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curriculum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동작과 언어를 통합한 리듬교육활동에 대한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Rhythm Education Activity Through Movement and Language Integration)

  • 임은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39-255
    • /
    • 2007
  •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 curriculum of rhythm education activity program an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ogram into actual music education field for kindergarten children. The outlook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program integrating the elements of movement, language and rhythm to apply the program to 5 year old children for 6 weeks through 12 sessions, and to observe and analyze their level of rhythm creativity and rhythm reading ability.The analysis of the field observation data and recording data showed that the children achieved natural and better understanding of rhythm.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rhythm creation activity, while th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movement and rhythm influenced directly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rhythm and th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language, rhythm helped indirectly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rhythm through connecting the notions of rhythm and movements. However, when only rhythm and movements were combined, children tended to misunderstand the relative durations of ♩ and ♪ just as different tempos not as 2:1 duration relativity. And ♫ was too misunderstand as ♬ due to different durations of korean words when only rhythm and language were combined. To overcome the limit of understanding, all of the three elements; rhythm and movements and language should be integrated and constant auditory experiences are recommended.

협력종합예술활동의 지역 적용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Regional Application of Coope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 박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51-556
    • /
    • 2023
  • 본 연구는 서울시의 협력종합예술활동에 대한 성공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타 지역 공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협력종합예술활동은 학교 교육과정 내 운영함으로써, 예술교육의 보편성을 실천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행정·재정적 지원과 다양성이 확보된 참여형 예술교육활동이다. 따라서 이를 지역 공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모든 학생의 참여와 적극적인 행정적 지원은 물론 지속적인 인적·물적 재원 지원, 다양성이 반영된 예술교육과 결과물 공유를 통한 사회적 환원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실무수행능력 중심의 교육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Model and The Instrument for Improving Clinical Competence)

  • 엄영란;서연옥;송라윤;전경자;유경희;조남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20-235
    • /
    • 1998
  • The revolution of nursing curriculum has been focused on clinical competency for nursing graduates to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societal health needs and disciplinary requirements. In this trend,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basic concepts of nursing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nges in societal needs and nursing discipline, and to develop the instrument to measure performance level in each dimension of clinical competenc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In phase 1, principal concepts consisted of nursing education were deter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series of discussion sessions on nursing philosophies and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researchers. Though the proces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mpetency based nursing curriculum was constructed with nursing process and professional role as horizontal threads, client, health needs, and nursing interventions as vertical threads. Then, items were developed to represent each dimension of competency : client and health need, nursing process, professional role, and nursing interventions. The total of 273 items were included as to represent clinical competency required for BSN graduates. In phase 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nursing faculties of 41 BSN programs to validate the 273-item Instrument developed to measure competency. The total of 34 subjects returned the questionnaire with 81% of response rates. The subjects of the study had an average of 42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and 13 years of education experience in various nursing areas with an age range of 30 to 52 yea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SPSSWI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nursing process dimension was supported most with the mean of 3.60(SD=0.32) compared to client and health need dimension(M=3.49, SD=.40), professional role(M=3.41, SD=.44), and nursing interventions(M=3.57, SD=.34). 2) The dimensions of competency were moderately correlated to each other with a range of r=.433 to r=.829, confirming that four dimensions of competency were related but distinct concepts. 3) The items of each dimension were analyzed based on its appropriateness. 'Assessing risk factors of the clients' were most highly supported in client and health need dimension. Most items of nursing process dimension were considered appropriate, while items related to efficient communication were well supported in professional role dimension. In nursing intervention dimension, items on basic nursing skills were highly supported while items on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music therapy or art therapy were considered relatively inappropriate to competency for BSN graduates. The findings clearly showed that the current nursing education more emphasizes nursing interventions based on nursing process than other dimensions of competency. There is a need to reconceptualize nursing curriculum that is able to reflect more of nursing professional role and client/health need dimensions. Further research to validate the instrument by confirming competency dimensions of nursing graduate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the hospital has been suggested.

