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sative Organisms of Neonatal Sepsis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 병원체에 대한 조사

  • Kim, Kyung-Ah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Son-M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Moon, Han-Ku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Yo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경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손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한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용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nual occurrence rate of neonatal sepsis, maternal risk factors in neonatal sepsis, localized infection in neonates, causative organisms in nosocomial infection and 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for neonatal sepsis in Korea. Clinical and bacteriological data wele collected from 37 neonatal units to perform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the newborn infants who were confirmed as having neonatal sepsis and whose blood culture was collected to isolate organisms for one year study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7. 78,463 neonates were born at 37 hospital in 1997, and 20,869 neonates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units, During this period, 772 episodes of neonatal sepsis were recorded in 517 neonates. The occurrence rate of neonatal sepsis was 0.73%(0~2.95%). Male to female ratio was 1.15:1, and 303 cases(42.1%) were born prematurely. The main pathogens of early onset of sepsis were S. aureus(20%), S. epidermidis(14.4%) and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14. 4%). Gram negative bacilli including Enterobacter spp (7.2%), E. coli(5.1%), Klepstella(4.5%), Pseudomonas(3.7%) and Enterobacter faectum(3.6%) accounted for 24.1% of sepsis. Group B beta-hemolytic streptococcus were isolated only in two cases. Common obstetric factors were PROM(21.1%), difficulty delivery(18.7%), fetal tachycardia(5.3%), chorioamnionitis(4.9%), and maternal fever(4.7%). The main pathogens of late-onset sepsis were S. aureus(22.3%), S. epidermidis(20.4%) and CONS(9.9%). There were 6 cases(1.0%) of Candida sepsis, Frequent focal infections accompanying sepsis were pneumonia(26.1%), urinary tract infection(10.5%), meningitis(8.2%), and arthritis(3.6%), S. epidermidis(22.0%) and s. aureus(21.7%) were also the most common pathogens in 373 nosocomial infection.

전국의 신생아 수련 병원에 설문지를 보내어 각 병원의 1997년 1월부터 12월까지 출생한 신생아 중 패혈증으로 진단되고 혈액 배양 검사에서 균이 검출된 경우, 병록지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고, 37개 병원에서 참여해 34.9%의 응답율을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생아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평균 0.73%(0~2.95%)였고, 남녀 비는 1.15:1이었다. 2)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은 candida류를 포함하여 64종의 균이 검출되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였고, S. epidermidis, CONS의 순으로 많았다. 3) 조기 신생아 패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였으며 CONS와 S. epidermidis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후기 신생아 패혈증도 S. aureus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S. epidermidis, CONS의 순으로 많았다. 4) 신생아 패혈증에 관련된 산모의 위험인자는 조기 파수가 104명(21.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난산, 태아의 빈맥, 융모양막염, 산모감염의 순이었다. 5) 신생아 패혈증과 연관된 국소 감염의 분포는 73명(26.1%)의 환아에서 폐렴이 동반되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요로 감염, 뇌막염, 관절염의 순으로 많았다. 6) 신생아의 병원내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는 S. spidermidis가 가장 많았고, S. aureus, Entero-bacter의 순이었다. 7) 도관과 관련된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은, S. aureus가 가장 많았고, S. epidermidis, Enterobacter의 순으로 많았다. Candida는 8례에서 발견되었다. 8) 그람 양생균의 항생제에 대한 반응검사에서 Penicillin이나 oxacillin에 대해 S. aureus, S. epidermidis, CONS 모두 30% 이하의 감수성을 보였다. Vacomycin에 대해서는 S. aureus, CONS, Enterococcus 각각 1례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9) 그람 음성균의 항생제에 대한 반응검사에서 Gentamicin에 대해서 60%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ikacin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다. Piperacillin과 aztreonam에 대해서, Pseudomonas가 100%의 감수성, ticarcillin에 대해서는 Klebsiella가 100%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영남대학교 임상의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