10.1177/002246698501900410
  15. Erlandson, D. A., Harris, E. L., Skipper, B. L., & Allen, S. D. (1993). Doing Naturalistic Inquiry: a Guide to Methods. Newbury Park.
  16. Fantuzzo, J. W., Polite, K., & Grayson, N. (1990). An evaluation of reciprocal peer tutoring across elementary school sett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8(4), 309-324. https://doi.org/10.1016/0022-4405(90)90021-X
  17. Fantuzzo, J. W., King, J. A., & Heller, L. R. (1992).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and school adjustment : A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331-339. https://doi.org/10.1037/0022-0663.84.3.331
  18. Fantuzzo, J. W., Davis, G. Y., & Ginsburg, M. D. (1995).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in isolation or in combination with peer tutoring on student. self-concep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2), 272-281. https://doi.org/10.1037/0022-0663.87.2.272
  19. Fulton, L., Leroy, C., Pinckney, M. L., & Weekley. T. (1994). Peer education partners : A program for learning and working together.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26(4), 6-11. https://doi.org/10.1177/004005999402600402
  20. Griffin, M. M., Griffin, B. W. (1998).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3(3), 298-311. https://doi.org/10.1006/ceps.1998.0971
  21. Merriam, S. B.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 A Qualitative Approach. San Fransisco: Jossey-Bass. 허미화(역) (1994). 질적사례연구법. 서울: 양서원.
  22. Pigott, H, E., Fantuzzo, J. W., & Clement, P. W. (1986).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and Group Contingencie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9(1), 93-98. https://doi.org/10.1901/jaba.1986.19-93
  23. Utley, C. A., Mortweet, S. L., & Greenwood, C. R. (1997). Peer-mediated Instruction and Intervention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9(5), 1-23.
  24. Warger. C. L. (1991). Peer tutoring : When Working Together is Better than Alone. ERIC 301 220.
  25. Yasutake, D., Bryan, T., & Dohrn, E. (1996). The Effects of Combining Peer Tutoring and Attribution Training on Student Perceived Self-cometence.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7(2), 83-91. https://doi.org/10.1177/0741932596017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