  • PDF

한국 뮤지컬 음악 교육의 나아갈 방향,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Direction of Korean Musical Education, focused on the University Education)

  • 이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55-562
    • /
    • 2012
  • 한국 뮤지컬 산업의 급성장으로 그에 따른 전문 인력 배출의 필요성과 교육 기관의 양적, 질적 증대가 대두 되고 있다. 예술 교육의 커리큘럼은 학교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자기성장과 자아실현이 구현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단순히 예술이 기술만 갖고 해결 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이론, 교양 과목의 통합 교육을 통해 자신이 표현 하고자 하는 것을 명확히 전달하고 소통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뮤지컬 음악 교육 또한 근시안 적인 유행이나 순간의 대학 경쟁률을 높이는 교과목들의 나열 보다는 깊이 있는 배우를 배출하기 위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또한 학교 교육을 받은 후 사회에 나가는 것이 결코 뒤처지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깊이 있는 배우로서 성장 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신뢰를 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마다 대학 입시와 커리큘럼, 졸업 후 활동 방안에 대해 연계성을 갖고 올바른 비전과 관통선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좋은 배우들의 배출로 대학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며 더 나아가 뮤지컬 산업의 질적 향상도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활동의 과학개념 및 교수학습방법 분석 (A Study on Scientific Concep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Ages 3-5 in Accordance with Themes)

  • 최혜윤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5-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과학교육관련 활동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개념 및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교사용지도서의 과학교육관련 활동 772개이며, 과학개념은 물리과학(힘과 운동, 물리적구조, 전기와 자기, 빛과 그림자, 소리의 성질), 화학(물질의 특성, 물질의 반응), 생명과학(조직적 구조, 성장과 변화, 유전과 진화, 동식물과 인간의 관계), 지구과학(지구시스템의 상호작용, 지구시스템의 구조, 우주), 공학(설계된 세상, 공학 설계, 공학 및 기술과 사회), 생태학(환경보존) 영역에서 제시하는 개념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대소집단활동 유형, 자유선택활동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과학개념은 3-5세 공통으로 공학, 화학, 생명과학 영역이 주로 제시되고 있었으며, 물리과학은 전 연령에서 낮은 분포로 제시되고 있었다. 과학개념은 주로 '동식물과 자연', '생활도구', '환경과 생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에서 많이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은 3세, 4세는 자유선택활동(과학영역, 실외자유선택활동, 미술영역, 수조작영역 중심), 5세는 대소집단활동(요리, 이야기나누기, 음악활동)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 Choi, Byung Jin;Jeong, Yeo Jin;Kim, Mi Jin;Yun, Suk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1-22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conten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696 individual activities listed in 11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and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e formal curriculum. The target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were selected were those using natural objects like potted plants, water, wind, soil, stones, etc. as the topic or subject of activities, and those with different topics but are mentioning plants or natural objects as an example at least twice. The 150 selected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life-based theme, activity type, activity domain, and medium. As a result of examining horticultural activities by life-based theme, there were 150 horticultural activities (21.55%): 40 in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5.75%), 34 in Animals, Plants, and Nature (4.89%), 22 in Environment and Life (3.16%), 19 in Our Country (2.73%), and nine in Our Neighborhood (1.29%), nine in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1.29%), four in Health and Safety (0.57%), four in Living tools (0.57%), four in Transportation (0.57%), three in Kindergarten and Friends (0.43%), two in Me and My Family (0.29%; χ2=130.427, p < .001). As a result of examining horticultural activities by activity type, there were 61 free choice activities (40.67%), 80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53.33%), and nine outdoor play activities (6.00%), indicating that outdoor play was the fewest activity type (χ2=54.040, p < .001). The results of analyzing horticultural activities by activity domain showed that there were 25 in conversation (16.67%), 19 in science (12.50%), 14 in art (9.33%), 14 in cooking (9.33%), 10 in fairy tales (6.00%), nine in music (6.00%), eight in language (5.33%), eight in number operation (5.33%), eight in others (5.33%), six in children's plays (4.0%), six in games (4.0%), four in body and movement (2.67%), three in stacking (2.00%), three in roles (2.00%), three in rhythm (2.00%), two in children's poems (1.33%), two in field experience (1.33%) and one in outside play (0.67%; χ2=87.600, p < .00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ums used in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46 activities (30.67%) directly used plants as the mediums, 11 activities (7.33%) used soil such as stones, gravel, and earth as the mediums instead of plants, four activities (2.67%) used dry plants such as branches and dry leaves as the mediums, and 89 activities (59.33%) used videos, photos of plants, and pictures of plants as the mediums (χ2=121.307, p < .001).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6th Grad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3-192
    • /
    • 2016
  •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 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학기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스토리텔링 자료가 제일 많았고, 기술공학, 자연과학, 사회 교과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문화, 체육, 음악, 미술 관련 교과 내용은 매우 적었다. 둘째, 학기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가 수학 6-1 교과서보다 61개가 많았으며, 스토리텔링을 제외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에서는 107개, 수학 6-1 교과서에서는 39개로 수학 6-2 교과서에서의 개수가 수학 6-1 교과서에서 보다 약 2.7배 많았다. 셋째,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는 수학 6-1 교과서에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이 부족한 단원들을 잘 보완하지 못했으나,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 6-2교과서에서 부족한 단원들을 비교적 잘 보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학 6-1, 6-2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수학이외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학기별로 차이가 심하므로 다양한 STEAM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 현황과 방향 제언 - 교육 과정 분석 및 교사의 문화유산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ocused on curriculum analysis and teacher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iences)

