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mushroom bed lo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버섯폐골목의 흡음성능과 구조적 특징 (Sound Absorption Capability and Anatomical Features of Oak Mushroom Bed Log)

  • 강춘원;강욱;정인수;박희준;전순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54-60
    • /
    • 2008
  • 버섯종균에 의해 열화된 신갈나무 버섯폐골목의 흡음성능과 구조적 특징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버섯폐골목을 원반형으로 채취하여 무처리 목재와 구조적 특징의 변화를 비교하고, 전달함수법을 이용하여 흡음률을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주파수범위에서 버섯폐골목의 시험편이 보통의 시험편보다 높은 흡음률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6 KHz의 주파수영역에서는 보통 목재보다 2~3배 정도 높은 흡음률을 나타내었다. 버섯폐골목은 무 처리 목재보다 중량이 70% 정도 감소하였으며, 3단면에서 다수의 공극이 관찰되어 이들이 흡음공극으로 작용하여 측정주파수영역에서 흡음률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미기록 Hypoxylon sp., 회색버짐버섯(가칭)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 Unrecorded Hypoxylon sp. Occurred on the Bed-log of Oak-mushroom in Korea)

  • 박원철;이봉훈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0-172
    • /
    • 2002
  • An unrecorded Hypoxylon sp. was observed on the bed-log of oak-mushroom (Lentinula edodes) in Korea. The stroma of the fungus was formed on the bed-log (Quercus spp.) damaged by Korean squirrel (Sciurus vulgaris coreae). Perithecia were $200{\sim}400{\mu}m$, and asci containing 8 ascospores were $7{\sim}8{\times}150{\sim}230{\mu}m$ in size. Paraphysis was cylindrical shape, Ascospores were $5{\sim}9{\times}12{\sim}17.5{\mu}m$ in size, pale brown to dark brown, elliptical, and smooth. They have germination cleft and $1{\sim}2$ oil droplets.

우리나라의 표고골목을 가해하는 주홍꼬리버섯의 불완전세대와 완전세대 관찰 (Observation of Anamorph (Libertella sp.) and Teleomorph (Diatrype stigma) of D. stigma Affecting Bed-log of Oak-mushroom in Korea)

  • 박원철;이봉훈;윤갑희;가강현;최중식;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8-40
    • /
    • 2000
  • Anamorph and teleomorph of Diatrype stigma on the bed-log inoculated with oak-mushroom (Lentinula edodes) in Korea were observed and identified. As the characters of anamorph of Diatrype stigma, conidia were hyaline, falcate or slightly curve, and $1{\sim}1.5{\times}12.5{\sim}17.5\;{\mu}m$, and conidia layer was confirmed under the bark. About teleomorph, perithecia $150{\sim}200{\times}450{\sim}500\;{\mu}m$, with ostiole ($30{\sim}40\;{\mu}m$, three- to four-sulcate). Size of ascus containing 8 ascospores was $5{\sim}6{\times}30{\sim}40\;{\mu}m$. Ascospores were hyaline to pale brown, $1.5{\sim}2{\times}5{\sim}7.5\;{\mu}m$ and mostly biguttulate.

  • PDF

최근 국내 표고 재배사의 온도, 습도 변화 성향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hift trend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s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 김지은;김준영;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46
    • /
    • 2018
  • 기후 변화에 따른 표고 재배사내 온도와 습도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5년 동안 봄, 여름, 가을 기간에 걸쳐 국내 49곳의 표고버섯 재배사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톱밥배지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와 습도는 $24.7^{\circ}C$와 60.5%이었다. 원목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는 $24.4^{\circ}C$, 평균 습도는 60.0%로 나타났다. 여름철 기간 중 온도 평균은 원목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9.8^{\circ}C$, 2017년 $29.1^{\circ}C$, 2018년 $33.3^{\circ}C$이었으며 톱밥배지 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6.8^{\circ}C$, 2017년 $20.4^{\circ}C$, 2018년 $24.2^{\circ}C$이었다. 조사 기간 중 $30^{\circ}C$가 넘는 고온으로 측정된 재배사는 봄철에 1곳, 여름철에 5곳이었으며 원목 재배사가 5곳을 차지하였다. 원목재배에서 온도가 $20^{\circ}C$를 넘지 않는 재배사는 4곳으로 모두 가을에 조사된 온도였다. 본 연구 조사는 기후변화에 대비해 표고 재배사의 경우 원목 재배사 관리에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표고 원목재배사 모델개발 (Development of Cultivation Facility Models to Reduc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Using Bed-logs)

