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in family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 남순현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4.05.20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The drastically changing society has brought diverse types of families, and these diversities are changing the concept of the word 'family' itself. Inevitably, these changes cause different viewpoints among family members, developing into conflicts and social issues. In this paper, generational family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changes within the family as a result of the variously, diversely changing society, are observed to suggest a resolution. Looking into the functional variety that today's structural change within a family demands, several positives changes described below have been observed; Firstly, the change in the way of interaction among family members; Secondly, the demand for continuance on relational functions including love, care, etc, as a psychological resource of family; Thirdly, the conversion from form's sake relationship to actual relationship; and Lastly, the usage of a clearer communications network.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amily life cycle, is also re-focused to seek resolutions for intergenerational confli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ngeability of various family types today must be accepted, and the functional aspects of changing families must be emphasized ; Secondly, the mutual-exchanging value of each generation must be accepted, strengthening relational functions between generations; Thirdly, it is necessary to refocus filial piety. In other words, though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family functions may become the basis of lineage and clan formation, it won't be possible without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

최근 급변하는 사회현상들로 인한 다양한 가족유형들은 가족에 대한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가족내 세대간 가치차이를 야기하며, 가족갈등이나 사회문제로 파생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화, 다각화로 변모하고 있는 사회현상으로 인한 가족내 변화에 따른 가족내 세대간의 문제를 다루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적인 변화가 가족내 어떤 기능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들을 촉구하고 있었다. 첫째,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이고, 둘째, 가족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애정, 보살핌과 같은 관계적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속성의 요구이며, 셋째, 형식적 관계에서 벗어나 실질적 관계로의 전환, 및 마지막으로, 보다 명료한 의사소통망의 활용이었다. 또한 가족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해본 결과, 첫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유형의 가변성을 수용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야 하며, 둘째, 각 세대가 지니고 있는 상호교환적인 가치를 수용하여 세대간 관계적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셋째, 효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했다. 즉 가족기능의 세대간 전수는 가계와 가문형성의 근원이 될 수 있지만, 세대간의 상호작용없이 불가능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