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children relationship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7초

다문화정책 시사점 도출을 위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s School Resilience for The Multicultural Policy Implications)

  • 임선모;신정숙;손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75-183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어떤 보호요인이 위험요인을 조절하여 학교적응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부(-)적인 영향을, 보호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자존감은 부정적 양육태도를, 긍정적 태도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부부갈등을, 교사지지는 부정적 양육태도를 조절하여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조절관계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위험요인 감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유아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정밀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Precise Position Monitoring System for Infant Interaction Analysis)

  • 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1-2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IoT 기술 기반의 명찰을 활용하여 영유아 교육기관 내에서 각 영유아의 개별적인 위치와 타 유아와의 근접거리 유지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정밀위치 추적 모듈, 게이트웨이 위치정보 산출을 위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서비스 플랫폼 서버, 영유아의 발달을 고려한 데이터 분석 처리 모듈로 구성하였으며, 각 영유아가 어떤 유아와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한 정보는 소외나 배척을 당하는 영유아뿐만 아니라 사회성 발달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 영유아, 더 나아가서 인기가 많은 영유아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유아의 또래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영유아간의 근접거리 정보를 토대로, 긍정적인 상호작용인지 부정적인 상호작용인지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영유아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교육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학부모와의 상담 시 활용하고 본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한 정보를 DB화하여 영유아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한국 유아의 대소변가리기 성취도 및 어머니의 대소변가리기 훈련에 대한 지식 (Toilet Training Status of Korean Toddlers and Their Mothers' Knowledge of Toilet Training)

  • 박은숙;안채순;김은경;성경숙;원정완;오원옥;윤영미;석민현;임여진;조헌하;임혜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21-231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oilet training status (TTS) of Korean toddlers and their mothers' level of knowledge of toilet training (TT)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TTS and mothers' level of knowledge of TT.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15 12-29 month 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recruited from outpatient clinics of hospitals and day care center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TS of Korean toddlers showed was more advanced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samples except for independent hand washing after toileting and this improved with age. The mother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experience and a different pace for each child in the appropriate period for toilet training but less appreciation of the readiness of child to initiate T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TS and mothers' level of knowledge of TT. Conclusion: Using the above findings, health professionals who work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nee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TT that will promote toddlers' physical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 PDF

분노하는 아동의 상담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hild-Centered Play Therapy for Young Child's Anger)

  • 김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65-70
    • /
    • 2022
  • 본 연구는 분노감정이 주된 정서조절 이슈의 5세 여아에 대한 아동중심놀이치료 이론을 근거로 한 아동상담 사례이다. 아동 분노의 빈도 및 강도로 인하여 유치원 적응 및 어머니의 양육에 어려움이 있었다. 아동상담은 Full Battery 심리검사 실시 후, 2021년 3월 29일부터 2022년 6월 15일까지 14개월 동안 주 1회씩 아동상담 40분 부모상담 10분의 총 47사례회가 진행되었다. 아동은 주도적인 놀이를 통해 상담사례회기 동안 공격성, 통제성, 애정 및 힘의 욕구를 나타냈으며, 상담실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아동은 부모에게 자신의 감정과 요구에 대한 언어와 행동적 표현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초등학교 입학 후 원만한 학교적응 양상을 보였다. 어머니는 아동양육이 전보다 편안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 한해 전 14개월 동안 정서조절에 대하여 개입 한 상담사례연구의 결과로, 1학년 학기초 동안 적응적 학교생활양식을 확인한 연구로서도 의의가 있다.

서비스품질과 감성품질이 브랜드팬십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Sensibility Quality on Brand Fanship - For Par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류미현;조동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47-362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ervice quality and sensibility quality have an effect on securing passionate fa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management marketing strategy that can maximize parent satisfaction in order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for infant and toddler educational institutions. Method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apport forma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quality, stimulation and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apport forma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sensiblity and respons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fanship.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sensibility quality, stimulation and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fanship. Fifth, rapport form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fanship.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ervice and sensibility quality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t the present time when research on service quality and sensiblity quality targe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insufficient. In addition, in terms of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a careful and pleasant relationship with the fa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 empirical example of a theoretical research model was shown that strong attachment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ositive participation lead to loyal fans.

대도시 중류가정의 가족관계 - 양친가족과 아들부부가족간의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mily Relations in the Urban Middle-Class Home - A Changing Value System between Parents and Their Son's Family -)