  • 김원수;김선철;이병석;권혁우;고한규;박흥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9-126
    • /
    • 2016
  • 표고버섯 원목재배시 고온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임가실증지 5개소를 선정하였고, 기존 1중(비닐+차광)재배사의 내부 지붕에 2중으로 차광망을 추가 설치(개선형)하였다. 기존 재배사와 개선형 재배사 형태에 따른 내부 온습도, 균사 만연도 및 버섯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시설 내부 최고온도는 개선형 재배사가 기존 1중 재배사 보다 평균 약 $3{\sim}5^{\circ}C$정도 낮았으나, 평균습도는 그와 달리 기존 1중 재배사와 개선형 재배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특히 기존형과 개선형 재배사 모두 임내 재배장보다 평균습도가 10% 정도 낮아 건조한 불량환경이 유지되어 버섯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분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버섯목 표면, 내부의 균사 만연도를 비교한 결과 개선형 재배사가 가장 우수하였고, 임내재배사, 기존 1중 재배사가 순으로 저조하였다. 버섯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기존 1중 재배사에 비하여 117~204% 증수 효과가 있었으며, 재배사 동고 높이가 낮을수록 개선효과는 극대화 되었다. 따라서 시험결과를 토대로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원목재배사 모델 5종을 제시하였다.

Analysis of management status of oak mushroom management in Chungcheongnam-do

  • Oh, Do Kyo;Ji, Dong Hyun;Kim, Se B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483-492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degree of management of oak mushroom farms in Chungcheongnam-do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establish oak mushroom cultivation-related policies. The oak mushroom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consists of three major categories, growing condition, inoculation management, cultivation management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along with 20 subcategories. Thus, 209 households of oak mushroom farms were surveyed from 2015 to 2018 in Gongju, Cheongyang, Buyeo and Seochun in Chungcheongnam-do. The average score for the 20 subcategories was 71.5 points (representing a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that these areas have excellent management conditions.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revealed a high number of indicators with scores of five or above. The total score was higher, and the amount per bed log and the rate of top-grade products in the total output were also higher, indicat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se findings will provide consulting services to oak mushroom growers as they highligh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er scores of indicators in the oak mushroom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farmers. We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indicators for management administration, such as management record and analysis and fund plan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indicators. It is assumed that the owners aging has led to negligence in recording the details on incomes, expenditures, and work and lowered the willingness to make substantial profi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overcome these problems for profitable oak mushroom farming.

표고 폐골목으로 제조한 목질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Wood-Based Board Prepared with Bed-Logs Decayed by Oak Mushroom(Lentinus edodes))

  • 최용순;황원중;한태형;김남훈;권진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38-144
    • /
    • 1998
  • 표고폐골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폐골목과 정상재의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목질보드의 성질을 조사,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폐골목의 목섬유는 정상재보다 다소 짧고 표면이 거철었으며 폐골목 변재부의 밀도는 정상재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파티클보드의 두께 팽윤율 및 파괴계수의 시험결과 폐골목을 25-50% 정도 혼합한 경우는 정상재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폐골목은 파티클보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상재와의 혼합비율은 25~50% 범위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장마철 표고(Lentinula edodes) 재배사내 발생 유해 진균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rainy season)

  • 정상욱;장은경;최선규;이원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21
  •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원목 및 톱밥배지 버섯 재배사 내 실내 공기서 분리한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Indoor Air in the Log Bed- and Sawdust Media-based Mushroom Cultivation Houses)

  • 안금란;김지은;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5-503
    • /
    • 2018
  •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표고 원목재배 임가 4곳과 표고 톱밥재배 임가 1곳의 재배사 내 실내 공기에서 진균을 포집 및 분리 동정하였다. 총 6개의 국내 미기록 진균(Cenangium acuum, Periconia macrospinosa, Neopestalotiopsissurinamensis, Metarhiziummarquandii, Trichoderma petersenii, Trichoderma paratroviride)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류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 large subunitregion, ${\beta}-tubulin$ 또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유전자 염기서열에 기반하여 계통학적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국내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에 대한 버섯 균주의 길항 특성 (Antagonistic Properties of Mushroom Strains to Korean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전성민;가강현;김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8
    • /
    • 2010
  • 국내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인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버섯 균주들의 길항 특성을 대치배양을 통해 조사하였다. 총 158개의 시험 균주 중 33개의 균주는 병원균에 대해 단기간 (6~7일) 및 장기간(27~31일) 길항력이 전혀 없었으며, 96개의 균주는 길항력이 미약하거나 길항력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했다. 이와 달리 29개의 균주는 단기간 및 장기간 길항력이 각각 $\geq$ R+와 $\geq$ R로 타 시험 균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과 같이 R. quercus-mongolicae에 대해 길항력을 갖는 균주들은 활엽수(참나무류 포함)나 침엽수 등 발생 기주가 서로 다른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가는 버섯 균종들의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버섯 재배용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7개의 길항 균주를 다음과 같이 선발하였다; 붉은덕다리버섯(KFRI 914), 치마버섯(KFRI 832), 구름버섯(KFRI 100), 덕다리버섯(KFRI 654), 간버섯(KFRI 588), 표고(KFRI 269, 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