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socomial infection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Microscopic Detec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Nepalese Patients

  • Dhakal, Bijaya-Kumar;Pokhrel, Bharat-Mani;Joohong Ahn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0권4호
    • /
    • pp.267-273
    • /
    • 2002
  •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one of the most common domiciliary and nosocomial bacterial infections prevalent in both males and females. UTI is diagnosed on the basis of clinical symptoms, microscopy and culture of urin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microscopic detection for presumptive diagnosis of UTI we analyzed urine samples of Nepalese patients. We have conducted Gram staining and counting of pus cells, red blood cells (RBC) and epithelial cells. We observed that RBC and epithelial cell counts were not sensitive enough to be used for presumptive diagnosis of UTI. However, pus cell counts as well as Gram stain are sensitive and significant enough to presume UTI. When the Gram stain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culture resul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is, we suggest that Gram stain of centrifuged urine is a very sensitive screening method to detect bacteriuria. In addition, we found that E. coli was the most predominant microorganism causing UTI and nitrofurantoin was the most effective antibiotic against the isolated urinary pathogens.

스케일링 시 에어로졸에 의한 술자의 의복 오염도 (Contamination of operator's clothing by aerosols during scaling)

  • 강경희;김예진;민지연;박슬기;우주희;궁화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37
    • /
    • 2017
  • 감염관리는 전반적인 의료행위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치과 또한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감염의 매개체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중 의료진 의복으로 인한 감염이 있다. 병원 직원의 오염된 의복은 원내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에 스케일링 시 에어로졸에 의한 의복오염도를 실험하였다. 가슴, 배, 허벅지, 소매 끝, 바지 끝 부위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한 자료는 IBM SPSS (ver20.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스케일링 전(대조군)과 스케일링 후(실험군) colony수의 평균값은 ANOVA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사후 분석은 Scheffe를 시행하였다. 스케일링 전-후 colony수의 평균값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Paired t-test 비모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1. 의복의 가슴 부위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2.13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 수의 평균은 50.00 CFU로 약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2). 2. 의복의 배 부위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4.00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16.63 CFU로 약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8). 3. 의복의 허벅지 부위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3.63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22.88 CFU로 약 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7). 4. 의복 소매 끝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3.63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17.38 CFU로 약 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28). 5. 의복 바지 끝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2.38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33.63 CFU로 약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2). 6. 스케일링 후 의복 부위에서 colony수의 평균은 가슴, 바지 끝, 허벅지, 배, 소매 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7. 스케일링 전-후 colony수의 증가율은 가슴, 바지 끝, 허벅지, 소매 끝, 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케일링 시 에어졸로에 의해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스케일링에 의한 에어로졸로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인지하고 스케일링 후에는 의복을 깨끗이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치과기구관리와 함께 의복도 감염방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치과 의료인들에게 자세한 감염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실험 결과로 의복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의복에 대한 감염의식을 높여야 된다.

임상실습 중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clinical training)

  • 박영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07-315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지에서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조사하여 병원내 감염을 최소화 시키고 교육과정개발과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때 감염관리 지침과 행동지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경북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서 임상실습을 실제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치과의원, 치과병원,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 실습한 학생을 구분하여 각 실습지에 따른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감염방지에 대한 교육 경험자가 많았으나 실습지에 따라 감염방지관리의 수행정도는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높았으며 실습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임상실습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지침서를 제작하여 임상실습기관에 배부하고 담당자를 통해 관리하며 학교 측에서는 임상실습과 연계성 있는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체계적인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함흉탕(小陷胸湯)의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연구 (Antibacterial Effect of Sohamhyung-tang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염대열;백동기;송용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86-893
    • /
    • 2012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cephalosporin and beta-lactam antibiotic-resistant strain. In most cases, MRSA is spread from infected patients and infection rates are growing increasingly. Furthermore, increased resistance to antibiotics is causing serious problems in the world. Staphylococcus aureus is responsible for both nosocomial and community-based infections that range from relatively minor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to life-threatening systemic infec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lternative antimicrobial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gainst MRS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against S. aureus strains ranged from 500 to 2,000 ${\mu}g/mL$, so we have it confirmed that a strong antibacterial effect. Also, the combinations of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and conventional antibiotics exhibited improved inhibition of MRSA with synergy effect. We suggest that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against MRSA have antibacterial activity, it has potential as alternatives to antibiotic agent. We suggest that the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lead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 to solve the resistance and remaining side-effect problems that are the major weak points of traditional antibiotics.

