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tras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8초

Neutrase에 의한 glutamine과 aspargine 잔기의 탈아미드화 (Deamidation on Glutaminyl and Asparaginyl Residues of Protein by Neutrase)

  • 김효선;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4-798
    • /
    • 1995
  • 식품단백질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neutrase에 의한 glutamine과 asparagine 잔기의 탈아미드화에 관한 연구를 행하였다. Neutrase에 의한 BSA의 최적반응 조건은 $20^{\circ}C$, pH 10에서 3시간 반응시켰을 때로, 이때 BSA는 24%가 탈아미드화되었고. 동시에 2.9%가 가수분해되었다. 또한 pronase, bromelain, ficin 보다는 neutrase에 의한 BSA의 탈아미드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탈아미드화 조건에서 neutrase에 의한 egg albumin, 분리콩단백 및 casein의 경우 탈아미드화에 수반하여 펩티드결합의 분해가 비교적 높게 관찰되었다.

  • PDF

단백질 분해 효소 처리가 청국장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zymatic Hydrolysis by Proteas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Chungkukjang)

  • 박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27-333
    • /
    • 2011
  • Alcalase, protamex 및 neutrase 효소처리가 청국장의 펩타이드 및 항산화 활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동일한 조건으로 효소 처리한 대두분말과 비교하였다. 효소 20, 100 및 500 mAU를 $50^{\circ}C$에서 120분간 처리한 결과 청국장과 대두분말 모두에서 alcalase 및 protamex에 의한 펩타이드 생성이 neutrase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은 청국장의 경우 alcalase 처리에 의해 DPPH, ABTS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시료량에 따라 각각 37~57%, 59~106% 및 67~83%, protamex 처리에 의해 35~50%, 56~74% 및 52~7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두분말을 효소 처리한 시료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 alcalase 처리에 의해 DPPH, ABTS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37~55%, 51~99% 및 67~83%, protamex 처리에 의해 36~44%, 44~66% 및 51~65% 증가하였다. 그러나 두 시료 모두에서 neutrase 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유의적 증가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alcalase와 protamex가 청국장에 특이적이지는 않으나 펩타이드 생성 및 항산화 활성 증가에 효율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Antioxidant Effect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lysates Derived from Egg-White Protein

  • Cho, Dae-Yeon;Jo, Kyungae;Cho, So Young;Kim, Jin Man;Lim, Kwangsei;Suh, Hyung Joo;Oh, Sej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62-371
    • /
    • 2014
  • This study utilized commercially available proteolytic enzymes to prepare egg-white protein hydrolysates (EPHs) with different degrees of hydrolysis. The antioxidant effect and functionalities of the resultant products were then investigated. Treatment with Neutrase yielded the most ${\alpha}$-amino groups (6.52 mg/mL). Alcalase, Flavourzyme, Protamex, and Ficin showed similar degrees of ${\alpha}$-amino group liberation (3.19-3.62 mg/mL). Neutrase treatment also resulted in the highest degree of hydrolysis (23.4%). Alcalase and Ficin treatment resulted in similar degrees of hydrolysis. All hydrolysates, except for the Flavourzyme hydrolysate, had great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control. The Neutrase hydrolysate showed the highes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3.6mg/mL$). Therefore, Neutrase was identified as the optimal enzyme for hydrolyzing egg-white protein to yield antioxidant peptides. During Neutrase hydrolysis, the reaction rate was rapid over the first 4 h, and then subsequently declined. The $IC_{50}$ value was lowest after the first hour (2.99 mg/mL).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EAI) of EPH treated with Neutrase decreased, as the pH decreased. The EPH foaming capacity was maximal at pH 3.6, and decreased at an alkaline pH. Diges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ctive peptides released from egg-white protein showed antioxidative activities on ABTS and DHHP radical. Thus, this approach may be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potent antioxidant products.

