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for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08.14
  • Accepted : 2020.10.11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making program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medium through the ADDIE model so that teachers can easily apply it to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it affects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daycare in Seoul, of which 20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music produc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during the same perio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music activities suggested by the Nuri Course. Using the SPSS 22.0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rhythm and tone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aptitude. The music making program enhanced children's music flexibility, music creativity, music logic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crea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music making program presented systemic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which teachers explained the modeling and practiced from simple activities to various activities repeatedly in order to make teachers approach music making more easi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the music making program by using I-pad and comput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라 (2012).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지은 (2015). 음악 동화를 활용한 음악교육활동이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과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4. 권오선 (2017). 음 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 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규식 (2002). 재미있는 오르프 1. 서울: 창지사.
  6. 김미영 (2010). 유아 음악적 창의성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보라 (2018). 전래동화를 활용한 유아 극 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성윤, 김권일, 김영옥 (2015).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453-485.
  9. 김한나 (2012). 창작 활동을 활용한 음악 감상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음악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성숙 (2013).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5(1), 55-80.
  11. 박미경, 엄정애 (2008). "새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 교사의 음악적 개념과 지도의 어려움. 아동학회지, 29(3), 93-113.
  12. 박은영 (201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지현 (2011). 초등학생의 음악 창작 활동 과정 및 지도방안 연구. 아동교육, 20(2), 5-18.
  14. 백지혜 (2009). 그림책을 이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5), 189-212.
  15. 서영민 (2017). 패턴중심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패턴인지 및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신보영, 황은영 (2015). 시각적 지원 전략을 적용한 음악활동이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 재활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1(2), 41-62.
  17. 양경여 (2017). 모차르트 작은 별 주제에 의한 12개의 변주곡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지도방안: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서울: 양서원.
  19. 이옥주, 정수진, 윤지영 (2015). 음악 요소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서울: 신정.
  20. 임미경, 장기범, 함희주 (2004).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예종.
  21. 임혜정, 김영연 (2004).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악곡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4(6), 193-211.
  22. 장미현 (2012). 사운드 스케이프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은주 (2009). 유아 음악교육 : 유아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파주: 양서원.
  24. 전경원 (2014).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5. 차영숙, 최정아 (2015). 유아 음악수업의 컨설팅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391-424.
  26. 최예린, 이은형, 이하영 (2015).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5),117 -142.
  27. Baltzer, S. W. (1989). A factor analytic study of musical creativity in children in the primary grad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State University, Bloomington, USA.
  28. Calogero, J. M. (2002). Integrating music and children's literature. Music Educators Journal, 88(5), 23-30. doi:10.2307/3399822
  29.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2010). Music in childhood :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s(3rd ed.). Boston, MA: Schirmer Cengage Learning.
  30. Flohr, J. W. (2004). Musical lives of young childre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1. Glover, J. (2000). Children Composing 4-14. London, UK: Routledge. doi:10.4324/9780203134412
  32. Gordon, E. E. (1970). Taking into account musical aptitude differences among beginning instrumental studen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7(1) 41-53. doi.10.3102/00028312007001041
  33. Gordon, E. E. (1990).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IL: GIA
  34. Greenberg, M. (1979). Your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5. Gordon, E. E. (2004).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음악오디에이션의 초급측정과 중급측정(이헬렌 옮김). 경기: 새한기획출판부(원판 1979).
  36. Moerk, E. L. (1985). Picture - book reading by mothers and young children and its impact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Pragmatics, 9(4), 547-566. doi:10.1016/0378-2166(85)90021-9
  37. Olson, M. W., & Gee, T. C. (1988). Understanding narratives: A review of story grammar research. Childhood Education, 64(5), 302-306. https://doi.org/10.1080/00094056.1988.10521557
  38. Rho, J. H. (2004).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music curriculum for South Korea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USA
  39. Swanner, D. L. (1985).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creativity and selected factors, including personality, motivation, musical aptitude, and cognitive intelligence as measured in third grad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USA
  40. Webster, P. R. (1990). Creative thinking in music : Creativity as creative thinking. Music Educators Journal, 76(9), 21-28. doi:10.2307/3401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