유치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요감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ley Catheter Associated Bacteriuria)

  • 소희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9-88
    • /
    • 1978
  • Utilizing Foley catheter in therapy of inpatient cause bacteriuria and urinary tract infection that leads to first ranked factor's in hospital infection (nosocomial infection). To protect the patient from such infections,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catheterization technique and management of the closed drainage system, this reducing the chances of introducing organisms. This study has been done at Intensive Care Unit of A and B hospitals from May-Oct. 1978 on 20 male and 18 female adult patients. Each patient was screened and found to have nonbacteriuria in clean catch specimen before catheterization. Clean catch specimen via foley catheter were obtained after 48 hours and 96 hours from catheteriz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The occurrence of bacteriuria in patients according to duration of indwelling catheter. 1 213.9% of the patient showed evidence of bacteriuria 48h post catheterization specimen, while 57.9% of the patient showed evidence of bacteriuria 96h post catheterization specimen. 2 25% of male patients had infection 48h post catheterization and 45% displayed bacteriuria post catheterization. 33% of female patients displayed infection 48h post catheterization and 72.2% having infection 96h post catheterization. Statist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patients and the duration of insertion. (P < 0.025) B. The occurrence of bacteriuria with the administration of bacteriuria with the ad-ministration of antibiotic in 24 patients was in 41,7%. The occurrence of bacteriuria without the administration of antibiotic in 14 patients was in 92.3%. Statistically there were ver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ministration of the antibiotis and bacteriuria. (P < 0.005) C. Studies were don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level of the patients, 71.4% of those patient who displayed mental disorder developed bacteriuria, while 30.0% of those patient who displayed non mental disorder developed bacteriuria.

  • PDF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 병원체에 대한 조사 (Causative Organisms of Neonatal Sepsis)

  • 김경아;신손문;문한구;박용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0-68
    • /
    • 1999
  • 전국의 신생아 수련 병원에 설문지를 보내어 각 병원의 1997년 1월부터 12월까지 출생한 신생아 중 패혈증으로 진단되고 혈액 배양 검사에서 균이 검출된 경우, 병록지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고, 37개 병원에서 참여해 34.9%의 응답율을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생아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평균 0.73%(0~2.95%)였고, 남녀 비는 1.15:1이었다. 2)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은 candida류를 포함하여 64종의 균이 검출되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였고, S. epidermidis, CONS의 순으로 많았다. 3) 조기 신생아 패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였으며 CONS와 S. epidermidis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후기 신생아 패혈증도 S. aureus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S. epidermidis, CONS의 순으로 많았다. 4) 신생아 패혈증에 관련된 산모의 위험인자는 조기 파수가 104명(21.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난산, 태아의 빈맥, 융모양막염, 산모감염의 순이었다. 5) 신생아 패혈증과 연관된 국소 감염의 분포는 73명(26.1%)의 환아에서 폐렴이 동반되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요로 감염, 뇌막염, 관절염의 순으로 많았다. 6) 신생아의 병원내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는 S. spidermidis가 가장 많았고, S. aureus, Entero-bacter의 순이었다. 7) 도관과 관련된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은, S. aureus가 가장 많았고, S. epidermidis, Enterobacter의 순으로 많았다. Candida는 8례에서 발견되었다. 8) 그람 양생균의 항생제에 대한 반응검사에서 Penicillin이나 oxacillin에 대해 S. aureus, S. epidermidis, CONS 모두 30% 이하의 감수성을 보였다. Vacomycin에 대해서는 S. aureus, CONS, Enterococcus 각각 1례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9) 그람 음성균의 항생제에 대한 반응검사에서 Gentamicin에 대해서 60%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ikacin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다. Piperacillin과 aztreonam에 대해서, Pseudomonas가 100%의 감수성, ticarcillin에 대해서는 Klebsiella가 100%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서울지역 대학병원의 방사선과 카세트 소독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the Radiographic Cassettes Disinfection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 권대철;김문선;김동성;박범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2호
    • /
    • pp.65-7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nosocomial infection in patients through contact of radiographic cassettes. Data were collected from radiographers working in 29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in February and March 2001. Radiographic cassettes were disinfected daily in 5 hospitals, weekly in 4 hospitals, monthly in 5 hospitals, bimonthly in 1 hospital and once every three months in another hospital. 12 other hospitals do not practice regular disinfections of radiographic cassettes. Gauze soaked in disinfectant solution is used in 7 hospitals while 11 hospitals used cotton and cloth soaked in disinfectant solution to clean the radiographic cassettes. 26 hospitals used 99% alcohol based disinfectant solutions while 3 hospitals used 75% alcohol based disinfectant. 26 hospitals use of intercourse cassettes outpatients and in patients. In 26 hospitals, all patients shared the same set of radiographic cassettes used in the hospitals, or in 26 hospitals, separate sets of radiographic cassettes are used for outpatients and inpatients. Separate sets of cassettes are used for ICU and inpatients in 6 others hospitals. 23 hospitals used the same sets of radiographic cassettes for all their patients. radiographic cassettes are cleaned in wash area in the study room of the radiographic department in 17 hospitals. 12 other hospitals do not have designated cleaning areas for the cassettes. All radiographers practiced hands washing with soap. All 29 hospitals surveyed have infection control committee. However, only 9 out of the 29 hospitals surveyed provided Infection disinfections control education to radiographers. Only 3 hospitals have radiographers sitting in the infection control committee.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is conducted in 63 hospitals annually, twice a year in 1 hospital and once every 3 months in 2 hospitals.