Protease의 전처리에 의한 새우껍질로부터 키틴의 분리와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Chitin from Shrimp Shells by Protease Pretreatment)

  • 류병호;이상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0
    • /
    • 1995
  • 대롱새우껍질로부터 Neutrase처리로 단백질을 제거하고 0.1 M EDTA 2Na로 무기질을 제거하여 키틴을 분리 정제하였다. 키틴의 정제시 Neutrase 3 mg/ml을 첨가하여 pH 6.0, $50^{\circ}C$에서 처리하였을 때 단백질 제거 효과가 제일 좋았다. Neutrase처리에 의한 단백질 제거, 탈 아세틸화도 그리고 칼슘, 인함량은 시판 키틴과 거의 비슷하였다. 분자량은 $1.2{\times}10^{8}$ dalton이었고 키틴의 수율은 28.5%이었다.

  • PDF

가수분해 식물성 단백질의 효소적 생산을 위한 효소 반응 시스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nzymatic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 채희정;인만진;김민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25-1130
    • /
    • 1997
  • 효소 분해에 의해 HVP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효소의 조합, 효소 첨가 순서, pH, 산세척 등이 가수분해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Endoprotease으로서 Neutrase와 Alcalase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Alcalase를 단독 사용하는 것 보다 가수분해도가 높았으며 exoprotease인 Flavourzyme을 이용하여 2차 가수분해함으로써 60%이상의 가수분해도를 얻을 수 있었다. 2차 가수분해 시 원심분리에 의해 미반응 불용 성분을 제거하는 것은 가수분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차 가수분해 후 2차 원심분리의 수세수를 원료 현탁에 재사용하였을 경우 가수분해도 및 단백질 회수율을 높일 수 있었다. Ca이온의 첨가에 의한 Neutrase의 안정화 효과는 가수분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사용과 산세척의 반복에 의해 가수분해도와 생산물의 단백질 함량이 각각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Endoprotease과 exoprotease을 별도로 각각 처리하기보다는 동시 처리하는 것이 가수분해에 효율적이었다.

  • PDF

상업적 응유효소의 탈지유에 대한 단백질 분해 작용 (Comparative Study of Proteolytic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Milk Clotting Enzymes on Bovine Skim Milk)

  • 신현수;김상범;임종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801-808
    • /
    • 2002
  • 상업적 단백질 분해 효소에 0.02% $CaCl_2$를 첨가하여 응유 활성화를 시킨 탈지유에 대한 분해 작용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효소별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도는 미생물 유래 효소와 trypsin은 pepsin과 papain W-40보다 높은 분해도를 나타냈다. 12% TCA 용액에 가용성인 NPN의 양은 trypsin이 가장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었고 rennet과 pepsin이 가장 낮은 분해도를 보였다. 전기영동에 있어서 trypsin과 protease S는 $\alpha$- lactalbumin을 분해하였고 papain w-40은 $\beta$- lactoglobulin을 미약하게 분해하였으며 neutrase 1.5는 90분 이후부터 $\alpha$-lactalbumin과 $\beta$-lactoglobulin을 분해하였다. Rennet과 비교한 전기영동상에서는 rennet에 의해 분해 되지 않은 ${\alpha}_s$- casein과 $\beta$-casein을 trypsin과 protease S가 다량 분해하였고 $\kappa$-casein은 rennet에 비해 papain W-40이 상당 수준의 분해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가수분해도 및 NPN 양은 trypsin, neutrase 1.5 및 protease S가 다른 효소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기영동상에서는 pepsin과 neutrase 1.5가 rennet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저해효과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s of Nemopilema nomurai Hydrolized Extracts)

