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ocused on curriculum analysis and teacher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iences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 현황과 방향 제언 - 교육 과정 분석 및 교사의 문화유산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 HAN, Geonsoo (Dept. of Cultural Anthrop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Dawon (Dep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한건수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 김다원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Received : 2021.09.09
  • Accepted : 2021.10.30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 practice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We analyzed a primary school textbook for each of five subjects (Korean, social studies,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surveyed ten teachers with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ience, and analyzed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we made the following five suggestions: First, the goal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foster citizenship. Second, i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o organize the content systema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student environment, local community environment, and subject content. Thir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link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so that cultural heritage can be passed on from the present generation to future generations. Cultural heritag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universal values of humanity, that transcend national boundaries, regional identities, dialogue and understanding between civilizations, and sources of creativity, and thus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urth,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ep-by-step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success or failure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depends on teacher training. Fifth, the degree to which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s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allowing learners to be educated so that they can cultivate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about cultural heritage, enjoy and protect it, and connect with a sustainable society.

본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 문화유산이 학교에서 어떻게 교육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는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개 교과서를 살펴보고 문화유산 교육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유산 교육의 목표를 시민성 함양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유산 교육에서 무엇을 교육 내용에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학생 환경, 지역 사회 환경, 교과 내용 등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유산 교육은 문화유산이 현재 세대에서 미래 세대로 이어질 수 있게 지속 가능 발전 개념과 연계되어야 한다. 문화유산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지역별 정체성, 문명 간 대화와 이해, 창의성의 원천 등 특성을 갖고 있어서 지속 가능 발전의 토대가 된다. 넷째,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단계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성패는 교사 연수에 달려 있다. 다섯째, 문화유산 교육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정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향유하고 보호하고 지속 가능 발전 사회와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김용구, 2018, 「문화유산 교육의 전개과정과 지역 문화유산 교육의 부상」, 「문화재」 51(2), pp.154~169. https://doi.org/10.22755/KJCHS.2018.51.2.154
  3. 김행심, 2010,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통 문화 교육의 일고찰」, 「중앙민속학」 15, pp.173~201.
  4. 노경민, 2020,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27(2), pp.57~68.
  5. 문화재청, 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6. 문화재청, 2010, 「문화유산 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 기초 연구」.
  7. 문화재청, 2018, 「2018 지역 문화유산 교육 가이드북」.
  8. 문화재청, 2020, 「문화유산 헌장」.
  9.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2019a, 「무형 문화유산 관련 초등 융합 교육과정 개발 연구」.
  10.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2019b, 「무형 문화유산의 이해」.
  11. 이노은, 2011, 「박물관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15, pp.27~48.
  12. 이연수.김종아, 2014, 「어린이와 문화유산 교육 - 문화 다양성 교육 형태 및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박물관교육연구」 12, pp.35~60.
  13. 이지혜.김정화, 2018,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현황 분석 및 방향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pp.41~5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041
  14. 이현경.손오달.이나연, 2019, 「문화재에서 문화유산으로 : 한국의 문화재 개념 및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비판」, 「문화정책논총」 33(3), pp.5~29.
  15. 한건수, 2020, 「세계 시민성의 보편 가치와 문화 다양성」, 「한국 세계 시민 교육이 나아갈 길을 묻다」, 살림터, pp.237~264.
  16. 허권, 2012, 「세계유산의 국제 이해 교육으로의 가치」, 「국제이해교육연구」 7(1), pp.1~37.
  17. 허영훈, 2019,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한 초등학교 문화유산 학습의 실제 : <안성의 문화유산 PR 대작전> 수업을 사례로」, 「역사교육연구」 33호, pp.211~274.
  18. Banks, J. A., 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Allyn & Bacon.
  19. Barghi, R., Zakaria, Z., Hamzah, A., Hashim, N. H., 2017, 'Heritag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Standard Curriculum of Malaysi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1, pp.124~131. https://doi.org/10.1016/j.tate.2016.10.012
  20. Copeland, T., 2004, 'Heritage and Education : A European Perspective', The Hague Forum 2004, pp.18~22.
  21. Estepa, J., Wamba, A. M. & Jime'nez, R., 2005, 'Fundamentos para una ensenanza y difusio'n del patrimonio desde una perspectiva integradora de las ciencias sociales y experimen tales', Investigacio'n en la Escuela 56, pp.19~26.
  22. Gime'nez, J. E., Ruiz, R. M. & Listan, M. F., 2008,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Conceptions about Heritage and Heritage Education : A Comparative Analysi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pp.2095~2107. https://doi.org/10.1016/j.tate.2008.02.017
  23. Merillas, O. F. & Rodriguez, M. M., 2018, 'An Analysis of Educational Design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grammes : the Case of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13, pp.189~202.
