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aptitud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아동들을 위한 음악 적성검사 도구 개발 (A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est for Children)

  • 장기범;김갑수;조성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05-414
    • /
    • 2004
  • 인터넷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어린이들의 음악 적성 검사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다. 인터넷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음악 적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조기에 음악 적성 검사를 쉽게 제공하고 학생들의 음악 능력을 조기에 진단하고 보다 효율적인 교수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각 개인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음악적성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효율성은 어린이들이 쉽게 음악 적성검사를 할 수 있다는 점이고, 시스템의 데이터 파일만 변경하면 다양한 적성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for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 안명옥;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7-4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making program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medium through the ADDIE model so that teachers can easily apply it to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it affects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daycare in Seoul, of which 20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music produc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during the same perio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music activities suggested by the Nuri Course. Using the SPSS 22.0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rhythm and tone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aptitude. The music making program enhanced children's music flexibility, music creativity, music logic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crea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music making program presented systemic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which teachers explained the modeling and practiced from simple activities to various activities repeatedly in order to make teachers approach music making more easi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the music making program by using I-pad and computers.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activitics using audition on Music Aptitude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2
    • /
    • 2004
  •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Musical Aptitude as a Variable in the Assessment of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 Nisha, Kavassery Venkateswaran;Neelamegarajan, Devi;Nayagam, Nishant N.;Winston, Jim Saroj;Anil, Sam Publius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8-18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al aptitude on cognitive test performance in musicians is a long-debated research question. Evidence points to the low performance of nonmusicians in visual and auditory cognitive tasks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compared with musicians. Thi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nonmusicians, as a sub-group in this population can have innate musical abilities even without any formal musical train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musical aptitude on the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ubject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20 individuals each (a total of 60 participants), including trained-musicia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Cognitive-based visual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and auditory (working memory tests: backward digit span and operation span) tests were administered. Results: MANOVA (followed by ANOVA) revealed a benefit of musicianship and musical aptitude on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reaction time (p<0.05).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groups could be effectively (accuracy, 80%) segregated based on the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Trained musicians and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were distinguished as one cluster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formed another cluster, hinting the role of musical aptitude in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Conclusio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can have enhanced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kills like musicians. Hence, caution is required when these individuals are included as controls in cognitive-based visual and auditory experiments.

Musical Aptitude as a Variable in the Assessment of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 Nisha, Kavassery Venkateswaran;Neelamegarajan, Devi;Nayagam, Nishant N.;Winston, Jim Saroj;Anil, Sam Publius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4호
    • /
    • pp.178-18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al aptitude on cognitive test performance in musicians is a long-debated research question. Evidence points to the low performance of nonmusicians in visual and auditory cognitive tasks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compared with musicians. Thi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nonmusicians, as a sub-group in this population can have innate musical abilities even without any formal musical train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musical aptitude on the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ubject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20 individuals each (a total of 60 participants), including trained-musicia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Cognitive-based visual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and auditory (working memory tests: backward digit span and operation span) tests were administered. Results: MANOVA (followed by ANOVA) revealed a benefit of musicianship and musical aptitude on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reaction time (p<0.05).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groups could be effectively (accuracy, 80%) segregated based on the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Trained musicians and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were distinguished as one cluster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formed another cluster, hinting the role of musical aptitude in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Conclusio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can have enhanced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kills like musicians. Hence, caution is required when these individuals are included as controls in cognitive-based visual and auditory experiments.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직업선호도 유형 및 학업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preference type, academic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

  • 이정화;김지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3-183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fining educational directio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establishing the instruction to improve direction consulting and academic effect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 Methods : The researcher surveyed the relation among job aptitude, academic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by selecting 131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of P university as study targets. Results : For high school classifications, direction searches and academic abilitie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of P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classical high school was 68.7% and vocational high school was 31.3%. For job aptitude, social type was 58.0% and artistic type was 26.0% so they were usual. For academ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12.78{\pm}1.34$), music/rhythm was($12.32{\pm}1.09$) and natural($12.32{\pm}1.00$) showed high scores in order over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field and language/vocabulary(22.6%) and music/rhythm(21.6%) was the next. For academic performance depending on high school classification, job aptitude and academic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 school classification by classical high school($86.55{\pm}8.21$) and vocational high school($85.34{\pm}11.31$)(p<0.05) a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aptitude by social type($85.45{\pm}9.42$) and artistic type($88.41{\pm}6.93$)(p<0.05).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academic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high academic ability score in the first field was led to the high score in the second and the third field, showing significant mutual relation(p<0.00). Conclusions : This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by college students of dental hygeine department, so you have to consider before generalizing these resul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search more, likewise using a comparison with other students or it should be conducted by general people.

