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productivity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4초

정보기술 인프라가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A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to Business Proc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이우형;이명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3-122
    • /
    • 2003
  • This research shows that as the use of IT spreads, the Investments of IT must be accompanied by the innovation of the business process of an organization to increase productivity. It examines closely to the relations between these by presenting a theoretical formula, with related-theories at the basis,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T Infrastructure and heightens the results of organization. In previous researches, various results co-exist in presenting the direct relativeness between IT Infrastructure and results of organization. But in this research, a parameter called business process has been included making it possible to analyze even the indirect effects to the results of organization. Also, the difference and relativity between the IT Infrastructure and business process groups according to the company environment factor has been proved.

정부 및 지방행정혁신의 지속적 성과향상 방법 -조직개발과 업무혁신 변화관리 실행 매뉴얼 - (Research on Continuous Improvement in Productivity fo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 김진규;신동주;김형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3권2호
    • /
    • pp.39-57
    • /
    • 2005
  • This research is about continuous improvement in productivity fo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It is a comprehensive execution manual that summarizes from preparation to completion of this task. If you follow the process described in this research, you will achieve the following. l. You will motivate the innovators. 2. You will spare yourself of many trial and errors and risks thus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3. You will eliminate the obstacles to innovation. 4. You will continue to innovate and will be able to assess the results through visible index.

  • PDF

Revised IPA 기법을 활용한 국내 중소제조업의 산업혁신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규명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of SME's Using Revised IPA Technique)

  • 구일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19
  •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based on win-win cooperation with SMEs, is a structure that enables suppliers who have struggled with corporate growth through productivity innovation due to poor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lack of innovation. To this end, consultants and technical experts will support production innovation activities to improve production methods and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process and management consul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riving factors of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to improve the corporate ecosystem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SMEs using modified IP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the CEO-related elements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should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The motivation, education support, innovation organizational culture, the establishment of an innovation promotion system requires centralization of efforts for improvement.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the consultant's ability to analyze problems and suggest alternatives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Third, in terms of the Central Promotion Headquarters,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would be successful if the public information, industrial inspection for benchmarking, and provision of various information to support innovation activities were urgently improved.

메타버스 텔레워크 도입과 효과의 향상에 관한 연구: 인지된 업무생산성, 직무성과,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Effectiveness of Metaverse Telework: Focusing on Perceived Work Productivit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 유해초;이상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47
    • /
    • 2024
  • With the spread of COVID-19, non-face-to-face social exchanges around the world have increased, leading to a rise in the demand for telework. The recent advancement in technology has facilitated the emergence of metaverse platforms, with telework utilizing the metaverse gaining significant popularity. Such metaverse telework is signaling innovativ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yet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work productivit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metaverse telework user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individual factors (self-management tactics, sense of belonging, social presence, IT complexity) and situational factors (perceived workload, organizational support, metaverse telework environmen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Out of the total responses, 358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any insincere responses. The SPSS 27.0 software was employ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proposed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lework within the metaverse.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의 투입요소 선정모형 (A selection model of evaluation target input of software quality)

  • 이종무;정호원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166-169
    • /
    • 1996
  • Well-evaluated quality of software can provide business proper decisions, increase productivity, and prevent financial loss or unnecessary burden of rework. Evaluation is important to ensure the chosen software conforming to organizational requirements, customer demands, and product integrity level. In this paper, we present a theoretical model with the structure of evaluation requirements to select the prioritized evaluation target input of software quality. Within limited time and budget, the prioritized target inputs of evalu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valuating step for each different category of requirements.

  • PDF

중소기업의 조직문화가 경쟁우위 향상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MEs on Improving Competitive Advantage)

  • 이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183-192
    • /
    • 2021
  • 시대의 변화와 함께 조직문화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문화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차별적 경쟁우위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조직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문화를 개발문화, 합리문화, 합의문화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들 문화가 기업의 경쟁우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표본 전체적으로 과업 중심적이고 경쟁을 동기요인으로 두고 있는 합리문화가 다른 조직문화보다 더 강하게 편재해 있었으며 개발문화, 합리문화, 합의문화 순으로 경쟁우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첨단성과 생산성을 강조하고 있는 개발문화와 합리문화가 중소기업의 경쟁우위 향상에 더욱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종업원 규모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종업원 규모가 작을 경우에는 합리문화가 중요했지만, 종업원 규모가 커질수록 개발문화가 기업의 경쟁우위 향상에 중요한 문화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규모에 따라 어떠한 조직문화를 강조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조직학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활동을 매개로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on Activities)

