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cientific Concep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Ages 3-5 in Accordance with Themes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활동의 과학개념 및 교수학습방법 분석

  • Choi, Hye Yo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ngwon University)
  • 최혜윤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ce concep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science education-related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ages 3-5. Methods: The research data included 772 activitie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analysis of science concepts was based on physical science (force and motion, physical structure, electricity and magnetism, light and shadow, sound properties), chemistry (material properties, material reaction), life science (organizational structure, growth and change, heredity and evolution, animal plant and human relationships), earth science (earth system interaction, earth system structure, and universe), engineering (designed world,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technology and society) and ecology (environment preserv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mall and large group activities and of free play activities. Results: Science concepts were mainly presented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chemistry, and life science commonly among children aged 3-5, whereas the concepts of physical science were lowly presented in all ages. Science concepts appeared mainly in the daily subjects of 'animal plant and nature', 'life tools', 'environment and life', and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ree paly activities (science area, free outdoor selection activity, math and manipulative activity) were mostly used for the ages of 3 and 4, and small and large group activities (cooking, story sharing, music activity) were for the age of 5.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level of science area and concept that can be taught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nd the timing of the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과학교육관련 활동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개념 및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교사용지도서의 과학교육관련 활동 772개이며, 과학개념은 물리과학(힘과 운동, 물리적구조, 전기와 자기, 빛과 그림자, 소리의 성질), 화학(물질의 특성, 물질의 반응), 생명과학(조직적 구조, 성장과 변화, 유전과 진화, 동식물과 인간의 관계), 지구과학(지구시스템의 상호작용, 지구시스템의 구조, 우주), 공학(설계된 세상, 공학 설계, 공학 및 기술과 사회), 생태학(환경보존) 영역에서 제시하는 개념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대소집단활동 유형, 자유선택활동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과학개념은 3-5세 공통으로 공학, 화학, 생명과학 영역이 주로 제시되고 있었으며, 물리과학은 전 연령에서 낮은 분포로 제시되고 있었다. 과학개념은 주로 '동식물과 자연', '생활도구', '환경과 생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에서 많이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은 3세, 4세는 자유선택활동(과학영역, 실외자유선택활동, 미술영역, 수조작영역 중심), 5세는 대소집단활동(요리, 이야기나누기, 음악활동)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권미경, 임미정(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155-178.
  3. 김경자(2010).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관한 일 고찰. 교육과정연구, 28(1), 67-86.
  4. 김민정(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1), 57-77.
  5. 김은정, 유영의, 신은수(2015). 한국과 미국의 영아와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한 교육적 시사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381-404.
  6. 남기원(2013). 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과학영역 활동비교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1-29.
  7. 박용순(2004).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과학 관련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백윤수,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정진수, 유은정, 이은아, 이동욱(2011). 2011 과학교육 내용표준 개발 연구(Sci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서울: 과학창의재단.
  9. 서현, 오선희, 박미자(2016).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25(1), 119-140.
  10.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2010).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5(1), 5-25.
  11. 손수연(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안경숙, 허미화, 신애선(2018).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3), 141-157.
  13. 윤정희(2015).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활동 분석: 과학개념과 과학탐구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701-722.
  14. 이경민(2007). 유치원에서 다루어지는 과학주제와 과학적 개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1(4), 407-425.
  15. 이기숙, 김정원, 이현숙, 전선옥(2016). 영유아교육과정. 경기: 공동체.
  16. 이병호, 홍후조(2008).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재의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6(1), 27-58.
  17. 조부경, 고영미(2004).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67-276.
  18. 조부경, 고영미, 남인석(2015). 유아과학교육(4판). 파주: 양서원.
  19. 조형숙, 박혜훈, 유효인(2017).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21(2), 5-30.
  20. Buchanan, B. L., & Rios, J. M. (2004). Teaching science to kindergartners: How can teachers implement science standards?. Young Children, 59(3), 82-87.
  21. Inagaki, K., & Hatano, G. (1987). Young children's spontaneous personification as analogy. Child Development, 58(4), 1013-1020. https://doi.org/10.2307/1130542
  22. Kamii, C., & DeVries, R. (1992). 물리적 지식활동: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과학교육(이경우, 문미옥 공역). 서울: 창지사(원전은 1978에 출판).
  23. Kikas, E. (2005).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The sky. the earth and the sun in children's explanations. Retrived on september 27, 2018. from https://www.folklore.ee/folklore/vol31/kikas.pdf
  24. Kikas, E. (2010). Children's thinking: Clouds, rain and rainbow in children's explanations. Retrived on september 27, 2018. from https://www.folklore.ee/ folklore/vol44/kikas.pdf
  25. Martin, D. J. (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NY: Delmar.
  26. National Science Board (2009). National science board STEM education recommendations for the president-elect Obama administration. NSB-0901. Retrived on september 27, 2018. from http://www.nsf.2009/01_10_stem_rec_obama_pdf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9. OECD (2013). Pisa 2015 draft science framework. Retrieved september 27, 2018, from 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015%20%Science%20Framework%20.pdf
  30. OECD (2017).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Retrieved Ocotober 20, 2018, from https://www.oecd-ilibrary.org
  31. PISA (2015).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Retrieved september 27, 2018, from https://www.pisa.tum.de/en/domains/scientific-literacy/
  32. Poldner, E., Simons, P. R. J., Wijngaards, G., & van der Schaaf, M. F. (2012).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s to analyse students' reflective essays: A methodological review of psychometric and edumetric aspect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7(1), 19-37. https://doi.org/10.1016/j.edurev.2011.11.002
  33. Sydney, L. S., & Sherry, M. C. (2013). 발현적 유아교육 과정과 표준의 연계-교육내용과 교수실제 강화하기(박은혜, 신은수, 김희진, 이진현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0에 출판).
  34. Wheatley, K. (2003). Promoting the use of content standards: Recommendations for teacher educator. Young Children, 58(2), 9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