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 the Formal Aesthetics of Film Music and the Horror

<샤이닝>, 영화음악의 형식적 미학과 공포

  • 박병규 (경기대학교 실용음악학과 부교수)
  • Received : 2020.08.27
  • Accepted : 2020.10.06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Since the pre-existing music itself used in has no direct relation to the film,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was properly utilized as film mus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s 20th century modern music effectively fulfills the role of film music through iconicity with images. This study approach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character of fear and the form of music through Hanslick's formal aesthetics to discuss the use of 20th century modern music in the horror film.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usic are observed in the movement of notes, which are similar to the fearful state of mind mentioned by Heidegger. In the analysis, the stagnant movement and the continuity of notes, the special playing method of the musical instrument, the unspecified trembling of the clustered notes, the melody of the weak intensity in the high-pitched range, the smash of percussions, and the progression of the notes that deviate from the center confirms the aptitude of 20th century modern music in the horror film. The fact that this study did not simply rely on the emotions represented in the 20th century modern music, but thoroughly caught the movements of the notes,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research of film .

<샤이닝>에 쓰인 기존음악 자체는 영화와 어떠한 직접적인 관계도 없기에 영화음악으로서 적합하게 활용됐는지에 대한 물음을 낳는다. 본 논문은 <샤이닝>의 20세기 현대음악들이 영상과의 도상성을 통해 영화음악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포영화에서 20세기 현대음악 사용을 논하기 위해 공포의 성격과 음악의 형식 간 유사성을 한슬리크의 형식미학을 통해 접근하였다. 음악이 갖는 형식적 특성은 음들의 움직임으로 관찰되는데, 이 움직임은 하이데거가 언급하고 있는 공포의 심경 양태와 유사성을 이루고 있다. <샤이닝> 분석에 있어 음들의 정체된 움직임과 연속성, 악기의 특수주법, 군집한 음들의 불특정한 떨림, 고음역대 여린 세기의 선율, 타악기의 강타, 그리고 중심에서 이탈하는 음들의 진행은 공포영화에 대한 20세기 현대음악의 적소성을 확인시켜 준다. 본 연구가 단순히 20세기 현대음악에서 대변되는 감정들에 기대지 않고, 철저히 음들의 움직임을 포착해낸 것은 영화 <샤이닝> 연구에 큰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D. W. Patterson, "Music, Structure and Metaphor in Stanley Kubrick's "2001: A Space Odyssey"," American Music, Vol.22, No.3, pp.444-474, 2004. https://doi.org/10.2307/3592986
  2. D. J. CODE, "Don Juan in Nadsat: Kubrick's Music for "A Clockwork Orange"," Journal of the Royal Musical Association, Vol.139, No.2, pp.339-386, 2014. https://doi.org/10.1080/02690403.2014.944823
  3. 박언영, "Music and Narrative in Stanley Kubrick's Eyes Wide Shut," 현대영화연구, 제14권, 제4호, pp.49-81, 2018. https://doi.org/10.15751/COFIS.2018.14.4.49
  4. 질 무엘릭, 박지회 역, 영화음악,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18, 2007.
  5. https://www.imdb.com/title/tt0081505/, 2020.08.25.
  6. K. McQuiston, We'll meet again : musical design in the films of Stanley Kubrick, Oxford University Press, pp.65-86, 2013.
  7. C. L. Gengaro, Listening to Stanley Kubrick, Rowman & Littlefield, pp.179-218, 2014.
  8. D. Cope,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composer, Schirmer Books, pp.99-103, 1997.
  9.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177, 2004.
  10.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78, 2004.
  11.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92, 2004.
  12.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184, 2004.
  13.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178, 2004.
  14.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6, 2004.
  15.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1, 2004.
  16.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5, 2004.
  17.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8, 2004.
  18.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64, 2004.
  19.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84, 2004.
  20. 엔리코 푸비니, 서인정 역, 음악미학사,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p.286, 2016.
  21. 엔리코 푸비니, 서인정 역, 음악미학사,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p.282, 2016.
  22.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51, 2004.
  23.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p.236, 2008.
  24.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63, 2004.
  25. https://imslp.org/wiki/Sam_Fox_Moving_Picture_Music_(Zamecnik%2C_John_Stepan), 2020.08.25.
  26. https://www.sfsma.org/ARK/22915/george-playing-to-pictures/, 2020.08.25.
  27. 박문호, 뇌과학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p.410,2013.
  28. D. Bordwell, K. Thompson, 주진숙, 이용관 역,영화 예술 , 지필미디어, pp.415-416, 2011.
  29. D. Bordwell, K. Thompson, 주진숙, 이용관 역,영화 예술 , 지필미디어, p.415, 2011.
  30.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p.240-241, 2016.
  31.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184, 2016.
  32.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185, 2016.
  33.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186, 2016.
  34.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244, 2016.
  35.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245, 2016.
  36.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246, 2016.
  37. V. Lobrutto, Stanley Kubrick: A Biography , DaCapo Press, p.453, 1997.
  38. G. Ligeti, Lontano, fur grosses Orchester ,Schott Music, 1969.
  39. 박병규, 영화음악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히치콕 영화(1955-1964)의 음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04, 2017.
  40. B. Bartok, Musik fur Saiteninstrumente,Schlagzeug und Celesta , Boosey & Hawkes,1939.
  41. K. Penderecki, De natura sonoris no.1 , PWM,1967.
  42. 이선일,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철학사상 별책,제2권, 제12호, p.67, 2003.