  • 강희경;추교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237-256
    • /
    • 2018
  • 본 연구는 혁신활동의 선행변수로서의 조직학습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학습과 혁신활동,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지식을 획득하고 공유하는 활동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역량은 조직학습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조직학습이 혁신의 선행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학습이 제품 및 혁신활동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직학습은 학자마다 다양한 정의와 구성요소를 제시하나 본 연구는 Levitt와 March(1988), Huber(1991)의 학습능력 구조 분석의 틀을 사용하여 지식의 획득과 정보분배, 정보해석과 조직기억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혁신은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분하였고 신제품 제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활동 등의 하위변수로 측정하였다. 경영성과는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로 측정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 및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조직학습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변수 중 학습활동의 초기단계인 지식획득과 정보분배가 제품혁신을 매개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병원근무자의 직무만족 요인 분석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 장미경;최윤경;황지인;김은경;박노현;이지영;황정해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81
    • /
    • 2004
  • Purpose: To identify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and the relating factors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a total of 1,031 healthcare workers(doctors, nurses, pharmacists, medical engineers, office workers, etc)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 expert group.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1 items including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five Likert scale.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on job characteristics was 3.24 on the five Likert scale. The satisfaction of each item was 4.14 in role clarity, 3.26 in communication participating rate, 3.10 in work variety, 3.06 in autonomy, and 2.64 in workloa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3.00. Particularly, the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was 3.83, co-worker's support. 3.73, identity, 3.62, education/training opportunity, 3.12, pay, 2.62, welfare, 2.35, promotion, 2.34, and organizational conflict, 2.00.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3.00. In the satisfaction of each item, the score of disposition was 3.83, contribution to the hospital, 3.75, pride as a member of hospital, 3.70, and attitude on job performance, 3.68.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work variety. The satisfaction related significantly to loyalty index(r=.486, p=.000), autonomy(r=.415, p=.000), pride as a member of hospital(r=.411, p=.000), supervisor support(r=.364, p=.000).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developing organizational strategy to promote job satisfaction can decrease the turnover rate and increase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t will contribute to enhance productivity in hospital.

  • PDF

태도유사성과 집단소속에 따른 대인매력 (Effects of Attitude Similarity and Group Membership on Interpersonal Attraction)

  • 석동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57-266
    • /
    • 2020
  • 본 연구는 대인간의 태도유사성과 비유사성이 대인매력에 미치는 효과가 서로간의 집단소속(내집단/외집단)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태도유사성: 유사/비유사) × 2(집단소속: 내집단/외집단) 피험자간 실험설계를 통해 대인매력에 대한 영향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태도유사성의 주효과가 유의하여 태도가 비유사한 사람보다 태도가 유사한 사람에 대한 대인매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두 독립변인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는데, 참가자들은 상대방의 태도가 나와 유사할 때 그 사람이 외집단 구성원일 때보다 내집단 구성원일 때 더 큰 매력을 느꼈고, 상대방의 태도가 나와 비유사할 때는 그 사람이 외집단 구성원일 때보다 내집단 구성원일 때 더 큰 반감을 느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에서 팀을 구성할 때 구성원들 간의 태도유사성을 고려하는 것이 조직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함으로써 조직과 실무 현장에 기여할 수 있다. 향후에 본 연구를 팀 수행과 조직 생산성 향상 연구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간 조직문화차이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Commercial Enterprises, and Impact Relations on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 김미화;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67-67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경제의 핵심조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의 차이를 확인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종사자의 특성차이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이 여성비율이 많고, 연령이 높았으며 연봉은 영리기업이 많았다. 사회적기업이 저임금의 여성 노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문화차이 분석결과 합리문화는 영리기업이 높고, 집단문화는 사회적기업이 높았다. 영리기업이 생산성과 효율성, 계획수립과 목표설정, 목표달성 위주의 평가, 실적위주의 평가를 중요시하는 반면 사회적기업이 친화와 참여, 종업원 개개인의 개발, 집단사기와 응집력, 상호협조 및 신뢰감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성과와 경제적성과 모두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에 비하여 높았다. 사회적기업이 종사자 참여와 이해에 기반하여 투명하게 조직을 운영하고 있어서 경제적성과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사회적성과는 영리기업은 개발문화 집단문화, 사회적기업은 개발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경제적성과는 영리기업은 합리문화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사회적기업은 집단문화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아울러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영리기업종사자들에 비하여 사회적성과와 경제적 성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요컨대, 한국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과 차별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해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문화가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