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xobacteria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토양으로부터 Myxobacteria의 분리 및 165 rDNA RFLP분석 (Isolation of Myxobacteria from Soil and RFLP Analysis of 16S rDNA Fragments.)

  • 김수광;최병현;김종균;이병규;강희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7-191
    • /
    • 2003
  • 토양 시료와 Coli-spot 한천평판 배지를 이용하여 myxobacteria를 분리하였다. 용균 현상이 관찰되는 Coli-spot 한천평판에서 myxobacteria의 swarm및 자실체 형성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자실체를 분리하여 VY/2 한천평판 배지에서 순수배양을 실시하였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myxobacteria표준 균주 및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들의 16S리보좀 DNA를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통해 증폭시킨 다음, 제한효소(HaeIII, EcoRI 및 EcoRV)로 절단하여 RFLP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들이 Family I, II, III의 myxobacteria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yxobacteria의 생리활성 물질 (Bioactive Substances from Myxobacteria.)

  • 김용석;배우철;백성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03
  • Myxobacteria는 토양세균으로 활주하여 이동하며, 복잡한 생활사를 갖고 있다. 25년 이상의 연구결과 myxobacteria는 많은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지금까지 약 80종의 신규물질과 그들의 변이체가 450종이 확인되었다. 이들 물질들은 독특한 기작을 갖고 있는 것들이 많으며, 그 중에는 26종의 electron transport 저해제, 5종의 nucleic acid polymerase 저해제, 10종의 cytoskeleton에 작용하는 물질, 1종의 진균 acetyl-CoA carboxylase 저해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myxobacteria 유래물질들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공정이 완벽하게 성립되어 있지 않고, 이들 물질들을 이용한 제품이 시판되는 상황은 아니지만, 머지않아 myxobacteria가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을 항균, 항암과 같은 질병치료 및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셀룰로오스 분해성 점액세균 Sorangium cellulosum의 분리 (Isolation of Cellulose-Degrading Myxobacteria Sorangium cellulosum)

  • 현혜숙;정진우;이한빛;윤진권;이차율;김도희;조경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8-53
    • /
    • 2009
  •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으로부터 셀룰로오스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자라는 591균주의 점액 세균을 순수 분리하였다. 세포, 집락, 그리고 자실체의 모양과 같은 형태적인 특징과 16S rRNA 염기서열은 이들 균주들이 모두 Sorangium cellulosum임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생리활성조사는 114균주 중 최소한 20균주가 Candida albicans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진균물질을 생산함을 보여주었다.

아산시와 우포늪 토양의 점액세균 다양성 (Diversity of Myxobacteria in Soil Samples from Asansi and Uponeup in Korea)

  • 정진우;김진우;조경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5-408
    • /
    • 2010
  • 점액세균의 16S rDNA에 특이적으로 부착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해 아산시와 우포늪에서 채취한 다섯 토양시료 내 점액세균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점액세균의 16S rDNA을 갖는 76개 PCR 조각의 서열분석 결과, 표준균주와 95% 미만의 상동성을 보이는 5개의 신속 추정 점액세균이 관찰되어 국내 토양에 아직까지 분리되지 않은 많은 새로운 점액세균들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Isolation of Sorangium cellulosum Carrying Epothilone Gene Clusters

  • Hyun, Hye-Sook;Chung, Jin-Woo;Kim, Ji-Hoon;Lee, Jong-Suk;Kwon, Byoung-Mog;Son, Kwang-Hee;Cho, Kyun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8호
    • /
    • pp.1416-1422
    • /
    • 2008
  • Epothilone and its analogs are a potent new class of anticancer compounds produced by myxobacteria. Thus, in an effort to identify new myxobacterial strains producing epothilone and its analogs, cellulose-degrading myxobacteria were isolated from Korean soils, and 13 strains carrying epothilone biosynthetic gene homologs were screene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 migration assay revealed that Sorangium cellulosum KYC3013, 3016, 3017, and 3018 all produced microtubule-stabilizing compounds, and an LC-MS/MS analysis showed that S. cellulosum KYC3013 synthesized epothilone A.

Operon Required for Fruiting Body Development in Myxococcus xanthus

  • Kim, Do-Hee;Chung, Jin-Woo;Hyun, Hye-Sook;Lee, Cha-Yul;Lee, Kyoung;Cho, Kyun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288-1294
    • /
    • 2009
  • We have used mutational analysis to identity four genes, MXAN3553, MXAN3554, MXAN3555, and MXAN3556, constituting an operon that is essential for normal fruiting body development in Myxococcus xanthus. Deletion of MXAN3553, which encoded a hypothetical protein, resulted in delayed fruiting body development. MXAN3554 was predicted to encode a metallopeptidase, and its deletion caused fruiting body formation to fail. Inactivation of MXAN3555, which encoded a putative NtrC-type response regulator, resulted in delayed aggregation and a severe reduction in sporulation. Fruiting bodies also failed to develop with the deletion of MXAN3556, another gene encoding a hypothetical protein.