  • PDF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집단 발생한 Acinetobacter septicemia (Outbreak of Acinetobacter septicemia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묘징;이혜진;손상희;허재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494-499
    • /
    • 2006
  • 목 적: Acinetobacter baumannii는 숙주 저항력이 저하된 고위험군에서 주요 원내 감염균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A. baumannii 이외의 Acinetobacter species의 경우 드물게 감염과 연관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등 임상적 중요성과 원내 감염원으로써의 역학에 대해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A. baumannii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Acinetobacter species에 의해 집단 발생한 패혈증 1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임상적, 역학적 특징을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2004년 2월 4일부터 24일까지 일신기독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감염되었던 환아의 혈액에서 Acinetobacter species가 배양된 11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집단 발생의 역학을 조사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의료진 및 환경 검체에 대한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환아에서 배양된 균주가 동일 균주인지를 알고자 하였다. 결 과: 임상 양상은 발열, 수유 부진, 복부 팽만, 설사, 혈변, 구토, 빈호흡, 무호흡 등 다양하였으나 다른 원인에 의한 감염증과 비슷하였다. 집중 치료를 요하는 중증 경과를 보인 경우가 없었고 항생제 치료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며 회복되어 A. baumannii 감염증에서 흔히 보이는 중증의 임상 증상과 높은 사망률(11-57%)과 비교하여 경한 경과를 보였다. 도관 관련 균혈증 2례, 도관 관련 균혈증 의증 9례로 말초 정맥 도관이 중요 유발 인자로 고려되었다. 감염의 역학을 알고자 두 차례에 걸쳐 의료진의 손과 환경 검체에 대한 배양 검사를 실시하였으나 동일 균주를 분리하는데는 실패하였다. 결 론: 우리의 연구를 통해 A. baumannii 이외의 Acinetobacter species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병원성으로 여겨졌으나 임상 증상이 동반되면서 환자에서 배양되면 감염의 원인균임을 알 수 있었다.

형랙배양검사 성적의 분석 -1984년에서 1987년까지 - (Analysis of the Results of Blood Cultures, 1984~1987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 김정숙;이채훈;최명숙;전창호;김경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49-60
    • /
    • 1988
  • 1984년부터 1987년까지의 최근 4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시행한 혈액배양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년간 8083검체의 혈액이 배양되어 582검체에서 균이 분리되어, 총 혈액배양 양성율은 7.2%이었고, 분리균주 중 다균성 감염증은 16예(2.8%)였다. 2) 분리균주의 분포는 그람 양성균이 189, 그람 음성균이 393이었고, 그람 양성균의 균종별 분리는 Staphylococcus aureus가 82, coagulase 음성 Staphylococcus가 73, 기타 Staphylococcus sp.가 20의 순이었다. 그람 음성균은 Escherichia coli가 75, Salmonella typhi가 80, Salmonella paratyphi A가 72이고, 그 외 Kldbsiella, Enterobacter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포도당 비발효 그람 음성균은 Pseudomonas cepacia가 46, Pseudomonas aeruginosa가 16, 그 외 Acinetobacter등이 소수 분리되었다. 3) Salmonella균종을 제외한 모든 균종에서 매년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고, 병원내 감염균으로 간주되는 Serratia, Acinetobacter균종이 1984년의 6.35%에서 1987년에는 17.7%롤 증가되었다. 4) Aeromonas hydrophilia는 6~10월에 높은 분리율을 나타애고, Salmonella typhi는 1월과, 5월에서 8월사이, Salmonella paratyphi A는 1월과 6월에서 9월사이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대개 모든 균종에서 여름철에 분리율이 높았다. 5) 분리균종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Staphylococcus aureus와 장내세균에서는 기본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낸 반면, 포도당 비발효 균종은 약 32%에서 기본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성 감염의 주요 원인균은 Serratia, Acinetobacter, Pseudomonas, Enterobacter균종에서는 항생제의 내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 PDF

Acinetobacter 병원내 폐렴에서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cinetobacter Nosocomial Pneumonia between MDR and non-MDR)

  • 박인일;김익근;구현철;한재필;김영묵;이명구;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13-19
    • /
    • 2006
  • 연구 배경: A. baumannii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병원 내 병원균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들 균에 의한 감염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감염에 연관된 사망률(균혈증:52%, 폐렴:23-73%)은 매우 높고 다제 내성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다제 내성 A. baumannii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이들의 임상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중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 사망률,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4년 11월 1일까지 춘천성심병원에 입원했던 환자 중 Acinetobacter 병원 내 폐렴으로 판단되는 47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제 내성 A. baumannii를 실험 환경에서 A. baumannii에 효과적이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47명의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환자 중 17명이 다제 내성군, 30명이 약제 감수성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다제 내성군은 $69{\pm}11$세, 약제 감수성군 $70{\pm}13$세이었고 APACHE II 점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사망률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6.1{\pm}5.4$ vs $14.9{\pm}4.8$, P=0.43, $25.1{\pm}13.6$ vs $39.1{\pm}31.0$, P=0.2, 58.8% vs 40%, P=0.21). 결 론: Acinetobacter baumannii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사망률과 임상적 특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군 모두 사망률과 이환율은 높게 나타나 A. baumannii 감염의 효과적인 감시 및 조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