  24. UNESCO, 1972,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 Paris: UNESCO.
  25. UNESCO, 2002(1998), World Heritage in Young Hands Kit : to Know, Cherish and Act, Paris: UNESCO.
  26. UNESCO, 2001,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 ID=13179&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 (접속일: 2021.8.30)
  27. UNESCO,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32nd Session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29 September~17 October.
  28. UNESCO, 2015, Learning with Intangible Heritage for a Sustainable Future, UNESCO Bangkok Office (유네스코 아태무 형유산센터 번역, 2019,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무형유산 학습 아태 지역 교사 지침서」).
  29. 교육부, 2018, 「국어 3-1 (가)」, (주)미래엔.
  30. 교육부, 2018, 「국어 3-1 (나)」, (주)미래엔.
  31. 교육부, 2018, 「국어활동 3-1」, (주)미래엔.
  32. 교육부, 2018, 「국어 3-2 (가)」, (주)미래엔.
  33. 교육부, 2018, 「국어 3-2 (나)」, (주)미래엔.
  34. 교육부, 2018, 「국어활동 3-2」, (주)미래엔.
  35. 교육부, 2018, 「국어 4-1 (가)」, (주)미래엔.
  36. 교육부, 2018, 「국어 4-1 (나)」, (주)미래엔.
  37. 교육부, 2018, 「국어활동 4-1」, (주)미래엔.
  38. 교육부, 2018, 「국어 4-2 (가)」, (주)미래엔.
  39. 교육부, 2018, 「국어 4-2 (나)」, (주)미래엔.
  40. 교육부, 2018, 「국어활동 4-2」, (주)미래엔.
  41. 교육부, 2019, 「국어 5-1 (가)」, (주)미래엔.
  42. 교육부, 2019, 「국어 5-1 (나)」, (주)미래엔.
  43. 교육부, 2019, 「국어 5-2 (가)」, (주)미래엔.
  44. 교육부, 2019, 「국어 5-2 (나)」, (주)미래엔.
  45. 교육부, 2019, 「국어 6-1 (가)」, (주)미래엔.
  46. 교육부, 2019, 「국어 6-1 (나)」, (주)미래엔.
  47. 교육부, 2019, 「국어 6-2 (가)」, (주)미래엔.
  48. 교육부, 2019, 「국어 6-2 (나)」, (주)미래엔.
  49. 교육부, 2018, 「사회 3-1」, 지학사.
  50. 교육부, 2018, 「사회 3-2」, 지학사.
  51. 교육부, 2018, 「사회 4-1」, 지학사.
  52. 교육부, 2018, 「사회 4-2」, 지학사.
  53. 교육부, 2019, 「사회 5-1」, 지학사.
  54. 교육부, 2019, 「사회 5-2」, 지학사
  55. 교육부, 2019, 「사회 6-1」, 지학사
  56. 교육부, 2019, 「사회 6-2」, 지학사.
  57. 양종모.김은영.박진홍.박지영.김은주.윤해린, 2018, 「초등학교 음악 3」, 천재교과서.
  58. 양종모.김은영.박진홍.박지영.김은주.윤해린, 2018, 「초등학교 음악 4」, 천재교과서.
  59. 양종모.김은영.박진홍.김동희.박지영.이동희.김은주, 2019, 「초등학교 음악 5」, 천재교과서.
  60. 양종모.김은영.박진홍.김동희.박지영.이동희.김은주, 2019, 「초등학교 음악 6」, 천재교과서.
  61. 안금희.장지성.김선아.이선혜.구경주.이남근.박봉희.이정묘.이희욱, 2018, 「초등학교 미술 3」, 천재교과서.
  62. 안금희.장지성.김선아.이선혜.구경주.이남근.박봉희.이정묘.이희욱, 2018, 「초등학교 미술 4」, 천재교과서.
  63. 안금희.장지성.김선아.이선혜.구경주.이남근.이희욱.김종완, 2019, 「초등학교 미술 5」, 천재교과서.
  64. 안금희.장지성.김선아.이선혜.구경주.이남근.이희욱.김종완, 2019, 「초등학교 미술 6」, 천재교과서.
  65. 이대형.배문엽.고문수.전세명.안해룡.조해경, 2018, 「초등학교 체육 3」, 천재교육.
  66. 이대형.배문엽.고문수.전세명.안해룡.조해경, 2018, 「초등학교 체육 4」, 천재교육.
  67. 이대형.배문엽.고문수.전세명.안해룡.조해경, 2018, 「초등학교 체육 5」, 천재교육.
  68. 이대형.배문엽.고문수.전세명.안해룡.조해경, 2018, 「초등학교 체육 6」, 천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