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amination of operator's clothing by aerosols during scaling

스케일링 시 에어로졸에 의한 술자의 의복 오염도

  • Kang, Kyung-H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Kim, Ye-J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Min, Ji-Ye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Park, Seul-G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Woo, Ju-H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Goong, Haw-Soo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강경희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김예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민지연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박슬기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우주희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궁화수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7.09.21
  • Accepted : 2017.10.15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Recently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 is increasing in hospitalsnfection control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overall health care practiceental hospital also requires thorough infection control. There are various kinds of vectormedical clothing. Contaminated clothing of a hospital staff can be a vector of nosocomial infecton. actual case of nosocomial infecton caused by contaminated medical clothing, nursing students were measuring contamination levels of uniforms and pathogenic microorganism wdetected in front of the uniform and pocket. There is also a high risk of exposure to contamination in the dental hospital. We conducted a study to enhance awareness about infection and proper clothing management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contamination of clothing caused by aerosols produced during scaling. Subjects were scaling operators' uniform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Before scaling, the uniform was sterilized by autoclavecaling was performed times in the same place (an average of 60 minutes per person, a total of 180 minutes). ive parts of the uniform (sleeves, chest, belly, thigh, edge of pants) contracted Rodak-plate for 15 seconds. After incubating the contacted Rodak-plate at 37℃ incubator, contamination levels by measuring the number of colonies. As a result, all parts increased number of colonies. ontamination order chestedge of pants thigh belly sleeves. Increase rate of colonies was also high in the order chest edge of pants thigh belly sleeves. This study showed seriousness of clothing contaminationcaused by aerol produced during scalingcontamination of clothing can be a path to nosocomial infecton. According to th study, infection control for clothing as well as dental instruments should be implemented and thorough infection control training needed for dental staff. In further researches, practical infection prevention supplementing clothing management method.

감염관리는 전반적인 의료행위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치과 또한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감염의 매개체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중 의료진 의복으로 인한 감염이 있다. 병원 직원의 오염된 의복은 원내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에 스케일링 시 에어로졸에 의한 의복오염도를 실험하였다. 가슴, 배, 허벅지, 소매 끝, 바지 끝 부위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한 자료는 IBM SPSS (ver20.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스케일링 전(대조군)과 스케일링 후(실험군) colony수의 평균값은 ANOVA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사후 분석은 Scheffe를 시행하였다. 스케일링 전-후 colony수의 평균값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Paired t-test 비모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1. 의복의 가슴 부위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2.13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 수의 평균은 50.00 CFU로 약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2). 2. 의복의 배 부위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4.00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16.63 CFU로 약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8). 3. 의복의 허벅지 부위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3.63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22.88 CFU로 약 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7). 4. 의복 소매 끝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3.63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17.38 CFU로 약 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28). 5. 의복 바지 끝에서 스케일링 전 colony수의 평균은 2.38 CFU이고, 스케일링 후 colony수의 평균은 33.63 CFU로 약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2). 6. 스케일링 후 의복 부위에서 colony수의 평균은 가슴, 바지 끝, 허벅지, 배, 소매 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7. 스케일링 전-후 colony수의 증가율은 가슴, 바지 끝, 허벅지, 소매 끝, 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케일링 시 에어졸로에 의해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스케일링에 의한 에어로졸로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인지하고 스케일링 후에는 의복을 깨끗이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치과기구관리와 함께 의복도 감염방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치과 의료인들에게 자세한 감염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실험 결과로 의복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의복에 대한 감염의식을 높여야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