  • 한건수;김다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32-151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 문화유산이 학교에서 어떻게 교육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는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개 교과서를 살펴보고 문화유산 교육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유산 교육의 목표를 시민성 함양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유산 교육에서 무엇을 교육 내용에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학생 환경, 지역 사회 환경, 교과 내용 등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유산 교육은 문화유산이 현재 세대에서 미래 세대로 이어질 수 있게 지속 가능 발전 개념과 연계되어야 한다. 문화유산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지역별 정체성, 문명 간 대화와 이해, 창의성의 원천 등 특성을 갖고 있어서 지속 가능 발전의 토대가 된다. 넷째,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단계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성패는 교사 연수에 달려 있다. 다섯째, 문화유산 교육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정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향유하고 보호하고 지속 가능 발전 사회와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관련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s)

  • 김영주;김정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84
    • /
    • 200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composing a systemic education contents for health by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shown in the guidebook for teachers and the schoolbook for students of all grades in the current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and data were totally 162 copies which were 90 copies of national schoolbook for 1~6 grades and 72 copies of guidebook for teachers used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The standards of selection for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including in each schoolbook were divided into 11 themes using the health care model suggested by Kim, Hwa Joong(1995) in the guidebook for health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hours of health education suggested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were 274 hours and it was 6.2% of the total class of 4,442 hours. Secondly, the contents about health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to 9 subjects of The right livelihood, The wise livelihood, The cheerful livelihood, Korean, Morals, Society,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course etc. Physical education had the most contents about health education and there was nothing in Mathematics, Music and Arts. Thirdly, contents about health of regional society and environmental health were the most of 53 hours(19.3%), and contents about understanding of health were the least of 4 hours(1.4%). Fourthly, contents included equally in every grades were those about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health of home and society, health of regional society and environmental health.

모션그래픽의 환경과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모션그래픽 출현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St Environment of Motion Graphic. -Focused on Historical Backgrounds of Motion Graphic Appearance-)

  • 김재명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14
    • /
    • 2005
  • 그래픽디자인은 인류와 함께 하여 왔으며 인간은 동영상으로 사물을 파악한다. 그리고 꿈에서조차 영상으로 꿈을 꾼다. 도구의 발전은 인간의 신체 연장선상에서 발전하였다. 눈의 연장선에서 본다면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등은 인간의 눈을 대신하는 도구들이고 결과물은 영상이다. 종이 위에 그려진 그림이나 이미지에 시간이 더해져 움직임이 부여 된다면 '움직이는 그림' 즉 모션 그래픽이 된다. 하지만 이 모션 그래픽은 애니메이션, 영상, 또는 영화라고 불리어 왔다. 이제 모션 그래픽은 영상 또는 영화, 애니메이션과 구별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영화와 애니메이션은 고유 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영상은 이들을 통합한 의미이지만 이 용어들이 '일러스트레이션이 동영상으로 움직인다면?'의 해답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다양한 영역과 표현을 가진 일러스트레이션 또는 그래픽에 시간이 더해져 나타나는 결과물을 '모션 그래픽'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모션 그래픽은 다각적인 관점, 다양한 방법의 접근 그리고 해석 가능한 모든 방법과 표현이 종합적으로 시도되면서 매체간의 융합과 합성(meta-synthesis), 각기 다른 종과 종의 융합과 합성(media hybrid) 그리고 감각적 합성을 통해 변화하고 있다. 모션그래픽은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도가 늘어나면서 하나의 분야로 자리 잡아 그래픽디자인 영역에서 독자적 장르로 성장하고 있으며 시각으로 인지되는 인식정보, 청각으로 인지되는 감성정보 그리고 몸 전체로 접촉되는 촉각정보가 통합(convergence)되는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모션 그래픽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대처하는 신 메타포가 움직임의 결과로 출현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