  • 이정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7-121
    • /
    • 1973
  • As Korean society of today is rapidly changing, the value system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accepted in the family ought to undergo inevitable changes.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revalent value system of the family and the degree to which it is changing in the middle-class families in Seoul.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in this pape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rried women and her mother-in-law. The conclusion at which this paper has arrived are as follows : (1) more than the half of both married women and their mothers-in-law of the middle class in Seoul feel satisfaction for the family life ; yet the rest who have responded in terms of "average" seem in fact to feel unsatisfactory in their marriage, even though they do not specifically regard themselves "unhappy" ; (2) generally, married women, including their mothers-in-law, prefer the independent, autonomous household management ; (3) both married women and their mothers-in-law wish to live independently but the former prefer the living-together with their mothers-in-law ; (4) married women plan to support economically the parents-in-law more than the latter want to be supported ;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in-law and the married women is regarded as "good" by 62% of the former while the latter in 41% only see it in "good" terms, which indicates actually their unhappy psychological state ; (6) married women in general dislike their husband's sisters in comparison with their mothers-in-law, which seems to betray the commonly accepted view that married women go worst off with their mothers-in-law ; (7) the absolute majority of women, whether a parent and her son's wife, believe that the maintenance of a good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is essential to the happiness of marriage ; (8) surprisingly, a great majority of married women whichever their side may be think that no interference with their children's home is better ; (9) more than a half of mothers-in-law expect their son's wife to live distance from her own parents ; (10) married women believe that the good cause for a better marriage lies in mutual understanding and help exchangeable between them and their mothers-in-law. This investigation has shown, to be sure, some of the salient problems in family relations which will certainly encourage further attempts to study.

  • PDF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ACOA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ther's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Adult Daughters of Alcoholic Fathers)

  • 김혜련;전선영;김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317-34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성인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즉, 아버지를 알코올 중독자로 둔 여성 ACOA들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463명의 여대생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 160명이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중독자 선별척도, 부모와의 애착 척도, 생활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Beck의 우울 척도, 가족환경 척도 등이 조사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심리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부모와의 애착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과 심리사회적 적응, 구체적으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에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의 애착은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유무는 여성 ACOA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변수로만 여성 ACOA의 적응에서의 어려움을 설명하려는 가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ACOA들에 관한 임상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in family)

  • 남순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2호
    • /
    • pp.1-15
    • /
    • 2004
  • 최근 급변하는 사회현상들로 인한 다양한 가족유형들은 가족에 대한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가족내 세대간 가치차이를 야기하며, 가족갈등이나 사회문제로 파생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화, 다각화로 변모하고 있는 사회현상으로 인한 가족내 변화에 따른 가족내 세대간의 문제를 다루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적인 변화가 가족내 어떤 기능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들을 촉구하고 있었다. 첫째,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이고, 둘째, 가족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애정, 보살핌과 같은 관계적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속성의 요구이며, 셋째, 형식적 관계에서 벗어나 실질적 관계로의 전환, 및 마지막으로, 보다 명료한 의사소통망의 활용이었다. 또한 가족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해본 결과, 첫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유형의 가변성을 수용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야 하며, 둘째, 각 세대가 지니고 있는 상호교환적인 가치를 수용하여 세대간 관계적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셋째, 효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했다. 즉 가족기능의 세대간 전수는 가계와 가문형성의 근원이 될 수 있지만, 세대간의 상호작용없이 불가능하다.

  • PDF

맞벌이 가정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과정 (Examination of Generating Mechanism Concern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 Park, Ji-Sun;Kondo, Rie;Kim, Jung-Suk;Sasai, Tsukasa;Takahashi, Shigesato;Park, Chun-Man;Nakajima, Kazuo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7-70
    • /
    • 2009
  • 목적: 이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과정을 인과관계모델로 구축하여 이 모델에 대한 데이터로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조사대상은 I 현 A,B시, II현 C시의 어린이집 21곳과 유치원 4곳을 이용하는 2,006세대(A시:499세대, B시:1113세대, C시:98세대)의 부친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은 부친의 연령, 학력, 자녀수, 막내자녀나이, 부모역할관, 1일 노동시간, 귀가시간, 육아참가로 구성하였다. 결과: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과정 모델의 데이터로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적합도 지표는 CFI=0.912, RMSEA=0.082였다.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막내자녀나이에서 긍정적 부모역할관으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08, 긍정적 부모역할관에서 육아참가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1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저해요인으로서 상정한 귀가시간과 1일 노동시간은 부친의 긍정적/부정적 부모역할관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육아참가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귀 시간에서 육아참가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43, 노동시간에서 육아참가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13, 귀가시간과 노동시간 간의 상관계수는 0.80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모델의 타당성을 증명하였고,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 매커니즘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군 항공기 소음이 초등학생의 소음 민감도,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craft Noise of the Air Force on Noise Sensitivity, Psychosocial Status and Behaviour of Elementary Students)

  • 오원기;김형수;장성훈;이건세;김근회;최희정;함은미;손주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3권3호
    • /
    • pp.279-291
    • /
    • 2008
  • = ABSTRACT =Objectives :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aircraft noise on the behavior and affect status of the loc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daytime noise levels of the exposed and control areas were compared and the self answered questionnaires from 272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the exposed area and 91 of the control area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re regarding the noise sensitivity and the psychosocial status of the students, noise sensitivity of the parents and the parents' behavioral evaluation for their children. Results : The mean noise level of the exposed area (67.6 dB(A)) showed higher level than the control area (57.1 dB(A), 58.2 dB(A), 60.2 dB(A))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score for noise sensitivity and the mean score for brief mental exam. in the exposed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mean scores in the control group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6 & 0.165). The mean score for behavioral evaluation of students by their parents in the exposed area(15.5)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control group(13.2)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3). The mean score for noise sensitivity in the exposed parent(27.5)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control group(24.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5).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oise sensitivity of the parents affected the behavioral evaluation of the students than noise-exposure itself.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noise and it's effect on children's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