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성연, 강지흔 (2005).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
2 |
박성연 (2006). 아동발달. 서울: 교문사.
|
3 |
Wood, J. (2006). Effect of anxiety reduction on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social 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2(2), 345-349.
DOI
|
4 |
한유진 (2005).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및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6(4), 85-100.
|
5 |
박윤아, 박지연 (2008).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공격성 및 정서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1), 23-42.
|
6 |
윤진영 (2018). 분노조절 문제를 동반한 ADHD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발달지원연구, 7(2), 39-56.
DOI
|
7 |
이정숙, 이유경, 문보경 (2006). 아동의 문제유형과 놀이치료 시기에 따른 놀이특성 변화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 77-104.
|
8 |
최윤정, 김지신 (2020). 정서조절이 미숙하고,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의 놀이치료와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상담 사례연구. 발달지원연구, 9(2), 25-48.
DOI
|
9 |
허미혜, 이정자(2010).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까다로운 기질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14(2), 61-77.
|
10 |
Greenberg, L., S. (2001). Emotional-focused 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
11 |
Landreth, G. L. (2012).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3rd ed). New York: Routledge.
|
12 |
Schaefer, C. (Ed.).(1993). The therapeutic power of play. Northvale, NJ: Jason Aronson.
|
13 |
Ginott, H. (1994). Group psychotherapy with childr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lay therapy. Northvale, NJ: Jason Aronson
|
14 |
박연주 (2008). 충동성과 공격성으로 인해 또래관계가 어려움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상담학연구, 9(3), 1245-1266.
DOI
|
15 |
이아영, 김유미 (2015).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4(4), 519-536.
|
16 |
조은정, 이기학(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5(3), 583-595.
|
17 |
Lieberman, A. F., Ippen, C. G., & Van Horn, P. (2006). Child-parent psychotherapy: 6-month follow-up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5(8), 913-918.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