Selection of KYC 3270, a Cellulolytic Myxobacteria of Sorangium cellulosum, against Several Phytopathogens and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against Gray Mold in Stored Fruit

  • Kim, Sung-Taek;Yun, Sung-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257-265
    • /
    • 2011
  • During 2002-2008 in Korea, 455 extracts from myxobacteria consisting of 318 cellulolytic and 137 bacteriolytic myxobacteria were isolated, which were then screened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e phytopathogens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acutatum, Penicillium sp., Pyricularia grisea, and Phytophthora capsici. 204 isolates had antifungal activity, causing both a clear zone due to blocked spore germination and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most (199) were from cellulolytic (Sorangium cellulosum) and only five were from bacteriolytic myxobacteria. B. cinerea, the best controlled among the five tested pathogens, had a unique group of antifungal isolates of myxobacterial extracts compared to the other pathogens' groups. Among seventy-nine bioactive myxobacteria, four isolates, KYC 3130, KYC 3247, KYC 3248 and KYC 3270, were selected and all were cellulolytic. Liquid culture filtrates of these four myxobacteria were applied to tomato, cherry tomato, strawberry, and kiwi fruits 5 h before inoculation with gray mold conidia; then the treated fruits were placed in an airtight container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six to eight times. Incidence (%) of gray mold on fruit of the infected control treatment was 84-98%, whereas it was only 5-21% after the KYC 3270 treatment. After KYC 3270 treatment of the four fruits, mold control was 79-95%, which was highest among the filtrates and statistically the same as treatment with fludioxonil, a registered chemical against gray mold of stored fruits.

Cellulase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한 Sorangium cellulosum 균주들의 계통분류 (Phylogenetic Analysis of Sorangium cellulosum Strains Based on Cellulase Gene Sequences)

  • 이한빛;윤진권;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8
    • /
    • 2011
  • 두 개의 cellulase 유전자 xynB1, bglA2과 groEL1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국내에서 분리한 34균주의 Sorangium cellulosum 균주들을 계통 분석한 결과, 점액세균 중 가장 많은 생리활성물질이 발견된 종인 S. cellulosum 내에는 최소한 5그룹의 소그룹이 존재함을 보였다. 이 분석은 또한 S. cellulosum 균주들의 다양성을 보여주어 분석한 34균주 중 30균주가 서로 다른 균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Screening of Myxobacteria Carrying Tubulysin Biosynthetic Genes

  • Hyun, Hyesook;Choi, Juo;Kang, Daun;Kim, Yungpil;Lee, Pilgoo;Chung, Gregory J.Y.;Cho, Kyungyu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2-38
    • /
    • 2021
  • Tubulysins are a group of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myxobacteria that inhibit the function of the eukayotic cytoskeleton. We developed a pair of PCR primers that specifically amplified tubulysin biosynthetic genes. Using these primers, eight out of the eighty-one strains of myxobacteria belonging to the Cystobacteraceae family that harbored putative tubulysin biosynthetic genes were screened through PCR analysis. The selected strains included two Archangium gephyra, two Stigmatella sp., two Vitiosangium cumulatum, and two unidentified myxobacteria. LC-MS analysis of the culture extracts from the selected strains revealed that A. gephyra KYC4066 produced putative tubulysin A and B.

Soraphen 생합성 유전자군을 갖는 점액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Myxobacteria Carrying Soraphen Biosynthetic Gene Clusters)

  • 이차율;현혜숙;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6
    • /
    • 2009
  • 생합성 유전자들이 알려져 있고 탐색할 후보 균주들이 확보되어있는 경우에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은 유용한 이차 대사산물을 생산하는 새로운 균주의 탐색에 있어서 간편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해 50균주의 셀룰로오스 분해성 점액세균로부터 강력한 항진균물질 soraphen의 생합성 유전자로 보이는 유전자를 가지는 두 점액세균 균주 KYC3047과 KYC3076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형태학적,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의해 이들 균주들을 S. cellulosum로 동정하였다. 두 균주는 모두 예상한대로 칸디다증을 유발하는 Candida albicans와 고추 탄저병을 유발하는 Colletotrichum acutatum에 강한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을 생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