'오디' 음악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of study on Children's Responses to Audie Music Activity)

  • 윤은미;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41-65
    • /
    • 2007
  • 본 연구는 '오디' 음악활동을 통해 유아의 반응이 행동적 음악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만 5세 유아 24명을 연구대상으로 '오디' 음악활동을 주 2-3회씩 15주 총 3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3명의 유아를 선정하고 연구 보조자의 참여 관찰, VTR과 디지털 카메라 촬영, 연구자 저널 쓰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 초기에 교사가 육성으로 부르는 가사 없는 노래를 낯설어하고 반응이 없었던 유아들은 점차 교사가 노래를 시작하면 관심을 기울여 듣는 태도를 보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침묵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음과 리듬이 들리지 않아도 사고과정을 통해 마음속으로 인지하였으며,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마음속으로 노래를 기억하여 동작을 구사하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다양한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했으며, 또래간의 상호작용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 초기에 기다리지 못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활동을 방해했던 유아는 점차 자신을 조절하며 활동에 참여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획일적인 반응을 보이고 교사와 또래를 의식하고 모방하는 것에 그치며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던 유아는 활동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점차 음악의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신체로 표현하고 신체의 여러 부분을 인식하고 스스로 조절해 가면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을 자발적으로 하게 되었다.

  • PDF

<샤이닝>, 영화음악의 형식적 미학과 공포 (, the Formal Aesthetics of Film Music and the Horror)

  • 박병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6-88
    • /
    • 2020
  • <샤이닝>에 쓰인 기존음악 자체는 영화와 어떠한 직접적인 관계도 없기에 영화음악으로서 적합하게 활용됐는지에 대한 물음을 낳는다. 본 논문은 <샤이닝>의 20세기 현대음악들이 영상과의 도상성을 통해 영화음악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포영화에서 20세기 현대음악 사용을 논하기 위해 공포의 성격과 음악의 형식 간 유사성을 한슬리크의 형식미학을 통해 접근하였다. 음악이 갖는 형식적 특성은 음들의 움직임으로 관찰되는데, 이 움직임은 하이데거가 언급하고 있는 공포의 심경 양태와 유사성을 이루고 있다. <샤이닝> 분석에 있어 음들의 정체된 움직임과 연속성, 악기의 특수주법, 군집한 음들의 불특정한 떨림, 고음역대 여린 세기의 선율, 타악기의 강타, 그리고 중심에서 이탈하는 음들의 진행은 공포영화에 대한 20세기 현대음악의 적소성을 확인시켜 준다. 본 연구가 단순히 20세기 현대음악에서 대변되는 감정들에 기대지 않고, 철저히 음들의 움직임을 포착해낸 것은 영화 <샤이닝> 연구에 큰 의의를 갖는다.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의 구인타당화 (The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cale for Screening the Qualified Teachers for the Gifted in Music)

  • 원영실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237-259
    • /
    • 2015
  • 이 연구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자격 조건을 수렴하고, 수렴된 조건을 바탕으로 평가문항을 제작한 후, 그 문항에 대한 구인타당화를 도모함으로써 음악(국악)영재의 선발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예술영재교육의 내실화 및 체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의 문항분석을 위하여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최종 41문항을 수렴하였고,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심리학적 구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 추정 결과 높은 신뢰도 수준(r=.974)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이 영재교육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교사 평가도구임을 반영해준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 1998-2017년 국내·국제 학술지 논문 비교 (Research Trends of Music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 Review of Journals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1998 to 2017)

  • 박혜영;조미란;윤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43-256
    • /
    • 2018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8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총 62편의 학술논문을 내용분석 하였다. 발표연대, 학술지 분야, 연구방법,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령, 장애특성을 분석틀로 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10년간 국내 외 모두 논문 편수가 급증하였으며, 교육학, 치료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방법에서 국내는 조사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국외는 질적연구와 실험연구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연구유형과 주제를 살펴보면, 국내는 음악흥미와 적성을 주제로 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가 다수였으나, 국외는 음악중재, 음악지각 및 인지를 주제로 한 음악의 영향과 경험 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연령은 국내 외 모두 성인과 아동청소년으로 조사되었고 노인 대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장애특성별 빈도에서 전맹, 저시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중도나 중복장애는 적었다. 이는 시각장애와 음악에 관한 연구 동향을 설명함으로써 해당 분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는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