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Effect of Rhythm Education Activity Through Movement and Language Integration

동작과 언어를 통합한 리듬교육활동에 대한 효과 분석

  • Received : 2007.06.04
  • Accepted : 2007.08.06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 curriculum of rhythm education activity program an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ogram into actual music education field for kindergarten children. The outlook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program integrating the elements of movement, language and rhythm to apply the program to 5 year old children for 6 weeks through 12 sessions, and to observe and analyze their level of rhythm creativity and rhythm reading ability.The analysis of the field observation data and recording data showed that the children achieved natural and better understanding of rhythm.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rhythm creation activity, while th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movement and rhythm influenced directly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rhythm and th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language, rhythm helped indirectly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rhythm through connecting the notions of rhythm and movements. However, when only rhythm and movements were combined, children tended to misunderstand the relative durations of ♩ and ♪ just as different tempos not as 2:1 duration relativity. And ♫ was too misunderstand as ♬ due to different durations of korean words when only rhythm and language were combined. To overcome the limit of understanding, all of the three elements; rhythm and movements and language should be integrated and constant auditory experiences are recommende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1995). 음악적 사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음악교육연구, 14, 179-194
  2. 김영연(1997). 동요분석을 통한 통합적 유치원 음악수업모델. 음악교육연구, 16, 1-28
  3. 김재춘(1988). 교과의 성격에 비추어 본 교육과정통합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재춘(2005). 듀이의 '교과의 심리화'와 '교과의 진보적 조직' 논의가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23(2), 1-15
  5.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임채성, 허승희, 황홍섭(2000).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학지사
  6. 박찬옥, 이효숙(2001). 유아음악극 활동의 교육적 효과 탐색. 유아교육연구, 21(4), 331-354
  7. 박형신, 김영연(2004). 예술영역간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장단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27, 65-89
  8. 백대웅(1993). 인간과 음악. 서울: 어울림
  9. 석문주(1996). 음악적 성장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지도. 서울: 도서출판 풍남
  10. 성경희(1988). 음악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11. 성철재(1994). 한국어 리듬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시간구조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승윤희(2001). 음악정보의 처리과정과 창의적 사고의 이해: 정보처리이론과 신경과학연구에 기초하여. 음악교육연구, 21, 27-51
  13. 신인숙(2000).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2). 89-101
  14. 안경숙, 이옥주(2003). 소리에 대한 음악과 과학교육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24, 49-65
  15. 안재신, 한애향(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18, 1-49
  16. 이민정(2004). 다감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23-49
  17. 이유영, 엄정애(2003). 음악활동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4(1), 41-54
  18. 이인원, 김숙자(2006).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305-329
  19. 이홍수(1993).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20. 임미경, 장기범, 함희주(2002).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예종
  21. 임은애(2001). 유아의 음악적 이해 형성을 돕기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21(1), 51-70
  22. 정태희(1998).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및 효과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지민제(1993). 방송언어의 억양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 연구논문. 35, 27-31
  24. 채완병, 조홍기(1999). 코다이 이론과 기초교육. 도서출판 다라
  25. 홍용희(1998).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28(1), 113-129
  26. Abeles, H. F. & Hoffer, C. R. & Klotman, R. H.(1991). 음악교육의 기초.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방금주 역). 서울: 삼호출판사. (원전은 1984에 출판)
  27. Andress, B.(1984).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 Music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이은화, 김영희 역). 서울: 교문사. (원전은 1980에 출판)
  28. Campbell, P. S. & Scott-Kassner, C.(1995).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N.Y.: Schirmer Books
  29. Dewey, J.(1952).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30. Dewey, J.(1990). The School and Society.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Philip W. Jackson(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Dewey, J.(2002). 아동과 교육과정.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박철홍 역). 서울: 도서출판 문음사. (원전은 1902에 출판)
  32. Dewey, J.(2002). 아동과 교육과정. Experience and education 박철홍 역. 서울: 도서출판 문음사. (원전은 1938에 출판)
  33. Eisner, E. W.(2003). 인지와 교육과정.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박승배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1994에 출판)
  34. Findlay, E.(1971). Rhythm and movement: Application of dalcroze eurhythmics. New Jersey: Summy- Birchard Music Inc
  35. Fortson, L. R. & Reiff, J. C.(1995). Early childhood curriculum; Open structures for integrative learning. London: Allyn & Bacon
  36. Gordon, E. E.(1990).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GLA
  37. Greenberg, M.(1985). 유아음악교육. Your Children Need Music: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이기숙, 김영주 역). 서울: 교문사. (원전은 1979에 출판)
  38. Haines, B. J. E., & Gerber, L. L.(1992). Leading young children to music. New Jersey: Merrill an Imprint of Prentice Hall
  39. Hoffer, C. R.(1984). 음악교육론.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안미자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전은 1983에 출판)
  40. Leonhard, C. & House, R. W.(1992). 음악교육의 기초와 원리.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Rew. ed.). (안미자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전은 1972에 출판)
  41. McGirr, P. L.(1995). Verdi invades the kindergarten. Childhood Education, 71, 74-79
  42. Miche, M. (2002). Weaving music into young minds. NY: Delmar
  43. Mursell, J. L.(1937). The Psychology of music(1st ed.). New York: W.W.Norton & Company Inc., reprinting in 1970
  44. Neelly, L. P.(2001). Development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Young Children, 56(3), 32-36
  45. Pangrazi, R. & Dauer, V.(1981). Movement in early childhood and primary education. Minneapolis /IN: Burgess
  46.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47. Pica, R.(1995). Experiences in movement with music, activities, and theory. N.Y.: Delmar Publishers Inc
  48. Radocy, R. E. & Boyle, J. D.(2001). 음악심리학.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최병철, 방금주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7에 출판)
  49. Serafine, M. L.(1988). Music as cogni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50. Shehan, P. K.(1987). Effects of note versus note presentations on rhythm learning and ret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5(2). 31-47
  51. Stabley, N, C.(2001). Creative activities for string students, Music Educators Journal, 88(2), 29-33 https://doi.org/10.2307/3399739
  52. Walsh, J. D.(1998). Generation data, In B. Graue & D. G. Walsh (Eds.). Children in social context(pp.91-128). Newbury Park, CA : Sage
  53. Warner B.(1991) Schulwerk applications for the classroom.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54. Wiggins, J.(1999). Teacher control and creativity. Music Educators Journal. 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