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에 대한 버섯 균주의 길항 특성

Antagonistic Properties of Mushroom Strains to Korean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전성민 (국립산림과학원 바이오에너지연구과) ;
  • 가강현 (국립산림과학원 바이오에너지연구과) ;
  • 김경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Jeon, Sung-Min (Division of Bioenergy Research,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a, Kang-Hyeon (Division of Bioenergy Research,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ung-Hee (Division of Forest Insect Pests & Diseas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10.06.20
  • 심사 : 2010.06.23
  • 발행 : 2010.06.30

초록

국내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인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버섯 균주들의 길항 특성을 대치배양을 통해 조사하였다. 총 158개의 시험 균주 중 33개의 균주는 병원균에 대해 단기간 (6~7일) 및 장기간(27~31일) 길항력이 전혀 없었으며, 96개의 균주는 길항력이 미약하거나 길항력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했다. 이와 달리 29개의 균주는 단기간 및 장기간 길항력이 각각 $\geq$ R+와 $\geq$ R로 타 시험 균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과 같이 R. quercus-mongolicae에 대해 길항력을 갖는 균주들은 활엽수(참나무류 포함)나 침엽수 등 발생 기주가 서로 다른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가는 버섯 균종들의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버섯 재배용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7개의 길항 균주를 다음과 같이 선발하였다; 붉은덕다리버섯(KFRI 914), 치마버섯(KFRI 832), 구름버섯(KFRI 100), 덕다리버섯(KFRI 654), 간버섯(KFRI 588), 표고(KFRI 269, 76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agonistic properties of mushroom strains against Korean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by assessing their predominance on potato dextrose agar plates after pairing culture. Among the total of 158 strains of mushroom tested, thirty-three strains showed no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the pathogen in both the short term (6~7 days) and long term (27~31 days). Ninety-six strains of tested mushrooms had a weak or no long term antagonistic activity. The antagonistic activities of 29 strain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ains with the levels of $\geq$ R+ and $\geq$ R for short and long term,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se strains with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R. quercus-mongolicae belong to the species of mushrooms living on different host plants such as conifers, oaks and other broad-leaved trees. In order to use the trees damaged by Korean oak wilt as a resource(bed-log) for cultivating mushrooms, seven strains of antagonist 29 strains were selected as follows; Laetiporus sulphureus KFRI 654, Laetiporus miniatus KFRI 914, Lentinula edodes KFRI 269 and 764, Pycnoporus coccineus KFRI 588, Schizophyllum commune KFRI 832 and Trametes versicolor KFRI 100.

키워드

참고문헌

  1. 가강현, 구창덕. 2009a. 화경버섯. 월간산림 4월호. pp.102-103.
  2. 가강현, 구창덕. 2009b. 복령. 월간산림 5월호. p.90.
  3. 가강현, 유성열, 이봉훈, 윤갑희, 박원철. 2008. 물박달나무를 이용한 자작나무버섯의 원목재배. 한국균학회지 36(1):98-100. https://doi.org/10.4489/KJM.2008.36.1.098
  4. 가강현, 이정희, 허태철, 윤갑희, 박원철. 2003.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 한국균학회지 31(2):84-88. https://doi.org/10.4489/KJM.2003.31.2.084
  5. 고평열, 김찬수, 신용만, 서순자, 변광옥. 2009. 제주지역의 야생버섯. 연구자료 제366호. 국립산림과학원.
  6. 김경희, 이승규, 박일권, 이상현, 신상철. 2006. 참나무시들음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속보 06-08. p.7.
  7. 김경희, 서상태, 이상길, 오은성, 이상현, 최원일, 최광식, 박일권, 신상철, 신준환. 2008. 참나무시들음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속보 08-18. pp.13-22.
  8. 김양섭, 석순자, 원향연, 이강효, 김완규, 박정식. 2004. 한국의 버섯-식용버섯과 독버섯.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9. 김종찬. 2006.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총괄). 산림과학정보 209:16-17.
  10. 김현중, 한상국. 2009. 우리 산에서 만나는 버섯 200가지. 국립수목원.
  11. 문일성. 2009. 국내외 산림과학동향-일본의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및 방제연구 현황.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정보. 224:14-15.
  12. 박현, 가강현, 박원철. 2009. 홍릉수목원의 보물찾기 버섯 99선.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제350호. 국립산림과학원.
  13. 이수연, 박인숙, 정은정, 서민정, 김지은, 김영희, 정경태, 주우홍, 정영기. 2003. 붉은덕다리버섯(Laetiporus sulphareus) 유래 혈행 개선제의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2003년도 제39회 학술심포지움 학술대회논문집 p.84.
  14. 정길록, 신현재, 차월석. 2006. 소나무 잔나비버섯의 아미노산, 비타민 및 무기물 분석. 생명과학회지 16(7):1123-1126. https://doi.org/10.5352/JLS.2006.16.7.1123
  15. 한기원, 이수원, 한광수, 이대진, 이병의, 장원철. 2003. 목질진흙버섯 에탄을 추출물의 세포독성에 따른 항암활성. Toxicol Res. 19(2):147-152.
  16. 홍기정, 권영대, 박상욱, 류동표. 2006.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에 대하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5(2):113-117.
  17. 小林正秀, 野崎愛. 2001. カシノナガキクイムシ被害木によるきの こ栽培試驗. 菌蕈10:16-22.
  18. 田慶子, 衣浦晴生, 高畑義啓, 大住克博. 2007. ナラ枯れの被害を どう減らすか:里山林を守るために. pp.1-3. 森林綜合硏究所西支所.
  19. Kim, K. H., Choi, Y. J., Seo, S. T. and Shin, H. D. 2009. Raffaelea quercus-mongolicae sp. nov. associated with Platypus koryoensis on oak in Korea. Mycotaxon 110:189-197. https://doi.org/10.5248/110.189
  20. Kubo, T., Terabayashi, S., Takeda, S., Sasaki, H., Aburada, M. and Miyamoto, K. 2006. Indoor cultiv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Wolfiporia cocos sclerotia using mushroom culture bottles. Biol. Pharm. Bull. 29(6):1191-1196. https://doi.org/10.1248/bpb.29.1191
  21. Kubono, T. and Ito, S. 2002. Raffaelea quercivora sp. nov. associated with mass mortality of Japanese oak, and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quercivorus). Mycoscience 43:255-260. https://doi.org/10.1007/s102670200037
  22. Stamets, P. 2005. Mycelium Running: How mushrooms can help save the world. p.39-41. Ten Speed Press.
  23. Valaskova V. and Baldrian, P. 2006. Degradation of cellulose and hemicelluloses by the brown rot fungus Piptoporus betulinusproduction of extracellular enzyme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ajor cellulases Microbiology 152:3613-3622. https://doi.org/10.1099/mic.0.29149-0

피인용 문헌

  1. Study on Sawdust Bag Cultivation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using Oak Wilt-Diseased Logs 2016, https://doi.org/10.4489/KJM.2016.44.4.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