  • 이하연;김영훈;엄선영;정욱순;장문식;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1-3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 가수분해 추출물의 미백활성에 대하여 검색하였다. 가수분해 시료(NHE, N. nomurai Hydrolized Extract)는 노무라입깃해파리를 상업용 단백질분해효소(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55^{\circ}C$에서 pH 5-8 조건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얻었다. 미백활성은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능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Neutrase로 처리된 시료(N-NHE)에서 $100{\mu}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이 가장 효율적으로 89.9%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료는 또한 tyrosinase와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화장품 미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BSA, Egg Albumin, 분리대두단백질의 용해도에 미치는 Neutrase에 의한 탈아미드 효과 (Effect of Deamidation with Neutrase on the Solubility of BSA, Egg Albumin, and Soy Protein Isolate)

  • 강영주;김효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11-815
    • /
    • 1995
  • BSA, egg albumin (EA), 그리고 분리대두단백질(SPI)의 Neutrase에 의한 탈아미드화가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BSA는 탈아미드화로 pH 4~8 사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천연 BSA에 비하여 98~83%로 감소하였으며, pH 6 부근에서 가장 낮은 용해도를 보았다. 천연 BSA와 탈아미드화된 BSA 모두 0.2M NaCl 용액에서는 100%의 용해도를 보였으나, 산성 1.0M NaCl용액에서는 용해도가 모두 크게 떨어졌다. EA의 용해도는 탈아미드화로 pH3 이하와 6 이상의 수용액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산성 NaCl용액에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SPI는 탈아미드화로 수용액에서의 용해도가 모든 pH 범위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NaCl용액에 대한 용해도는 pH 6 이상에서는 증가하였고, pH 5 이하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상업적 효소를 이용한 연어 Frame 유래 곰탕 유사 제품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omtang-like Product from Salmon Frame Using Commercial Enzymes)

  • 허민수;박신호;김혜숙;지성준;이재형;김형준;한병욱;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96-1603
    • /
    • 2007
  • 연어 frame 추출물에 대하여 건강 기능성 개선을 위하여 4종의 상업적 효소(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 처리에 의한 건강 기능성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IC_{50}$)은 Neutrase로 4시간 처리한 가수분해물이 0.67 mg/mL로 가장 우수하였으나, 항산화성은 기대 이하의 범위(15% 이하)이었다. Neutrase 처리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은 무처리 추출물에 비하여 일반성분과 관능적 특성(비린내 및 맛)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물 질소 함량은 높았고, 투과도는 개선되었다. 효소처리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은 축육과 뼈로 제조한 시판 곰탕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 추출물 질소, 구성아미노산과 칼슘 함량이 높았고, 투과도, 관능적 비린내 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추후 조미 등에 의하여 보강 가능한 관능적 맛은 기호도에 있어 약간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frmae 추출물에 Neutrase로 4시간 처리함으로 인하여 투과도와 ACE 저해능과 같은 건강 기능성은 기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쌍별귀뚜라미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Enzymatic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Gryllus bimaculatus)

  • 조혜린;이유정;홍지은;이승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73-479
    • /
    • 2019
  • 동결건조된 쌍별귀뚜라미 분말을 4%(w/v)의 기질용액으로 제조한 후, 기질 대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bromelain, papain)를 1%(w/v) 첨가 하여 24시간 가수분해시킨 단백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각 효소별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SDS-PAGE와 available amino group 함량을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flavourzyme 단백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가수분해도를 보인 반면 bromelain과 papain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다. 가수분해도가 높았던 3종의 효소(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제조한 단백가수분해물을 각각 한외여과막을 통해 분자량 3 kDa 이하로 분리한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flavourzyme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neutrase, flavourzyme 및 alcalase 단백가수분해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H_2O_2$ 소거활성은 alcalase와 flavourzyme 단백가수분해물이 neutrase 단백가수분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FRAP법은 flavourzyme, alcalase, neutrase 단백가수분해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분자 펩타이드 생산 효율이 가장 높았던 쌍별귀뚜라미 flavourzyme 단백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농도별 linoleic acid 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과산화 억제 활성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단백질 소재인 쌍별귀뚜라미로부터 여러 단백분해효소원들을 이용한 단백가수분해물 제조 특성 및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번 연구는 향후 식용곤충 유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용곤충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